• 제목/요약/키워드: free-living

검색결과 574건 처리시간 0.027초

대형갈조류 곰피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유리배우체의 재생 및 성숙 유도 (Inducing the Regeneration and Matura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Laminariales, Phaeophyta))

  • 황은경;공용근;하동수;박찬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31-238
    • /
    • 2010
  • The Induction of regeneration and maturation in the free-living gametophytes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was studied at four temperatures (5, 10, 15, and $20^{\circ}C$), four levels of irradiance (5, 10, 20, and 40 ${\mu}mol\;m^{-2}s^{-1}$) and three photoperiods (14:10, 12:12, and 10:14 h L:D). Female gametophyte fragments were maintained in active regeneration without reaching sexual maturity under $5{\sim}10^{\circ}C$, 10 ${\mu}mol\;m^{-2}s^{-1}$, 10:14 h (L:D), whereas the conditions for male gametophytes were slightly different at $20^{\circ}C$, 40 ${\mu}mol\;m^{-2}s^{-1}$, 10:14 h (L:D). The sexual maturation of female and male gametophytes was facilitated at $15^{\circ}C$, 20 ${\mu}mol\;m^{-2}s^{-1}$, 14:10 h (L:D).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regeneration and maturation of the free-living gametophytes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E. stolonifera.

해수면 자유공간의 전파경로손실 예측 모델 (Prediction Model of Propagation Path Loss of the Free Space in the Sea)

  • 류광진;박창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579-584
    • /
    • 2003
  • 지금까지 제안된 전파경로손실 예측모델 모두는 지표면 생활공간을 대상으로 하였을 뿐이다. 실제 해수면 자유공간은 지표면 생활공간과 물리적 계층구조가 다르다. 따라서 지표면 생활공간을 대상으로 한 전파경로손실 예측모델을 해수면 자유공간에 적용하는 경우, 전파경로손실은 실측값보다 더 적고, 한편 서비스 가능 최대 직선거리는 더 짧게 예측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CDMA방식 이동 통신 주파수대역을 중심으로 해수면 자유공간에서의 전파경로손실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현장 실측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그 실용성을 검증한다.

Admirandus multicavus Belogurov and Belogurova, 1979 (Nematoda, Enoplida, Oncholaimidae), a new record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 discover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Korea

  • Hyun Soo Rho;Hyo Jin Lee;Heegab Lee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463-470
    • /
    • 2021
  • Admirandus multicavus Belogurov and Belogurova, 1979, a new record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belonging to family Oncholaimidae is reported based on the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sediments of Korea. Admirandus multicavu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unique characteristics: cephalic setae (1-2 ㎛ long), spicules (71-126 ㎛ long) and gubernaculum (15-31 ㎛ long), midventral preanal supplementary organ, three glandular duct openings of the Demanian system, and stoma length measuring twice the widt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iogeograph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mirandus species is presented. DIC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photomicrographs of the species are also provided herein. This report represents the first taxonomic analysis of the genus Admirandus Belogurov and Belogurova, 1979 discovered from the Korean seawaters.

자유생활아메바의 병원성에 따른 자연살세포의 활성도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mice infected with free-living amoeba with reference to their pathogenicity)

  • 김기혁;신주옥;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39-248
    • /
    • 1993
  •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 및 Acanthamoeba culbertsoni를 CSH/HeJ 마우스에 감염시켜 자연살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감염 최소량 및 활성도를 최대치가지 이르게 하는 감염 최대량을 결정하여 수막뇌염의 발생여부 및 사망율을 조사하고, 이와 함께 비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를 감염시켜 자연살세포가 활성화되는지 조사하였다 자연살세포 활성도를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군과 비교하였으며, 병원성, 비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군에서의 자연살세포의 세포독성의 변화를 단세포 독성검사법을 이용하여 표적세포 결합능, 활성 자연살세포, 더 나아가 최대 재순환능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Naegleria fowleri 감염 군에서 자연살세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감염 최소량인 아메바 영양형 $1{\times}10^4$개 감염 군에서 사망률이 5.9%이었으며 최대량인 $1{\times}10^5$개 영양형 감염군에서는 72.2%이었다. Acnnthamoebn culbertsoni 감염 군에서의 감염 최소량인 아메바 영양형 $1{\times}10^3$개 감염군에서의 사망률은 6.9%이었으며 최대량인 $1{\times}10^5$개 감염군에서는 65.5%이었다. 자연살세포의 세포독성은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군 모두에서 감염후 1일째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감염후 2일과 5일째에는 감소하였고, 아메바 감염량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아메바 감염 군에서의 자연살세포의 활성도의 증가는 표적세포 결합능 및 활성 자연살세포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었으며 재순환능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 감염 군에서는 자연살세포의 활성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 감염 군과는 자연살세포의 세포독성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해빙기 바이칼호에서 부유세균과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의 군집구조 (Bacterial Community of Free-living and Aggregated Bacteria at Thawing Period in Lake Baikal)

