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cture failure

검색결과 1,463건 처리시간 0.025초

고정원 강화를 위해 치면에 부착한 fiber-reinforced composite과 스테인리스강 와이어의 피로한도 비교 (Comparison of the fatigue limit of fiber-reinforced composites and stainless steel wires when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for anchorage reinforcement)

  • 김문정;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2-311
    • /
    • 2005
  • 본 연구는 고정원을 강화하는데 사용되는 fiber-reinforced composite (FRC)과 스테인리스강 와이어의 피로 한도를 치아의 생리적 동요도가 허용되는 조건에서 비교하여 FRC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스테인리스강 와이어군은 각형과 원형 와이어군으로 나누고 FRC군은 uni-directional군과 woven군, 그리고 각각의 군에 있어서 치간 부위에 레진을 코팅한 군과 코팅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간의 피로한도를 일반적인 교정치료기간을 재현한 $5{\times}10^5cycle$의 피로한도 내에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스테인리스강 와이어에서는 각형 와이어가 원형 와이어보다 피로한도가 더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0.05) 치간부위를 레진으로 코팅한 FRC와 코팅하지 않은 FRC 모두 uni-directional군이 woven군보다 피로한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p<0.05) 그 값은 치간 부위를 레진으로 코팅한 FRC가 코팅하지 않은 FRC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스테인리스강 와이어와 FRC 모두 임상적으로 유용한 $5{\times}10^5cycle$의 피로한도 내에서는 파절되지 않았기 때문에 둘 다 고정원 강화를 위해 사용하여도 충분하며 또한 심미성이 요구되거나 부가적인 장치의 부착이 필요한 곳에서는 FRC를 사용하여도 충분하리라 생각된다.

하악 임플란트 overdenture에서 anchorage system이 하중전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CHORAGE SYSTEMS ON LOAD TRANSFER WITH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 A THREE-DIMENSIONAL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 김진열;전영찬;정창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07-524
    • /
    • 2002
  • Load transfer of implant overdenture varies depending on anchorage systems that are the design of the superstructure and substructure and the choice of attachment. Overload by using improper anchorage system not only will cause fracture of the framework or screw but also may cause failure of osseointegration. Choosing anchorage system in making prosthesis, therefore, can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long-term success of implant treatment. In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chorage systems on load transfer in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in which 4 implants were placed in the interforaminal region, patterns of stress distribution in implant supporting bone in case of unilateral vertical loading on mandibular left first molar were compared each other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anchorage system using three-dimensional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The five photoelastic overdenture models utilizing Hader bar without cantilever using clips(type 1), cantilevered Hader bar using clips(type 2), cantilevered Hader bar with milled surface using clips(type 3), cantilevered milled-bar using swivel-latchs and frictional pins(type 4), and Hader bar using clip and ERA attachments(type 5), and one cantilevered fixed-detachable prosthesis(type 6) model as control were fabrica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1. In all experimental models. the highest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most distal implant supporting bone on loaded side. 2. Maximum fringe orders on ipsilateral distal implant supporting bone in a ascending order is as follows: type 5, type 1, type 4, type 2 and type 3, and type 6. 3. Regardless of anchorage systems. more or less stresses were generated on the residual ridge under distal extension base of all overdenture models. To summarize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n case of the patients with unfavorable biomechanical conditions such as not sufficient number of supporting implants, short length of the implant and unfavorable antero-posterior spread. selecting resilient type attachment or minimizing distal cantilever bar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methods to prevent overloading on implants by reducing cantilever effect and gaining more support from the distal residual ridge.

9% 니켈강재식 LNG 저장탱크용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9% Ni Steel LNG Storage Tank)

  • 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3-18
    • /
    • 2010
  • 본 연구는 9% 니켈강재식 LNG 저장탱크용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측정 및 제어시스템에 비해 압력, 변위,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하였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는 새로운 제어장치와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해 통합되고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동시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초대형 완전밀폐식 LNG 저장탱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압력계이지를 추가하고, 내부탱크의 외측벽과 스티프너, 톱거더의 용접지역, 코너 프로텍션 탱크의 외측벽에 새로운 변위센서/압력센서를 설치하였다. 변위센서와 하중센서는 내부탱크와 코너 프로텍션 탱크의 9% 니켈강재 구조물에 대한 파손징후를 제공할 수 있고, 내부탱크로부터 누설되는 LNG를 감시할 수 있다. 기존의 누설센서는 내부탱크와 코너 프로텍션 사이의 단열지역에 설치한 누설감지기에 의해 경고신호가 접수될 때까지도 9% 니켈강재 탱크의 파괴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온도, 압력, 변위, 하중, LNG의 밀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시스템의 안전성과 내부탱크의 누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는 9% 니켈강재로 제작한 탱크의 안전성에 관련된 변위와 하중, LNG의 액위와 밀도, 쿨다운 공정, 누설, 압력 등을 제어하기 위해 측정한다.

