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tourism

검색결과 1,070건 처리시간 0.023초

관광객 요구분석에 따른 복합자연공원 개발방향 연구 (The Direction for Complex Natural Park Development According to Demand Analysis of Tourists)

  • 조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85-9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전 중심의 획일적인 국공립공원 개발방식에서 벗어나 보전개념과 함께 흥미 있는 테마를 적용하여 복합적인 개념의 자연공원 개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관광트랜드와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 대상지인 경기도 가평 연인산 도립공원의 방문객 대다수가 수도권에 거주(87%)했고, 주 이용객은 20-30대(52%)로 나타났다. 숙박시설은 독립빌라형을 가장 선호(47%)했고, 상업시설은 식음 및 판매시설에 대한 확충(65%)을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도입시설에 있어 자연생태체험(43%), 건강 휴양시설(34%)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 체험과 휴양을 핵심 컨셉으로 한 다양하고 질 높은 테마형 자연공원조성이 필요하고 환경보전을 병행해야 하겠다.

  • PDF

쇠고기 원산지 이미지가 소비자 품질지각,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untry-of-origin image of Beef on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최원식;이수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9-10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쇠고기 원산지 이미지가 소비자 품질지각, 태도 및 구매 의도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실증 분석 대상자는 서울 지역 소재인 쇠고기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27일부터 2011년 1월 10일까지 15일 동안 3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 56부를 제외한 244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 하였다. 첫째, 쇠고기 원산지 이미지는 소비자들의 품질지각, 태도 및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가진다. 둘째, 소비자들의 품질지각은 소비자 태도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 관계를 가진다. 셋째, 소비자의 태도는 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쇠고기 원산지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소비자 품질지각, 태도 및 구매의도 모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아래와 같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쇠고기의 원산지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쇠고기를 친환경적으로 사육하고, 정기적인 검진 통을 통하여 위생적이고 안정적인 제품 생산을 하고 이에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쇠고기 이미지를 증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of front-of-pack nutrition labeling

  • Kim, Woo-Kyoung;Kim, Ju-Hy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4호
    • /
    • pp.300-306
    • /
    • 2009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for front of pack labeling in Korea and the perception of consumers for the new system of labeling, front of pack labeling, based on the consumer survey. We investigated the number of processed foods with front of pack labeling in one retailer in Youngin-si. And we also surveyed 1,019 participants nationwide whose ages were from 20 to 49; the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the knowledge of 'front of pack labeling', and the opinion about the labeling syste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3.4% of processed foods had front of pack labeling, and 16.8% of the consumers always checked the nutrition labeling, while 32.7% of the consumers seldom checked it. In addition, 44.3% of the consumers think that 'front of pack labeling' is necessary, and 58.3% of the consumers think it is important to show the percentage of daily value as a way of 'front of pack labeling'. However, 32% of the consumer think the possibility of 'front of pack labeling' is slim. Meanwhile, 58.3% of the consumers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contents. The number of favorite nutrients in the front of pack was four or five. It seems that the recognition of current nutrition labeling has the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of using the future 'front of pack labeling'. Along with our study, the policy for 'front of pack labeling' has to be updated and improved constantly since 'front of pack labeling' helps consumer understand nutrition facts.

정책목표 및 지원요소별 사업비 분석을 통한 농촌개발정책 변화 고찰 (1997~2015) (Change Analysis of the Rural Development Policy based on Budget Distribution (1997~2015))

  • 김대식;권용대;배승종;김수진;김성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2호
    • /
    • pp.111-1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rural development policies in the last 20 years by analyzing the budget distribution by policy objectives and support factors. 1997, 2000, 2005, 2010 and 2015 Guidelines of Agricultural, Food and Rural Development Project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budget distribution. The objectives of rural development policy were classified into 5 fields and 27 detailed factors such as production environment, distribution environment,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s, living environment, income support. The support factors of rural development policy were classified into 3 fields and 17 detailed factors. The budget of rural development policy has greatly increased from 952,297 million won in 1997 to 4,869,174 million won in 2010 and 3,905,340 million won in 2015. In budget distribution by policy objectives, the policy was mainly focused on management funding in 1997, 2000 and in the 2000s, it was confirmed that investment in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was rapidly taking place. In budget distribution by policy support factors, it was found that living environment and welfare environment support factor in rural area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and welfare, tourism, and living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2005.

The Impact of Reputation of Culture & Tourism Oriented Markets on Revisit and WOM Intention in Traditional Markets

  • Park, Jong-Ho;Chung, Lak-Chae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8호
    • /
    • pp.77-86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ect of reputation in culture oriented market on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WOM) effects for Traditional Marke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5 point Likert-scale has been adopted for this study designed based on previous study. Used SPSS ver.23, factor analysis & Cronbach's alpha, correlation, regression test were made. 277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 Tourist satisfaction as an element that affects on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effects for traditional Market. Their goods images and impressions from experience of traveling and purchasing keep in mind and be another place and story to talk others.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aintains and regenerates cities and cities should be perceived as cultural places instead of simple physical places. Culture was associated with higher revisit and word of mouse intentions for traditional market. The tourists can select a new places and visit the market if it has a special culture and special food which people can like and enjoy even they do not have regional brand image. Conclusions - Tourist satisfaction of users in traditional markets and their revisit intention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revisit and word of mouse intentions. Culture factors will be the motive to find out peoples a hometown in heart.

