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quality.

검색결과 724건 처리시간 0.024초

TMF와 배합사료의 급여방법이 거세한우의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eeding Method of Concentrate and Total Mixed Fermentation in Hanwoo Steers)

  • 박병기;안준상;최장근;권응기;신종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1-291
    • /
    • 2019
  • 본 연구는 TMF 및 배합사료 급여방법의 차이가 거세한우의 사양성적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거세한우 24두(166.3±34.4kg)를 이용하였으며, 시험구배치는 육성기부터 비육후기까지 배합사료와 볏짚을 급여하는 대조구, 육성기부터 비육전기까지 TMF를 급여하고 비육후기에는 배합 사료와 볏짚을 급여하는 T1 및 육성기부터 비육후기까지 TMF를 급여하는 T2의 3처리로 하였다. 일당증체량 및 건물섭취량은 처리구간 차이는 없었으며, 혈중 cholesterol 및 HDL-cholesterol 농도는 대조구에 T2에서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TMF 및 배합사료의 급여방법이 거세한우의 육량등급 및 육질등급에 미치는 영양은 없었으며, 등심의 명도는 대조구 및 T2구에 비해 T1구에서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PUFA 비율은 대조구에 비해 T2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MF 및 배합사료의 급여 방법은 거세한우의 성장과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없이 등심의 육색 및 지방산 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공시두수 및 사료 배합비 등에 따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야초 사일리지의 품질향상에 관한 연구 I. 칡 사일리지 제조에 있어서 물, 전분, 포도당 첨가효과 (Studies on the Quality of Silage from Domeestic Herbage I. Effects of water , corn starch and glucose as additives on Kudzu ( Puerarie thunbergii Bentham ) silage)

  • 김대진;임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2-167
    • /
    • 1987
  • 本 실험은 등과야초인 칡에 당분을 첨가한 사일리지를 조제하여 사료배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였다.칡은 줄기와 잎을 2.0~2.5cm로 절단하여 2l들이 플라스틱 용기에 물8% 첨가한 사일리지, 물8%와 전분3%첨가한 사일리지, 물8%와 포도당3% 첨가한 사일리지 그리고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칡 사일리지를 조제하였으며 이들과 옥수수 사일리지를 비교하였다. 사일리지의 발표품질인 유기산과 조직성분의 특성(NOF, AOF, AOL)과 pepsin-cellulase 에 의한 건물消化率(OMO)을 예정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 1. 모든 처리의 칡 사일리지는 10% 이상의 무게 손실이었다. 2. pH에 있어서 포도당첨가 칡 사일리지가3.80, 전분첨가 칡 사일리지가 4.04, 대조구의 칡 사일리지가 4.57 그리고 물만을 첨가한 칡 사일리지는 5.34 순위로 높았다. 3. 유산함량에 있어서는 옥수수 사일리지(1.93 %), 포도당첨가 칡 사일리지 (1.89%), 전분첨가 칡 사일리지(1. 31 %), 대조구의 칡 사일리지 (0.57%), 그리고 물만을 첨가한 칡 사일리지(0.44%) 순위로 낮았다. 4. Fliegs 평점은 대조구의 칡 사일리지 22, 물첨가만의 칡 사일리지가 60, 전분 첨가한 칡 사일리지가 87이었으며, 옥수수 사일리지와 칡 사일리지는 각각 100이었다. 5. 칡 사일리지의 조단白質含量은 13.50-15.59%로서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P>0.05). 6. 포도당과 전분을 첨가한 힘 사열리지의 NO-F, ADF, ADL含量이 다른 處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P< O. 05). 7. 포도당과 전분을 첨가한 칡 사일리지의 건물消化率은 다른 처리에 비하여 크게 增加하였다(P <0.05). 8. pH (X)와 총산(Y) 과의는 Y=-0.70X +4.96 (P< 0.01), 유산(X)과 세포내용울(Y) 과는 Y=10.61X+25.84 (P< 0.05). 그리고 리그닌 (X)과 건물소화율(Y)과는 Y=-2.48X +74.35 (P<0.05)이였다.

  • PDF

보리 품종간 혼파 비율에 따른 수량과 사료적 가치 (Effect of Mixed Seeding Types and Ratios of Whole Crop Barley for High Yield and Feed Value)