멤브레인식 LNG 저장탱크용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for LNG Membrane Storage Tank)

  • 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0-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멤브레인식 LNG 저장탱크의 측정장치와 안전장치에 대한 고찰과 분석을 통해 초대형 멤브레인 식 LNG 저장탱크에 적합한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기존에 단수로 설치한 압력계를 추가하고, 기존의 LNG 저장탱크에는 없는 변위센서와 하중센서를 내부탱크와 예응력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를 관통하는 강재앵커에 새로이 설치함으로써 초대형 LNG 저장탱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변위센서와 하중센서는 멤브레인 패널의 파손여부, 내부탱크로부터 발생된 LNG 누설의 단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기존의 누설센서는 내부탱크 뒤편의 보냉재 공간에 설치한 온도센서에 의해 LNG 누설이라는 신호를 보낼 때까지도 멤브레인 패널의 손상에 관련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결국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온도, 압력, 변위량, 하중, LNG의 밀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시스템의 안전성과 내부탱크의 누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는 멤브레인 패널의 안전성에 관련된 변위량과 하중, LNG의 액위와 밀도, 쿨다운 공정, 누설, 압력 등을 제어하기 위해 측정된다.

복합소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보의 비선형 휨 모델링 (Nonlinear Flexural Modeling of Prestressed Concrete Beams with Composite Materials)

  • 김민경;이차돈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69-280
    • /
    • 1998
  • 최근에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섬유보강 플라스틱과 같은 복합소재를 기존의 구조부재와 연루하여 적용하고자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첨단 복합소재를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들 소재를 구조물 또는 그 일부에 적용할 시에 저항 메카니즘과 파괴양상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단면이 시멘트 복합소재를 층으로 갖거나 FRP 텐던 등으로 보강된 Bonded 및 Unbonded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보의 비선형 휨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이론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모델은 한 개의단면으로 해석하는 Couple Method와 여러 개의 적층으로 나눈 Layered Method의 중간적인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블록개념(Block Concept)이 적용되었다. 주어진 하중에 대한 처짐을 구하기 위하여 N개의 축력에대한 평형조건과 N개의 휨에 대한 평형조건을 이용하여 보 전체의 2N 개의 변수를 구하였다. 본 모델은 여러 형태로 배근된 Bonded 그리고 Unbonded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보의 휨 거동을 성공적으로 예측하였다.또한 취성적인 FRP 텐던이 파괴됨에 따른 보의 갑작스런 하중저하 이후의 점진적인 내력증가도 성공적으로 모사하였다. 이는취성적인 FRP텐던으로 보강된 프리스트레스트 보의 전반적인 하중-처짐을 추적하는데 유용하다.

크림프 철망 및 단면복구 보수 모르타르를 사용한 일방향 슬래브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of One-Way Concrete Slabs Using the Restorative Mortar and Crimped Wire Mesh)

  • 이문환;송태협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569-575
    • /
    • 2007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 연장 및 기능 보완을 위하여 콘크리트 면의 보수를 실시할 경우 일반적으로 구조적 내력을 고려하지 않는다. 특히, 표면박락 등의 보수에는 단순하게 모르타르 도포만을 이용하여 보수가 완료되므로 별도의 구조적인 보강 성능을 발휘하지 않는다. 그러나 시공성의 향상 및 균열의 억제를 위하여 철망 등의 재료를 사용할 경우 일정부분 보강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수로 구조물과 같이 교각 간에 놓여지는 구조요소의 경우 하부면의 보수를 실시할 경우 휨 저항성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크리프 철망에 의한 보수를 실시하고 보수 부위 및 보수 두께에 따른 보강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께 150mm, 길이 3,000mm, 너비 600mm 슬래브를 제작하고, 상부 부분 보수, 상부 전면 보수, 하부 부분 보수, 하부 전면 보수, 크림프 철망 보강 유무 등 총 8개 실험 유형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휨 보강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크림프 철망을 보강한 실험체에서 보수 재료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항복하중 및 파괴하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 조건일 경우 하부면의 보수가 휨 하중에 대한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휨 하중을 받는 구조물 중 부분 보수만을 실시할 경우 휨 보강 성능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크림프 철망에 의한 보수공법 적용 시 휨 저항성의 증가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장력 강판(SGAFC780)의 저항 점 용접의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너깃 직경 예측 (A Study on Prediction of Nugget Diameter by Resistance Spot Welding Finite Element Analysis of High Tensile Steel (SGAFC 780))

