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microorganism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6초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자소잎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Briton var. acuta Kudo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 이가순;이주찬;한규흥;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9-244
    • /
    • 1999
  • 자소잎중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2종의 부패곰팡이(Aspergillus flavus KCTC 6143, Aspergillus jlavus KcrC 6961) 및 5종의 식중독세균 ( 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 Staphylococc따 aureus 196E ATCC 13565, Escherichia coli 0157:H7 ATCC 43895,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1, Yersinia enterocolitica)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생육증식 저해농도를 disk method로 검색한 결과 에탄올추출물에서 그 효과가 인정되어 5종의 식중독 세균에 대하여 자소잎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 가한 후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Gram양성균(L. monocytogenes, S. aureus)의 경우가 Gram음성균(E. coli 0157:H7, S. typhimurium, Y. enterocolitica)에 비하 여자소잎 에탄올추출물에 의한 증식억제효과가 추 출물 $1000\mu\textrm{g}$/mL 농도 첨가구에서 월둥히 컸으며 생 육증식억제효과의 크기는 L. monocytogenes, S. aureus, S. typhimurium의 순이었고, E. coli 0157:H7과 Y enterocolitica균에 대한 생육증식억제 효과는 농도첨 가별에 따라 생육증식이 비례적으로 억제되었다. 자 소잎 에탄올 추출물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처리한 후에도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 PDF

유해미생물에 대한 참나무과 식물 잎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Quercus spp. Leaf Ethanol Extract Against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 공영준;홍거표;권혜정;홍정기;박부길;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5-420
    • /
    • 2001
  • Eighteen kinds of medicinal edible herbs, which are nontoxic and has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folk medicine, were extracted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investigated against various foodborne pathogens or food poisoning microorganisms. Among them,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and followed by Quercus aliena and Quercus dentata, respectively. Thus, further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species extracts. The plants were extracted with ethanol, methanol and water, respectively. The ethanol, m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Quercus mongolica leaf showed 10~21 mm inhibition zone against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at two thousand $\mu\textrm{g}$ per disc, but little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against fungi and yeast.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was 250$\mu\textrm{g}$/mL against Bacillus cereus. Salmonella typhimurium, and Pseudomonas aeruginosa and 62.5~125 $\mu\textrm{g}$/mL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respectively.

  • PDF

복합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 및 축산식품 저장성 증진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a Bacteriocin Mixture from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한경식;오세종;문용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4-171
    • /
    • 2002
  •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9종의 유산균 배양액으로부터 ammonium sulfate를 첨가하여 제조된 각각의 조박테리오신을 혼합하여 복합박테리오신용액을 제조하였다. 복합박테리오신의 항균 활성은 단일 박테리오신보다 우수하였으며 항균 범위 또한 넓어짐을 알 수 있었고 단일 박테리오신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박테리오신은 pH와 열에강한 안정성을 보여 식품 가공 중에도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박테리오신을 프랑크소세지, 모짜렐라 치즈 및 돈육등심근에 첨가한 후 저장기간별 일반세균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현상을 나타내었고 저장 28일 경과 후에는 모든 식품에서 1/10 또는 1/100 정도로 식품내 총세균이 억제되었다. 또한, 저장기간 중 VBN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돈육등심근과 모짜렐라 치즈의 경우 14일 이후부터 박테리오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육회 중에 분포하는 미생물과 주요 식중독 세균의 조사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nd Foodborne Pathogens in Yukae)

  • 이시형;김진만;김명희
    • 육가공
    • /
    • 통권35호겨울호
    • /
    • pp.34-45
    • /
    • 2008
  • 육회는 가열처리 없이 섭취하기 때문에 다양한 미생물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의 육회 전문점 5곳을 선정하여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식당에서 판매되고 있는 조리된 육회를 식품공전 방법에 따라 중온성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측정하였고 식품중에 검출되어서는 아니되는 병원성 세균인 Salmonella spp., Staph. aureu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의 검출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육회에는 중온성균이 6.6$\times$103-2.7$\times$105 CFU/g, 대장균군이 8.9$\times$101-2.1$\times$105 CFU/g으로 분포되었다. 모든 육회 시료에서 Salmonella spp., E.coli O157:H7,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한 시료에서 Staph. aureus가 검출되었다. 이외 임상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들이 동정되었다. 가열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육회는 원료의 생산 및 조리과정에서 엄격한 위생 감독이 요구된다.