  • 송태화;박태일;오영진;한옥규;박형호;현종내;권영업;김경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58-463
    • /
    • 2015
  • 사료용으로 개발된 청보리 품종들은 일반 곡실용 보리품종에 비해 조사료 생산량이 30%이상 증수하고 가축선호성이 우수한 품종이다. 이러한 사료용 전용품종을 이용하여 품종이 가지고 있는 생육특성별 단점을 보완한 품종간 혼파 재배기술의 개발을 통한 군락공간의 최대 활용 및 영양가치 등을 고려한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최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양보리는 직립초형이고 다수성이며, 유연보리는 삼차망이면서 키가 크고, 다미보리는 무엽이 특성이 있고, 우호보리는 포복형이면서 키가 크고 매끈망을 지니고 있다. 소만보리는 숙기가 빠르고, 분얼이 많은 특성이 있다. 2조보리인 호품보리는 청보리에 비해 등숙이 빠르고 분얼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품종을 이용하여 청보리 최적 혼파 조합을 선발하고자 시험조사한 결과, 영양50+호품50 조합, 유연70+호품30 조합, 다미50+호품50 조합이 가장 좋았고, 이 중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인 조합은 유연70+호품30 조합이었다. 품질특성면에서는 조단백함량이 높고, NDF와 ADF 수치가 낮고, TDN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로 인정받는데 품종간의 조합 중 유연보리와 호품보리, 다미보리와 호품보리 조합이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다.

지난 20년간 한국 초지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의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During Last Twenty)

  • 임용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5-200
    • /
    • 2002
  • 1982년 이후 2001년까지 지난 20년간 한국초지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연구대상별, 연구분야별 및 영구영역별로 조사하여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지난 20년간 한국 초지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의 총 수는 668편이었으며, 연구대상별로 구분해 보면 초지에 대한 연구논문이 20년 평균 18.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초종으로 오차드그라스가 8.7%, 옥수수가 8.4%, 수수, 수수$\times$수단그라스 잡종이 7.1% 순으로 많이 연구되었다. 다음은 알팔파 6.3%, 톨페스큐 5.8%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5.6%, 호밀 5.1%, 크로버류 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분야별로 구분해보면 재배분야가 20년 평균 38.8%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생리분야로 전체발표 논문의 23.7%, 이용분야가 20.7%, 육종분야가 9.1% 그리고 생명공학분야가 6.6%를 차지하였다. 이를 다시 연구영역별로 세분화 해보면, 분뇨 및 시비에 관한 논문이 18%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재배방법에 관한 논문 15%,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관한 논문 13.8%, 초지조성 및 개량 등에 관한 논문 9.1%, 품종 비교시험에 관한 논문 7.3%, 사일리지에 관한 논문 7.3%, 생명공학에 관한 논문 6.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외 미생물 및 토양, 방목, 잡초, 작부체계, 건초, 품종개발, 소화율, 병충해, 유전자원 및 기타 등의 연구영역이 나머지를 차지하였다. 지난 20년간(1982~2001) 연구영역의 평균비율과 최근 5년간(1997~2001)의 평균비율을 비교해보면, 분뇨 및 시비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최근 5년간 평균 20%를 차지하여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명공학에 대한 연구가 20년 평균 6.6%에서 최근 5년 평균 15%로 급속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은 잡초에 관한 연구가 20년 평균 2.5%에서 최근 5년간 5.9%로 증가하였다.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는 '82~'86 5년 평균 31.3%에서 최근 5년간 7.7%로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방목연구 또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Orchargrass - Red Clover 단순혼파초지의 시비수준이 목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P-K Levels on the Herbage Yield and Quality of Orchargrass - Red Clover Mixtures)

