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service satisfaction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25초

외식업체의 효율적인 식자재 관리와 구매방법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ntrol and Purchasing Methods of Food Items on Restaurant Business Performance)

  • 조은혜;황영정;조용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6-309
    • /
    • 2014
  • 본 연구는 외식업체의 식자재 관리수행과 구매방식 등이 기업의 경영성과와 성과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식자재관리, 구매방법 그리고 경영성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자재 유통방식, 식자재 관리는 유통시스템만이 성과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식자재 관리수행도 하위요인 중 식자재 유통방식, 식자재 관리는 식자재 관리 만족과 유통시스템 만족은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식자재 공급방식, 식자재 만족, 구매방법 만족도는 식자재와 공급방식의 만족요인이 성과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식자재 구매방식 하위요인 중 식자재의 만족은 경영성과향상에도 유의한 영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외식업체의 효율적인 식자재 관리 수행과 유통시스템 만족요인이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를 둔 주부들의 유기농 식품 구매 인식 및 결정요인 (Survey on Recognition and Purchase Decision Factors related to Organic Food in Housewives with Young Children)

  • 김병희;최근영;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2-162
    • /
    • 2016
  • This study surveyed recognition and purchase decision factors related organic food in housewives with young children. The most common reason for purchasing was "environmental-friendly" with 47.6%. When checking food labels, "nutritional ingredients" was the most considered (29.5%). Preference levels for organic food were in the following order: grains (26.8%) > vegetables (23.7%) > dairy (16.9%) > root and tuber crops (14.0%) > fruits (6.0%). For awareness of quality of organic food, the highest awareness factor was "safer than normal food" at $3.91{\pm}0.72$. For awareness of confidence in organic food, the highest awareness factor was "good for health" at $4.11{\pm}0.68$. For awareness of satisfaction of organic food, the highest awareness factor was "origin labeling" at $4.02{\pm}0.76$. Regarding awareness of purchasing intention of organic food, the highest awareness factor was "I will purchase organic food as possible as I can" at $4.02{\pm}0.79$. In the correlation analysi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displayed the highest correlation (0.640), and there were othe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alue/purchasing intention (0.586), confidence/purchasing intention (0.560), and satisfaction/purchasing intention (0.575). Further, the analysis showed that among value, quality, and price, only value had direct influence on the purchasing intention.

커피전문점 직원의 팔로워십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지식공유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ollowership of Coffee Speciality Members on LMX, Knowledge Sharing, and Job Attitude)

  • 김리경;박봉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73-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커피전문점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팔로워십 특성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지식공유,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317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팔로워십 특성에서는 두 요인, 목표일치성, 능동적 참여로 도출하였으며 두 요인 모두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에 정(+)의 영향이 검증되었다. 또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식공유 역시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공유가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커피전문점의 직원들 간의 지식공유가 조직 내에서 중요한 변수임을 나타내고 있다. 시사점으로 본 연구에서의 팔로워십,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및 지식공유 등의 관계는 직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을 가져올 수 있도록 유도하고 커피전문점 조직의 경험과 기술이 축적된 인력의 이탈을 막아 유능한 인적자원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호텔 양식당 식음조리 관리자의 리더십이 효능감과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tel Western Restaurant F&B and Kitchen Manager's Leadership on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조성호;박재희;이석만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4-110
    • /
    • 2010
  • 본 연구는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리더십 유형이 자기 효능감과 집단 효능감 및 조직 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분산 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혁적 리더의 구성 개념 중 카리스마/비전,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은 집단 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별적 배려/지적 자극은 자기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이 집단 효능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 매개로 조직 몰입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집단 효능감은 직무 만족을 경유해서 조직 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 몰입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부모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와 유아의 채소 섭취 관련 식생활 및 보육기관의 식단 메뉴에 관한 만족도 (Parents' Recognition of Center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and Preschoolers' Satisfaction with Menu Provided by Childcare Centers and Food Life Regarding Vegetable Intake)

  • 허남주;이홍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5권2호
    • /
    • pp.129-14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arents' recognition of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and to compare preschoolers' satisfaction for meals served by childcare centers and some aspects regarding the vegetable intake according to the parents' recognition of CCFSM. The subjects were 255 parents, whose children were 2~5 year old and attended a childcare center,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CCFSM (high recognition, HR, 27.5%; medium recognition, MR, 47.4%; low recognition, LR, 25.1%). Information was obtain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Only 58.6% of HR and 10.7% of MR answered the they had participated education/event held by the CCFSM. More parents in the HR group (88.6%) acknowledged the helpfulness of CCFSM on the children's food habits compared to those in the MR group (63.6%) (P<0.001). Compared to the MR and LR groups, more parents in the HR group answered not only that they were 'satisfied'/'very satisfied' with the meals served by childcare centers (P<0.05), but also they tended to think that their children were also satisfied (P=0.061). Up to 31.2% of parents in the LR group answered that there was no need for education to increase the vegetable intake of their child compared to 14.3% and 17.4% in the HR and MR groups, respectively (P<0.05). Moreover, up to 26.6% of parents answered that school cook planned menus compared to 5.7% and 13.2% in the HR and MR group, respectively (P<0.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d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high recognition of CCFSM and preschoolers' satisfaction for meals from childcare centers as well as a better chance for a desirable food life regarding vegetable intake.

