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ide tap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불소를 함유한 PVA 고분자 접착 테잎의 불소 유리 효과 (THE FLUORIDE RELEASING EFFECT OF PVA FLUORIDE-POLYMER ADHESIVE TAPE)

  • 임성옥;이상호;이난영;박승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7-33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체 안정성이 입증된 고분자제제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로 얇은 박막을 제조하고 NaF을 첨가하여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을 개발하여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불소바니쉬(Cavityshiled$^{TM}$, 0.25 ml, Group 1)와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 Trial product, $1\;cm^2{\times}$ 12개, Group 2)을 각각 10명씩 치과대학 남학생의 치아(상악 12개, 순면)에 도포 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비자극성 전타액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도포 후 30분과 1시간에서는 1군이 2군보다 높은 타액 내 불소농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도포 후 2시간, 3시간, 4시간에서 2군이 1군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p<0.05). 3. 도포 후 24시간 이후부터는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불소 테잎 적용 후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 내 불소농도 (A CHANGE OF THE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AFTER FLUORIDE-CONTAINING TAPE APPLICATION)

  • 박승효;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77-384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기저재에 불소를 분사하여 제작한 불소 테잎을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APF gel(60seconds $taste^{(R)}$, 1.23% APF gel, Group I), Fluoride varnish($CavityShield^{TM}$, 5% NaF, Group II), Fluoride tape(SCMC-T-5, 5% NaF, Trial product, Group III)을 군별로 9명씩 건강한 20대 남녀성인의 구강에 도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7시간, 1일, 2일, 3일 후 비자극성 전타액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 2, 3일 후와 비교하여 모든 그룹에서 7시간 까지 초기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다. 도포 후 1, 2, 3일에는 초기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도포 후 1, 3, 5, 7시간에 타액 내 불소농도는 모든 시간에서 2군, 3군, 1군 순으로 높았다. 3. 도포 후 1시간과 3시간 후에 2군의 불소농도는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1군과 3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불소 테이프의 법랑질 탈회 억제 효과에 관한 실험적 평가 (IN VITRO EVALUATION OF EXPERIMENTAL FLUORIDE TAPE IN INHIBITION OF ENAMEL DEMINERALIZATION)

  • 김민정;이상호;이난영;박승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9-1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 표면 미세경도의 측정과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본 교실에서 개발한 2.26%의 불소를 함유한 폴리비닐알코올 테잎 (F-PVA tape)의 법랑질 탈회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60개의 법랑질 표본을 각 군당 15개 씩, 임의로 대조군, F-PVA tape 군, 불소바니쉬 군, CPP-ACFP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재광화 제재를 도포한 후 pH-cycling 과정 거쳤다. 표본의 표면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표면 미세경도 소실량을 계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해, 각 군에서 5개의 표본을 추출하고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H-cycling 후, F-PVA tape 군과 불소바니쉬 군의 법랑질 표면 미세경도 값은 CPP-ACFP 군과 비교 시 유의하게 높았으며, F-PVA tape 군과 불소바니쉬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시, F-PVA tape 군과 불소바니쉬 군에서는 법랑질 표면에 형성된 수많은 구형 및 난원형의 결정 입자들이 관찰되었으며, 결정 입자의 밀도는 대조군 및 CPP-ACFP 군에서 보다 높았다. F-PVA tape은 법랑질의 탈회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며, 그 효과는 불소바니쉬와 견줄만하고, CPP-ACFP 보다 우수하다.

불소함유 접착 테이프의 상아질 지각과민증 치료효과 (THE THERAPEUTIC EFFECT OF FLUORIDE-CONTAINING ADHESIVE TAPE ON DENTIN HYPERSENSITIVITY)