  • PDF

육회 중에 분포하는 미생물과 주요 식중독 세균의 조사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nd Foodborne Pathogens in Yukae)

  • 이시형;김진만;김명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7-202
    • /
    • 2007
  • 육회는 가열처리 없이 섭취하기 때문에 다양한 미생물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의 육회 전문점 5곳을 선정하여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식당에서 판매되고 있는 조리된 육회를 식품공전 방법에 따라 중온성균 수와 대장균군 수를 측정하였고 식품 중에 검출되어서는 아니되는 병원성 세균인 Salmonella spp., Staph. aureu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의 검출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육회에는 중온성균이 $6.6{\times}10^3-2.7{\times}10^5\;CFU/g$, 대장균군이 $8.9{\times}10^1-2.1{\times}10^5CFU/g$으로 분포되었다. 모든 육회 시료에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한 시료에서 Staph. aureus가 검출되었다. 이외 임상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들이 동정되었다. 가열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육회는 원료의 생산 및 조리과정에서 엄격한 위생 감독이 요구된다.

식중독균에 대한 신갈나무 잎 추출물과 유기산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mongolica Leaf Ethanol Extract and Organic Acid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 공영준;박부길;오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8-183
    • /
    • 2001
  • 신갈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력은 추출 온도별로는 $60^{\circ}C$에서 추출시 $30^{\circ}C$$90^{\circ}C$에 추출하는 것보다 약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추출 용매별로는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가 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보다 대체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인 B. cereus, S. aureus 그리고 L. monocytogenes균에 대하여 $62.5{\sim}125\;{\mu}g/mL$ 범위에서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으나 그람음성균인 S. typhimurium과 P. aeruginosa 균은 $250\;{\mu}g/mL$, E. coli O157:H7 균에 대하여는 $500\;{\mu}g/mL$ 이상에서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다. B. subtilis ATCC 6633균과 L. monocytogenes ATCC 19111균에 대한 젖산, 구연산, 초산 및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두균모두 각각 2,500, 5,000, 1,250 및 $125\;{\mu}g/mL$이었으며 이들의 병용처리시 B. subtilis ATCC 6633균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L. monocytogenes ATCC 19111균에 대하여는 상승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각각의 sub-lethal 농도에서 E. coli O157:H7 0019균에 대한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과 유기산들과의 병용처리시 두 물질간에는 상승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Isolation of Major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from Ready-to-Eat Seafoods and Its Reduction Strategy)

  • 김순한;신영민;이명자;신필기;김미경;조정숙;이창희;이영자;채갑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41-947
    • /
    • 2005
  • 부산 및 경남일대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는 생선회, 패류 등의 횟감류 213건을 대상으로 주요 식중독 원인균인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57:H7,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및 Campylobacter jejuni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V. parahaermolyticus가 65건(30.5%), B. cerus가 21건(9.9%), S. aureus가 8건(3.8%) 및 기타 식중독균이 3건에서 검출되었다. 이를 월별 검출율로 비교해 보면, 7~10월에서 식중독균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높은 검출율은 주로 V. parahaemolyticus에 기인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생선회에서의 검출율(28.9%) 보다는 패류 등의 기타 횟감류에서 더욱 높은 검출율(49.2%)을 나타내었다. V. parahaemolyticus의 경우 Ampicillin (96.9%), Amikacin (29.2%) 및 Tetracycline (27.7%)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B. rereus의 경우는 Ampicillin (100%), Penicillin G (100%) 및 Rifampicin (71.4%)에 대해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V. parahaemolyticus와 B. cereus의 생육은 보관온도 및 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돗물 세척이 해산물에 잔존하는 V. parahaemolyticus의 균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어, 여름철 해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발생의 예방을 위해서 $10^{\circ}C$이하의 저온보관과 수돗물로써의 철저한 세척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유의 열처리가 우유품질과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 I. 우유 열처리 기술의 발달사 - (Effects of the Heat-Treatment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Milk - I.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Heat-Treatment Technology in Milk -)