식품영양학 전공과 타 전공 학생들의 전공 관련 현장 실습 만족도, 수행 평가도 및 인식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Evaluation and Awareness of Internship Programs among Major and Non-major Students in Food and Nutrition)

  • 최미경;전예숙;배윤정;김은영;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4-50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s of satisfaction, and awareness, as well as evaluations of internship programs between major and non-major students in food and nutri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questionnaire to 80 major and 113 non-major students in food and nutrition who had finished an internship. For the primary internship facilities, the proportions were 51.3% in foodservice for the major group and 57.4% in business & industry for the non-major group. For the internship period, the proportions were 71.2% for under 2 weeks in the major group, and 42.9% for $2{\sim}4$ weeks in the non-major group(p<0.001). The proportions of students who were provided orientation from a professor(p<0.001), and visiting guidance by a professor(p<0.001), were 40.5% and 35.4%, respectively, in the major group and 73.4% and 82.1 %, respectively, in the non-major group. The proportions answering that the internship was a necessity were 95.0% in the major group and 75.2% in the non-major group(p<0.001). The majo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scores for location of the internship facility, internship period, and connection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as compared to the non-major group. However, the satisfaction score for professor's guidance during the internshi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ajor group than the other group. The evaluation score for 'I did my best when doing my wor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jor group than the non-major group. The majo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scores for the internship's degree of assistance in improving skills, making use of knowledge, and adapting to the field, as compared to non-major group. In conclusion,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faithfully participated in their internship programs, with higher degrees of satisfaction and awareness, and higher evaluations. However, more effective internship program with intensified and developed guidance by professor are needed.

패밀리 레스토랑의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Family Restaurant)

  • 김현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12-51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패밀리 레스토랑에 있어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이 고객 만족도에 영향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마산 지역에 위치한 K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으로는 인구통계학적 자료,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 실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 그리고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005년 1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72부가 회수되어 85.0%의 회수율을 보였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독립변수)이 고객만족도(종속변수)에 영향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은 31.3%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의 5개 구성 개념(자아연계적 애착, 만족도, 신뢰, 몰입, 친밀감) 중에서 신뢰와 친밀감의 2개 구성 개념이 유의수준 p < 0.001에서 유의적으로 고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이 강하게 형성될수록 고객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임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향후 패밀리 레스토랑 운영자들은 궁극적으로 소비자 만족도 향상을 통한 꾸준한 매출과 성장을 위하여서는 기존의 브랜드에 대한 홍보보다는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을 강하게 형성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음식축제 웹사이트 서비스품질과 이용후기 정보성이 이용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Food Festival Websites and Review Information on Satisfaction with Use and Behavioral Intention)

  • 김민정;전현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4-308
    • /
    • 2015
  • 본 연구는 음식축제 방문객이 인지하고 있는 웹사이트 서비스품질과 이용후기 정보성의 속성을 알아보고, 축제 웹사이트 서비스품질과 이용후기 정보성이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축제 웹사이트의 만족을 통해 축제에 대한 긍정적인 구전 및 방문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대상 축제는 경북지역의 대표적인 지역음식축제로 분류되며, 4년 연속 경상북도 최우수축제로 선정되었고, 17회 연속으로 개최되어 지역의 음식축제로 자리잡은 영덕대게 축제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영덕대게 축제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방문객 중에서 영덕대게 축제 방문 전 축제 홈페이지에서 정보를 검색한 경험이 있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음식축제 웹사이트 이용후기 정보성과 서비스품질의 디자인, 내용충실성, 고객응대성, 시스템능력은 이용만족을 통하여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축제 방문을 유도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웹사이트 서비스품질 관리가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이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for Jeonju Hanok Village on the Image of Traditional Cultures and 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Korean Restaurants)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6-4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주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이 전통문화이미지와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 기간은 2013년 6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 한옥마을에 있는 한정식 레스토랑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전주시민을 제외한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 요인은 3개요인으로 음식 요인, 한국미 요인, 역사성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이미지에 대한 요인은 2개의 요인으로 전통이미지 요인, 문화이미지 요인으로 명명하여 가설 설정 후 검증을 하였다. 가설 I의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은 전통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은 전통미 요인이 전통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I은 채택이 되었다. 둘째, 가설II의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은 문화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음식 요인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II는 채택이 되었다. 셋째, 가설 III의 "전통이미지와 문화이미지는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 결과, 전통미 요인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III은 채택이 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업종별로 레스토랑 만족도 연구가 다양한 연구방법에 의해서 활발하게 진행이 되어야 하며, 한정식 레스토랑 만족을 위해서 한옥마을 이미지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 PDF

저장 기간에 따른 스페셜티 등급 커피의 소비자 관능평가 (Consumer's Sensory Evaluation of Specialty Grade Coffee during Storage)

  • 권대중;이민준;박옥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33-1038
    • /
    • 2012
  •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specialty grade coffee of which the market will be expanded through customer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of specialty grade coffee by the SCAA classified method with consideration to defective beans and scent. The specialty grade coffee sample of this study was extracted on day 1, day 14, and day 28. The water content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n the 28th storage day and there was no pH change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Color degree was brightened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period before and after grind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anels for sensory evaluation considered of 24 university. The sensory evaluation consist of aroma, bitterness, and astringency, acidity, aftertaste, overall satisfaction, and items for strength estimation consist of aroma, acidity and bitterness. The sensory evaluation was expressed by applying a 5 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so too did the aroma and the strength of bitterness. Preference was the highest on day 1 in every items except aroma and astrigency. However on day 14 and day 28, most of the sensory evaluation became low and then became high, which was inconsistent. Male students were not consistent in their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period, but female students rated aroma and bitterness the lowest on preservation period day 1 and they prefer after a storage period of 1 day in regards to the entire degree of satisfaction including sour test. astrigency and aftertaste. The analysis of visiting frequency for coffee shops used demonstrated that the longer the preservation period, the lower the preference but was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involving a little frequency group. The group that did not like Americano coffee evaluated that the longer the preservation period, the lower the preference based on Americano coffee preference analysis. There was no consistency between the storage period day 14 and day 28 in strength and preference, but preference for storage period day 1 was high in every group, which means that the quality of coffee is affected by the preservatio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