  • 이형석;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7-315
    • /
    • 1994
  • 본 연구는 휴경지 및 완경사지를 잡약적인 방법으로 초지를 조성하여 단기간(3~6년)에 걸쳐 목초생산성을 증진하는데 자적을 두고 orchardgrass(OG)-red clover(RC) 단순혼파초지의 관리 및 이용체계를 확립하고자 1991년에서 1993년까지 3년간 N-P-K 시비수준 6처리를 두어 (0-0-0-, 50-100-100, 100-150-150, 200-250-250, 300-250-250kg/ha)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P-K 시비수준의 높아짐에 따라 처리구에서 OG의 건물수량은 현저히 증가된 반면에 RC의 건물수량은 감소되었다(P<0.01). 3년 평균 - 건물수량은 N-P-K 300-350-350kg/ha 수준에서 13,082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200-250-250kg/ha와 150-200-200kg/ha수준에서 각각 10,664kg과 10,564kg을 얻었으나 두 수준간에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식생구성비율 N-P-K 시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OG는 증가되었고 반면에 RC는 감소되었다. 3년차 최종 예취시 식생구성비율은 ha당 N-P-K 시비수준이 0-0-0-일 때 OGdkh RC의 비율이 20%:80%인데 비해 150-200-200kg/ha에서는 60%:40% 이었고 300-350-350kg/ha 수준에서는 84%:16%이었다. 3. CP 함량 및 DMD는 N-P-K 시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RC의 식생구성비율 감소로 인해 낮아졌으며(P<0.05) 반대로 NDF gkaifd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P<0.01). 4. CP 및 DDM 함량은 N-P-K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3년 평균 CP 및 DDM 함량은 300-350-350kg/ha 수준(1,847 및 9,391kg)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200-250-250kg/ha(1,651 및 7,774kg) 150-200-200kg/ha(1,676 및 7,757kg) 수준이었으나 두 처리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OG-RC 단순혼파초지에서의 N-P-K시비수준은 건물수량과 CP DDM 함량으로 보면 300-350-350kg/ha일 때 가장 높았으나 RC의 식생구성비율 수준 및 투입된 비료 가격을 기초로 초지에서의 목초생산비용을 고려할 때 OG-RC 단순혼파초지에서의 N-P-K시비수준은 150-200-200kg/hark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바랭이 우점 야초지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Crabgrass(Digitaria Sanguinalis L.) Dominant Sward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7-202
    • /
    • 1999
  •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L.) 우점 야초지의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영양소 이용성 등을 구명하여 조사료원으로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숙기별 건물수량, 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였고, 재래산양 12두를 공시하여 혼파목초와 바랭이 우점 야초를 급여하여 섭취량, 건물소화율 및 질소와 에너지 이용성 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바랭이 우점 야초지의 평균 건물수량은 8,473kg/ha이었으며, 평균 CP, NDF, ADF 및 lignin 함량은 각각 13.0%, 74.1%, 38.6% 및 10.4%이었다. 건물섭취량은 바랭이 우점 야초지가 혼파초지에 비하여 다소 낮은 편이었으나 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건물소화율, 세포내용물의 소화율, NDF 및 ADF 소화율은 바랭이 우점 야초지가 혼파초지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질소 및 에너지의 이용성은 바랭이우점 야초지가 혼파초지에 비하여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바랭이 우점 야초지는 혼파초지에 비하여 건물섭취량과 소화율 및 질소와 에너지이용성 등이 다소 낮은 편이지만, 시비를 하지 않고 연간 8,473kg/ha의 건물수량을 얻을 수 있어 부존 조사료원의 하나로 이용 가능성은 크다고 하겠다.

  • PDF

삼산간척지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재배환경이 종자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ivation Environments on Seed Yield and Quality of Italian Ryegrass in Samsan Reclaimed Land)

  • 남철환;김기수;박만호;윤안아;배희수;장현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3-79
    • /
    • 2020
  • 본 연구는 전남 장흥군에 위치한 삼산간척지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의 종자 생산단지 조성 추진을 위한 안정적인 종자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IRG 종자는 가을 파종 기준으로 출수 후 35일에 종자를 수확하는 것이 가장 많은 수량성(2,232kg/ha)을 나타내었고, 출수 후 45일, 55일로 수확 시기가 늦춰짐에 따라 탈립으로 인해 수량성이 감소하였다. 출수 후 35일 수확 시 벼 입모중 파종은 벼 후작 파종과 비교하여 종자 수량성이 약 80% 수준이었고, 봄 파종은 벼 후작의 40% 수준으로 수량 차이가 컸다. 가장 많은 종자 수량을 얻은 것은 국내산 종자를 사용하여 벼 후작으로 30kg/ha 조파하는 것으로 2,507kg/ha의 종실 수량을 보였다. 가을 파종 시험구에서 출수 후 35일에 수확한 종자의 발아율은 최고 92.7%에서 최저 42.0%로 50.7%의 큰 차이가 있었고, 출수 후 45일에서 출수 후 55일로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각각 26.7%와 28.7%로 그 차이가 줄어들었다. 종자 채종 후 부산물인 IRG 짚은 출수 후 35일 수확을 기준할 때 벼 후작으로 수입산 종자를 20kg/ha 조파하는 것이 ha당 생초중이 36,667kg, 건물중이 14,500kg, TDN 수량이 7,895kg로 높았다. 가을에 파종한 IRG의 짚은 평균 건물중이 11,871kg/ha이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5.7%, TDN 함량은 54.4%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통상 수확하는 IRG 조사료에 비해 사료가치가 낮으나, 볏짚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삼산간척지에서 국내산 종자를 10월 상순에 30kg/ha 수준으로 조파하여 출수 후 35일에 수확할 경우 ha당 대략 종자 2.5톤과 부산물로 짚을 11톤 정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종자대가 kg당 2,500원, 짚이 kg당 100원에 판매된다고 가정하면, 종자 수확 시 범용콤바인 작업비로 ha당 100만 원이 별도로 소요된다고 하더라도 조사료 생산 시보다 약 339만 원/ha의 추가 수익을 발생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제초제에 의한 초지개량시험 II. Glyphsate 및 Paraquat의 사용량과 살포시기가 겉뿌림 초목의 정착 ,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asture Improvement with Herbicides II. Effects of rate and timing of glyphosate and paraquat application on esatblishment, production and quality of surface-sown pasture species)

