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ntegrated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for LNG Membrane Storage Tank

멤브레인식 LNG 저장탱크용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

  • Kim, Chung-Kyun (Research Center for Tribology, Mechatronics and Energy Technology Hongik University)
  • 김청균 (홍익대학교 트리보.메카.에너지기술 연구센터)
  • Received : 2010.02.04
  • Accepted : 2010.04.2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 super-large LNG membrane storage tank has been present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measuring equipments and safety analysis system for a conventional LNG membrane storage tank. The integrated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which may increase a safety and efficiency of a super-large LNG membrane storage tank, added additional pressure gauges and new displacement/force sensors at the steel anchor between an inner tank and a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The displacement and force sensors may provide clues of a membrane panel failure and a LNG leakage from the inner tank. The conventional leak sensor may not provide proper information on the membrane panel fracture even though LNG is leaked until the leak detector, which is placed at the insulation area behind an inner tank, send a warning signal. Thus, the new integrated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s to collect and analyze the temperature, pressure, displacement, force and LNG density, which are related to the tank system safety and leakage control from the inner tank. The digital data are also measured from measurement systems such as displacement and force of a membrane panel safety, LNG level and density, cool-down process, leakage, and pressure controls.

본 연구에서는 기존 멤브레인식 LNG 저장탱크의 측정장치와 안전장치에 대한 고찰과 분석을 통해 초대형 멤브레인 식 LNG 저장탱크에 적합한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기존에 단수로 설치한 압력계를 추가하고, 기존의 LNG 저장탱크에는 없는 변위센서와 하중센서를 내부탱크와 예응력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를 관통하는 강재앵커에 새로이 설치함으로써 초대형 LNG 저장탱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변위센서와 하중센서는 멤브레인 패널의 파손여부, 내부탱크로부터 발생된 LNG 누설의 단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기존의 누설센서는 내부탱크 뒤편의 보냉재 공간에 설치한 온도센서에 의해 LNG 누설이라는 신호를 보낼 때까지도 멤브레인 패널의 손상에 관련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결국 새로운 통합제어안전관리시스템은 온도, 압력, 변위량, 하중, LNG의 밀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시스템의 안전성과 내부탱크의 누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는 멤브레인 패널의 안전성에 관련된 변위량과 하중, LNG의 액위와 밀도, 쿨다운 공정, 누설, 압력 등을 제어하기 위해 측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철, "인천LNG 가스누출 이유 있었네," 경향신문 (2007. 7. 5)
  2. 박양수, "가스저장시설 관리체계 '구멍'," 문화일보 (2007. 10. 24)
  3. 김영환, "송도 LNG 저장탱크 가스누출 원인도 파악 못해," 한겨레신문 (2007. 2. 9)
  4. 강경숙, "평택 LNG 기지 가스누출 은폐 의혹," 평택시민신문 (2007. 10. 10)
  5. 안영건, "한국가스공사 평택LNG기지 가스누출 '축소' 의혹," 재난포커스 (2007.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