  • 정안나;오세종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271-278
    • /
    • 2016
  • The main purpose of milk heat-treatment is to improve milk safety for consumer by destroying foodborne pathogens. Secondly, heat-treatment of milk is to increase maintaining milk quality by inactivating spoilage microorganisms and enzymes. Pasteurization is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Dairy Federation (IDF, 1986) as a process applied with the aim of avoiding public health hazards arising from pathogens associated with milk, by heat treatment which is consistent with minimal chemical, physical and organoleptic changes in the product. Milk pasteurization were adjusted to $63{\sim}65^{\circ}C$ for 30 minutes (Low temperature long time, LTLT) or $72{\sim}75^{\circ}C$ for 15 seconds (High temperature short time, HTST) to inactivate the pathogens such as Mycobacterium bovis, the organism responsible for tuberculosis. Ultra-high temperature processing (UHT) sterilizes food by heating it above $135^{\circ}C$ ($275^{\circ}F$) - the temperature required to destroy the all microorganisms and spores in milk - for few seconds. The first LTLT system (batch pasteurization) was introduced in Germany in 1895 and in the USA in 1907. Then, HTST continuous processes were developed between 1920 and 1927. UHT milk was first developed in the 1960s and became generally available for consumption in the 1970s. At present, UHT is most commonly used in milk production.

식품유해균에 대한 차류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rne Organisms)

  • 오덕환;이미경;박부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0-106
    • /
    • 1999
  • Use of chemical preservative for controlling harmful microorganisms in food products has been debated due to public concerns about food quality because of perceived toxic and carcinogenic potential. Thus, use of non toxic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has become essential.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or ethanol extract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and of solvent fractionated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steamed green tea. Both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green tea(steamed or roasted), oolong tea and black tea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but not effective against yeast and mold. Also,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4 different kinds of tea was stronger than that of water extract. Among 4 different tea, ethanol extract of steamed green tea was further fractionated. One thousand g/disk buthanol extract ha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and mold. The concentr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uthanol extract in tested microorganisms ranged from 125~1000 g/disk except for Rhizopus javanicus. Antimicrobial activity of buthanol extract of steamed green tea was not destroyed by heating at 100oC for 60 min and at 121oC for 15 min, which is very stable over heat treatment.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buthanol extract on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investigated. Growth of both strains was started in the presence of 250 and 500 g/ml after 12 and 24 hour respectively, whereas complete inactivation of both strains was occurred in the presence of 1000 g/ml.

  • PDF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at Microbiological Community on Dry Aged Beef

  • Ryu, Sangdon;Park, Mi Ri;Maburutse, Brighton E.;Lee, Woong Ji;Park, Dong-Jun;Cho, Soohyun;Hwang, Inho;Oh, Sangnam;Kim, You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05-108
    • /
    • 2018
  • Beef was dry aged for 40-60 day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refrigerated room with a relative humidity of 75%-80% and air-flow. To date,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microbial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dry aged beef.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effect of change in meat microorganisms on dry aged beef. Initially, the total bacteria and LA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or 50 days during all dry aging periods. There was an absence of representative foodborne pathogens as well as coliforms. Interestingly, fungi including yeast and mold that possess specific features were observed during the dry aging period. The 5.8S rRNA sequencing results showed that potentially harmful yeasts/molds (Candida sp., Cladosporium sp., Rhodotorula sp.) were present at the initial point of dry aging and they disappeared with increasing dry aging time. Interestingly, Penicillium camemberti and Debaryomyces hansenii used for cheese manufacturing were observed with an increase in the dry aging period.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in microorganisms exerts an influence on the quality and safety of dry aged beef, and our study identified that fungi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latability and flavor development of dry aged be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