규칙적인 식사습관이 성인남성의 비만지표와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gular Dietary Habits on Obesity Indices and Nutrition Intakes in Adult Males)

  • 조강옥;정상열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3권2호
    • /
    • pp.114-122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d compare the effects of dietary habits on and obesity indices and nutrition intakes among four hundreds and seven healthy adults males subjects. Subjects were classified as regular meal group(RMG) and irregular meal group(IRMG). Two hundreds and thirteen subjects of RMG had regularly 3times meal(time and amount) per 1 day during more than last 6 month. One hudred and ninety four subjects of IRMG(n=194) were not had regularly meal during last 6 month. Obesity indices were BMI(Body Mass Index), WHR(Waist Hip Ratio) and PIBW(Percentage of Ideal Body Weight). And the mean BMI, WHR and PIBW of RMG and IRMG were 23.1, 0.91, 104.8 and 24.7, 0.93, 112.9. PIBW of IM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RMG(p<0.01). The mean daily intakes of starches, seeds, meats, eggs, fishes, milk, fats and processed food intakes of RM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RMG. And the mean daily intakes of vegetables, mushrooms and beverages intakes of the IRM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RMG. Energy intake of RMG and IRMG were 1978.2kcal and 1988.2kcal. For nutrient intake, vitamin C intake of IRM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RMG. But niacin and cholesterol intake of RM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IRMG. Meal regularity was mainly related with obesity indices and nutrition intakes. Therefore, it might be necessary to manage meal regularity to prevent obesity and chronic disease in Korean adult males.

  • PDF

블루베리 가루를 첨가한 쌀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Pound Cake prepared with Blueberry Powder)

  • 이원갑;이정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77-585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pound cake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blueberry powder. The weight of rice pound cakes with additions of 2~8% blueberry powder increased from 418.58 to 420.50 g. The volume and specific loaf volume of rice pound cakes prepared by adding blueberry powder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baking loss rate for the control was 7.72% and that of rice pound cakes prepared by adding blueberry powder decreased by 6.98~6.56%. The moisture contents of rice pound cakes added with blueberry powder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The pH levels for rice pound cakes prepared with blueberry powder ranged between 6.47 and 7.58 and that of the control was 8.11. The microstructural observa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howed well developed air cells of contro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as 13.6%, whereas pound cakes prepared by adding blueberry powder ranged from 35.2~78.8%. The "a" value of redness was increased, but L and b valu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additions of blueberry powder. The full textural properties of rice pound cakes were being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tions of blueberry powder.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for pound cakes showed that 4~6% of substituted sampl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ditions of 4~6% blueberry powder was the best substitution ratio for rice pound cakes.

강원도 향토음식의 메뉴 품질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Degree for Menu Quality of the Regional Cuisine in Gangwon Province)

  • 이형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13
    • /
    • 2010
  • 본 논문은 강원도 향토음식의 메뉴 품질 만족도에 대하여 요인 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검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직접 서비스 품질 만족도의 경우, t-검정 결과는 거주지, 학력, 수입 변수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성별, 지역, 직업별로 만족도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문 횟수, 관광 수준별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결과를 보였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직접 서비스 만족도를 높게 평가하였으며, 지역별로는 춘천과 속초 지역이 강릉 지역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서비스 품질 만족도의 경우는 성별, 지역 및 직업 특성 변인에 대해서는 유의수준 1%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인 반면, 다른 특성 변인들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였다. 직접 서비스 품질 만족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평균 만족도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간접 서비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유추할 수 있다고 하겠다.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지역별로는 직접 서비스 만족도의 경우와 같이 춘천, 속초가 강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 PDF

가열시간에 따른 데리야끼 소스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 according to the Boiling Time)

  • 송청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6-247
    • /
    • 2009
  • 소스가 창업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이며 차별화된 소스는 음식 매출을 좌우하는 것은 물론이고, 직접 판매도 가능해 앞으로 음식점 경쟁력 강화의 필수 요소라고 한다. 농후제를 사용하지 않고 설탕을 첨가한 조미액을 농축하여 사용하는 데리야끼 소스는 가열하는 시간에 따라서 소스의 색, 맛, 점도 등 주요 특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닭 뼈를 이용하여 데리야끼 소스를 제조할 때,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의 관능평가를 통해 데리야끼 소스 제조시 기호도가 가장 좋은 가열시간을 찾아내서 산업화 하는데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수분 함량과 pH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당도와 점도는 증가하였다. 한편, 색도는 명도와 적색도는 8시간에서 최대치가 되었다가 이후로 낮아졌고, 황색도의 경우 가열시간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정량적 묘사분석의 경우 소스만 평가하였을 때는 잡냄새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동반식품을 곁들였을 때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호도 검사에서 소스만 평가하였을 때와 닭고기를 곁들였을 때는 8시간 가열한 소스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고, 장어를 동반식품으로 곁들인 경우에는 10시간 가열한 소스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닭 뼈를 이용한 데리야끼 소스의 가열시간은 8~10시간(본 실험에서 설정한 제한적인 조건하에서)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반음식점의 쇠고기 원산지 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Research on Consumer Awareness Due to Origin Declaration of Beef in General Restaurant)

  • 이승미;진양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2-127
    • /
    • 2009
  • 2007년 현재 한 미 FTA 협상 결과에 따라 미국산 수입 쇠고기의 개방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외식시장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국내 외식시장은 '쇠고기 원산지 표시제의 정착'과 '국내산 한우와 수입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 니즈의 충족'이라는 당면과제를 안고 있다. 이와 같이 조사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음식점의 쇠고기 원산지 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수준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 쇠고기를 선호하는 이유는 한우에 비해 맛은 떨어지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음식점에서 판매하는 국내산 한우에 대한 불신감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국내산 한우는 맛의 우수성, 안전성, 신선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반면, 수입 쇠고기는 모든 속성에서 보통 수준 이하의 낮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판단해 볼 때, 쇠고기의 원산지 표시제에 대한 일반음식점의 올바른 인식과 원산지 표시제도의 정착을 통해 소비자들이 믿고 먹을 수 있는 외식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국내산 한우와 수입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