  • 이철호;김원섭;이종훈;박상흡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44-150
    • /
    • 2019
  • 본 연구는 고 장력 강판 SGAFC 780소재를 이용하여 저항 점 용접을 실시 하였으며, 조건에 따른 너깃 지름 측정, 유한 요소 해석 비교를 하였다. 너깃 지름 측정 결과 용접 전류 7kVA의 용접시간 18cycle 이상의 용접조건에서는 용접 최소 직경인 4.3mm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kVA과 10kVA이상에서 최소 너깃 직경인 4.3mm 이상으로 만족 하였으나, 높은 전류와 시간으로 인해 날림 현상이 발생하였고, 그로 인한 깊은 압흔이 잔류하였다. 용접성 평가 결과 최소 너깃 지름에서는 만족하지만 날림 현상이 발생하여 용접 불량으로 평가되는 구간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날림 현상이 일어났음에도 충분한 하중 부담 능력을 가지는 영역도 확인했다. 유한 요소 해석 비교 결과 적정용접 구간에서의 유한 요소 해석과 실험 결과에서의 너깃 지름을 비교 했을 시 4.2% 미만의 오차율을 확인 했으며, 유한 요소 해석의 신뢰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linical Experiences and Usefulness of Cervical Posterior Stabilization with Polyaxial Screw-Rod System

  • Hwang, In-Chang;Kang, Dong-Ho;Han, Jong-Woo;Park, In-Sung;Lee, Chul-Hee;Park, Sun-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2권4호
    • /
    • pp.311-316
    • /
    • 2007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fety, surgical efficacy, and advantages of a polyaxial screw-rod system for posterior occipitocervicothoracic arthrodesis. Methods : Charts and radiographs of 32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cervical fixation between October 2004 and February 2006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osterior cervical polyaxial screw-rod fixation was applied on the cervical spine and/or upper thoracic spine. The surgical indication was fracture or dislocation in 18, C1-2 ligamentous injury with trauma in 5, atlantoaxial instability by rheumatoid arthritis (RA) or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DISH) in 4, cervical spondylosis with myelopathy in 4, and spinal metastatic tumor in 1.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and evaluated based on their clinical status and radiographs at 1, 3, 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Results : A total of 189 screws were implanted in 32 patients. Fixation was carried out over an average of 3.3 spinal segment (range, 2 to 7). The mean follow-up interval was 20.2 months. This system allowed for screw placement in the occiput, C1 lateral mass, C2 pars, C3-7 lateral masses, as well as the lower cervical and upper thoracic pedicles. Satisfactory bony fusion and reduction were achieved and confirmed in postoperative flexion-extension lateral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in all cases. Revision surgery was required in two cases due to deep wound infection. One case needed a skin graft due to necrotic change. There was one case of kyphotic change due to adjacent segmental degeneration. There were no other complications, such as cord or vertebral artery injury, cerebrospinal fluid leak, screw malposition or back-out, or implant failure, and there were no cases of postoperative radiculopathy due to foraminal stenosis. Conclusion : Posterior cervical stabilization with a polyaxial screw-rod system is a safe and reliable technique that appears to offer several advantages over existing methods. Further biomechanical testings and clinical experiences are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the true benefits of this procedure.

인공치의 표면처리가 3D 프린팅 의치상레진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artificial resin teeth and 3D printing denture base resin)

  • 최지혜;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00-305
    • /
    • 2020
  • 목적: 인공치의 표면처리가 3D 프린팅 의치상레진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상적용에 있어 참고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3D 프린팅 의치상레진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고, 인공치의 표면처리는 sandblasting, 프라이머의 적용 유무에 따라 5가지 군으로 나누어, 각 군마다 10개씩 진행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값은 one-way ANOVA로 통계분석 후 Turkey test를 통해 사후검정하였다. 이후 파절된 시편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평균전단결합강도는 표면 처리 하지 않은 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프라이머 처리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P < .05). 또한 프라이머 처리한 군에서 대부분 응집파절을 나타내었다. 결론: 3D 프린팅 의치상레진에 인공치를 결합 시 인공치의 기계적·화학적 표면처리는 전단결합강도를 증가시켜 3D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여 의치를 제작할 경우 기계적·화학적 표면처리를 통해 인공치의 탈락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sandblasting 과 프라이머를 처리하는 방법이 추천된다.

RBM 표면 임플란트와 산부식 표면 임플란트의 3년 생존율에 대한 비교 연구 (3-Year Survival Analysis of RBM and Acid-Etched Surface Implants)

  • 윤대웅;김문섭;장한성;진수영;마득현;정경달;박현춘;김희중;김학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393-40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RBM과 산부식 임플란트의 3년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총 152개의 RBM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이 중 1개의 임플란트에서 실패가 발생하였는데, 원인은 식립체의 파절이었다. 또한 총 152개의 산부식 표면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는데, 이 중 7개의 임플란트에서 실패를 하였으며, 원인으로는 과열, 감염, 초기고정 불량 등이었다. RBM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9.34%, 산부식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5.39%로 두 가지 임플란트 모두 양호한 생존율을 보였으나, RBM 임플란트에서 다소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