  • 김동암;권찬호;임상훈;한왕범;김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9-175
    • /
    • 1985
  • 본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를 경운(耕耘)을 하지 않고 초지화(草地化)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方法)을 구명(究明)할 목적으로 1983-1984년 사이에 수행되었다. 시험구의 처리로서는 제초제(除草劑)를 살포하지 않은 무처리구와 Glyphosate 및 Paraquat의 다른 양(量)을 목초파종(牧草播種) 30일, 445일 및 60일전에 살포하는 구를 두었다. 오차드그라스의 정착율(定着率)은 제초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라디노클로비의 정착율은 Glyphosate 및 Paraquat 제초제처리의 영향을 받았다. Glyphosate 및 Paraquat 제초제를 목초(牧草)를 파종하기 $30{\sim}60$일전에 살포했을 때 토양잔여해독(土壤殘餘害毒)이 나타나지 않았다. 제초제를 처리한 구에서의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비살포구에 비하여 유의적(有意的)으로 높았으며 가장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이 높은 구는 파종전 45일째 ha당 1.8kg의 Glyphosate를 살포한 구였다. 제 3 회 수확시 Glyphosate 처리구의 관목(灌木) 및 야초(野草)의 식생비율(植生比率)은 5%였으나 무처리구에서는 51%까지 남아 있었으며 사초(飼草)의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 및 IVDMD는 제초제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다. 본시험결과 Glyphosate제초제는 Paraquat 제초제에 비하여 관목(灌木) 및 야초제거(野草除去)에 더 효과가 있었으며 겉뿌림 초지개량시 Glyphosate제초제를 ha당 유효성분량으로 $1.8{\sim}2.8kg$을 겉뿌림 $30{\sim}45$일전에 살포하는 것이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건물수량증가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양질 조사료 급여에 따른 한우 송아지의 IgY 처리효과 (Effects of IgY Supplementation on Hanwoo Calves Fed withHigh Quality Roughage)

  • 홍병천;신종서;박병기;김병완;성경일;안준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9-16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gY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sm, and disease occurrence in the weaned calves at 3 or 4 month of age.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intakes were not affected by IgY supplementation, regardless of weaning months. White blood cell (WBC) count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in the final stage than in the initial stage (p<0.05), while that of the IgY supplemented group was lower in the final stag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p<0.05). regardless of treatments. Hematocrit (HCT) and red blood cell (RBC) counts were lower in the final stage than in the initial stage (p<0.05), but mean corpuscular volume (MCV)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counts were higher in the final stage than in the initial stage, regardless of treatments. In the control group, concentrations of albumin and globulin were higher in the final stag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in the weaned calves at 3 month of age (p<0.05), and concentration of blood urea nitrogen (BUN) was increased in the IgY supplemented group. In the control group, concentration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gamma (${\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were higher in the final stag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p<0.05). In contrast, concentration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gamma(${\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were lower in the final stag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for the IgY supplemented group. A diarrhea calf was only found in the control group. Manure score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IgY supplemented group (p<0.05). Thus,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IgY supplem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ome blood metabolites, fecal condition score and diarrhea without negativ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of the weaned Hanwoo calves.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수입건초의 Ca과 P 함량 예측 (Predicting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Imported Hay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이배훈;김지혜;오미래;이기원;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9-34
    • /
    • 2021
  • 본 연구는 근적외선분광법을 활용한 조사료의 Ca과 P 함량의 분석 가능성을 검토하고 예측 정확성이 높은 검량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국 건초 수입상, TMR 회사와 축산 농가에서 수집한 수입 화본과와 두과 목건초 392점 중에서 무작위로 126점을 선택하여 검량식 개발에 이용하였다. 선택된 시료는 시료측정 전처리 방법을 생시료 처리와 건조분쇄 처리구로 나누어 근적외선 스펙트라를 측정하고 근적외선 파장대역을 가시영역, 근적외선, 전파장영역으로 구분하여 검량식을 개발하여 예측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수입건초의 Ca과 P 함량에 대한 예측 정확성은 시료 전처리 방법과 파장대역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시료전처리 방법은 건조하여 분쇄하는 방법과 파장대역별로는 근적외선 파장(1,100~2,500 nm)대역에서 예측 정확성이 높게 나타났다. 수입건초의 Ca 함량 예측 정확성은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건조분쇄 측정이 SEC 292.3 mg/kg(R2=0.99)와 SECV 468.6 mg/kg(R2=0.98)로 가장 정확한 예측능력을 나타냈다. 수입건초의 P 함량은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건조분쇄 측정이 SEC 204.4 mg/kg(R2=0.91)과 SECV 224.7 mg/kg(R2=0.89)로 가장 정확한 예측능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조사료의 주요 광물질인 Ca과 P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시료 측정시 건조하여 분쇄하는 전처리 방법과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검량식을 개발하는 것이 예측 정확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