  • 홍선희;김옥선;전선옥;유재준;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2-197
    • /
    • 2002
  • 러시아 바이칼호에서 해빙기에 부유세균과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의 군집구조를 FISH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방법으로 0 m부터 250 m수심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Eubacteria에 속하는 세균과 class Proteobacteria에 속하는 세균 중 $\alpha$-, $\beta$-, $\gamma$ -group과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그리고 Planctomycetales였다. 부유세균의 수는 $0.2{\times}10^6\cells{\cdot}ml^-1 to 3.2{\times}10^6 \cells{\cdot}ml^-1$범위였으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감소하였다. Aggregate에 부착한 세균은 부유세균과 반대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하였고, 개체수의 범위는 0.4~$3.3{\times}10^4$ $cells{\cdot}ml^-1$ 이였다. 총세균수에 대한 Eubacteria 수의 비율은 부유세균의 경우 52.3~74.1%,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은 39.6~66.7%로 부유세균보다 부착세균에서 그 비율이 낮았으며, 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결과에서도 부유세균과 aggregates애 부착한 세균의 군집구조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세균의 군집구조는 식물플랑크톤이 밀집해 있는 25 m 수심에서 급격히 변화하여 식물플랑크톤이 부유세균과 부착세균의 군집의 변화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 군집은 수심에 따라 매우 특이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beta$-proteobacteria group은 수심이 깊어지면서 그 비율이 높아져, 100m에서는 $\beta$-group이 총세균수는 51.8%를 차지하였으나, 250m에서는 $\gamma$-group이 43.8%를 차지하여, 급격하게 우점 group이 변화하였다. 그러나, 부유세균에서는 전혀 다른 군집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은 부유세균과는 다른 다양성을 이루고, 다른 천이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ome Free-living Heterotrophic Flagellates from Marine Sediments of Inchon and Ganghwa Island, Korea

  • Lee, Won-J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25-143
    • /
    • 2002
  • Heterotrophic flagellates occurring in the marine sediments of Inchon and Ganghwa Island are reported. Fifty-six species from 38 genera were encountered in this survey and two new taxa were recorded: Cyranomonas australis sp. nov. and Gweamonas unicus sp. nov. There was little evidence for endemism because all flagellates including the two new taxa described here have been found from other habitats in Australia which are geographically remote from Korea. This study supports the model that free-living heterotrophic flagellates have a world-wide distribution.

Heme 합성특성이 다른 Rhizobium meliloti 102F51 Mutant의 선별 (Rhizobium meliloti 102F51 Mutants Defective in Heme Synthesis)

  • 최영주;정원화;김경수;신평균;조무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8-105
    • /
    • 1986
  • Rhizobium melitoli 102F51에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및 UV를 처리하여 heme 합성 특성이 다른 세 그룹의 mutant 즉 백색, 적백색 및 적색근류형성 mutant를 선별하여 이들 중 mutant들의 acetylene 환원력, 및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ALAD)를 free living 및 bacteriod 상태하에서 서로 비교하였다. 백색 근류를 형성하는 mutant는 적색 근류형성 mutant에 비하여 acetylene 환원력이 훨씬 낮았으며 ALAS 및 ALAD 활성은 free-living 상태에서는 각 mutant group 사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acteriod 상태에서는 백색근류생성 mutant에서 적색 근류형성 mutant group에 비하여 ALAS 및 ALAD 공히 현저히 낮았다. 근류에서 ALAS 활성은 heme 합성양에 비례하여 급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ALAD 활성은 plant fraction에서는 감소하는 반면 bacteroid fraction에서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 PDF

대형갈조류 감태(Ecklonia cava Kjellman) 유리배우체의 재생 및 성숙 유도 (Regeneration and Maturation Induction for the Free-living Gametophytes of Ecklonia cava Kjellman (Laminariales, Phaeophyta))

  • 위미영;황은경;김성철;황미숙;백재민;박찬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81-388
    • /
    • 2008
  • Induction of regeneration and maturation for the free-living gametophytes of Ecklonia cava Kjellman was conducted under various temperature, irradiance and photoperiod conditions. Culture conditions for female or male gametophyte fragments were 4 temperature (5, 10, 15 and $20^{\circ}C$), 4 irradiance (5, 10, 20 and $40{\mu}mol{\cdot}m^{-2}{\cdot}s^{-1}$) and 3 photoperiod (14:10, 12:12 and 10:14 h L:D). Female and male gametophyte fragments were maintained in active regeneration without reaching sexual maturity under $5{\sim}10^{\circ}C$, $5{\sim}10{\mu}mol{\cdot}m-2{\cdot}s-1$, 12:12h or 10:14h (L:D) and $15-20^{\circ}C$, $20-40{\mu}mol{\cdot}m^{-2}{\cdot}s^{-1}$, 14:10h (L:D), respectively. Sexual maturation of female and male gametophytes facilitated under $15^{\circ}C$, $20-40{\mu}mol{\cdot}m^{-2}{\cdot}s^{-1}$, 14:10h (L:D) and $5-10^{\circ}C$, $5-10{\mu}mol{\cdot}m^{-2}{\cdot}s^{-1}$, 10:14h (L:D), resp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s to control the regeneration or maturation of the free-living gametophytes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E. cava.

넓미역(Undariopsis peterseniana)의 대량생산을 위한 유리배우체의 재생 및 성숙 유도 (Regeneration and Maturation Induc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Undariopsis peterseniana for their Mass Production)

  • 황은경;심철홍;하동수;공용근;박찬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5-161
    • /
    • 2011
  • Induction of regeneration and maturation of the free-living gametophytes of Undariopsis peterseniana (Kjellman) Miyabe et Okamura was studied at four temperatures (5, 10, 15, and $20^{\circ}C$), four levels of irradiance (5, 10, 20, and 40 ${\mu}mol$ $m^{-2}\;s^{-1}$) and three photoperiods (14:10, 12:12, and 10:14 h L:D). Female gametophyte fragments were maintained in active regeneration without reaching sexual maturity under conditions of $15^{\circ}C$, 20 ${\mu}mol\;m^{-2}\;s^{-1}$, 10:14 h (L:D), whereas the conditions for male gametophytes were slightly different at $15^{\circ}C$, 20 ${\mu}mol\;m^{-2}\;s^{-1}$, 14:10 h (L:D). The sexual maturation of female and male gametophytes took place under $15^{\circ}C$, 20 ${\mu}mol\;m^{-2}\;s^{-1}$, 14:10 h (L:D) and $10^{\circ}C$, 10 ${\mu}mol\;m^{-2}\;s^{-1}$, 10:14 h (L:D), resp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regeneration and matura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U. peterseniana.

장애인 거주시설을 방문하여 시행한 무료 이동식 치과 진료에 대한 2014년 통계 (시설거주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이동치과진료에 대한 통계) (A SURVEY OF THE TREATMENT IN FREE MOBILE DENTAL CLINIC AT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ES (SURVEY OF FREE MOBILE DENTAL CLINIC: AT DISABLED RESIDENTIAL FACILITES))

  • 임현수;이효설;최성철;이은영;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8-61
    • /
    • 2015
  •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have more difficulty in caring oral hygiene than those living at h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cent 2014 dental treatment records of free mobile dental clinic service for disabled people in Korea. 203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participated in mobile dental clinic. Patients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of disability. Mental retardation were 75.3%, mental disorder were 6.0%, crippled disorder were 7.4%, brain disorder were 6.5%, visual disorder were1.4%, auditory and speech disorder were 2.3% and autism disorder were 0.9%. Performed treatments were 99 scaling and curettage, 88 fluoride varnish and TBI, 4 extraction, 1 endodontic treatment, 16 caries control (resin filling, GI filling), 1 denture repair and 8 refuse the treatment. Free mobile dental clinic can not provide complex dental treatment. So, the organization should systemize advanced dental treatment and regular preventive programs. Furthermore, we need to have a more concerns about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constantly participate on a dental voluntary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