  • 장향길;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67-376
    • /
    • 2009
  • 본 임상연구는 상아질지각과민증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불소(NaF)를 이용하여 불소테이프(SCMC-T-5)를 개발,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아질 지각과민 치료 효과를 기존의 불소바니쉬(Cavity $Shield^{TM}$)와 비교, 평가하였다. 상아질 지각과민증이 있는 건강한 20대 남녀 22명(88개 치아)이 본 임상연구에 참가하였으며, 각각 11명씩 불소테이프를 부착시킨 실험군과 불소바니쉬를 도포한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불소 제제는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적용되었으며, 불소 제제 도포 전, 도포 3일후, 1주일 후, 4주일 후 대상치아에 압축공기와 얼음막대를 이용하여 자극을 가한 뒤 visual analog scale(VAS)을 이용하여 통증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실험군에서 VAS scores는 초기에 38.636(air), 62.273(ice), 3일 후 30.273(air), 49.545(ice), 1주일 후 28.182(air), 40.000(ice), 4주일 후 26.364(air), 37.727(ice)이었으며, 초기 VAS socres에 비해 모든 VAS scores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대조군에서 VAS scores는 초기에 42.274(air), 65.909(ice), 3일 후 34.091(air), 55.909(ice), 1주일 후 28.636(air), 40.909(ice), 4주일 후 27.727(air), 31.364(ice)이었으며, 3일 후에 시행된 압축공기에 의한 자극검사를 제외한 모든 VAS scores는 초기 VAS socres와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본 임상연구에 사용된 불소테이프와 불소바니쉬는 상아질 지각과민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고, 두 약제간의 치료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 PDF

폴리비닐알코올 기반 고분자 불소 함유 테이프의 구강 내 불소 유리 성능 평가 (EVALUATION OF FLUORIDE-RELEASING CAPACITY FROM POLYVINYL ALCOHOL POLYMER TAPE SUPPLEMENTED WITH NAF IN ORAL CAVITY)

  • 이가영;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9-97
    • /
    • 2013
  • 연구의 목적은 인체 안정성이 입증된 고분자제제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로 얇은 박막을 제조하고 불화나트륨(NaF)을 첨가하여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이프(NaF-PVA)를 개발하여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제제 도포 전후의 타액 내 불소농도를 분석하여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이프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불소겔(60seconds taste$^{(R)}$, Group 1), 불소바니쉬(FluoroDose$^{(R)}$ varnish, Group 2)와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이프(NaF-PVA, Tiral product, Group 3)를 각각 15명씩 상악 치아 12개의 순면에 도포 후,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후 비자극성 타액 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포 후 3시간까지 세 군 모두 불소제제 도포 전 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으며 3군의 경우 도포 후 6시간에서도 불소제제 도포 전 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다(p < 0.05). 도포 후 6시간에서 3군은 1군과 2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고 (p < 0.05), 1군과 2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불소함유 접착테잎의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 (PREVENTIVE EFFECT OF ADHESIVE TAPE SUPPLEMENTED WITH NaF ON ENAMEL EROSION IN VITRO)

  • 이상호;이난영;이인화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2-90
    • /
    • 2010
  • 본 연구는 불소함유 접착테잎의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를 평가하기 위해건강한 소의 치아를 절단하여 아크릴 주형에 매몰하고 정중선에 홈을 형성하여 대조면과 불소 제제를 도포할 실혐면으로 나누었다. 시편을 무작위로 18개씩 4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APF gel를 도포하고, 2군은 불소 바니쉬를 도포하였으며, 3군과 4군은 5% NaF를 각각 첨가한 methyl cellulose와 poly vinyl alcohol 테잎을 부착하였다. 시편을 콜라에 5분, 증류수에 10분씩 6회 번갈아 처리하며 5일 동안 반복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라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고 5일후 각 시편을 절단하여 침식병소의 깊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면미세경도 값은 5일째만 제외하고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이 각각의 대조면에 비해 컸다 (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 역시 5일째만 제외하고 1군의 실험면에 비해 표면미세경도가 컸다 (p<0.05). 3군과 4군 사이에는 표면미세 경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1군의 실험면과 대조면은 표면미세경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침식병소의 깊이는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이 각각의 대조면에 비해 컸다(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은 1군의 실험면에 비해 침식병소의 깊이가 얕았다 (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 사이의 침식병소의 깊이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상기 결과로 보아 새로 개발된 불소함유 접착테잎은 기존의 불소 바니쉬와 같은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나, 법랑질 침식에 감수성이 높은 어린이 환자에게 임상적인 예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불소 첨가/미첨가 인공타액 용액에서 연마 및 마스킹 조건이 적층제조 Ti-6Al-4V 합금의 동전위분극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inding and Masking Conditions on the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Curves of Additively Manufactured Ti-6Al-4V Alloy in Artificial Saliva Solution with or Without Fluoride Ions)

  • 안경빈;장희진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6호
    • /
    • pp.475-483
    • /
    • 2021
  • Additively manufactured titanium alloy is one of the promising materials in advanced medical industries. However, these additively manufactured alloys show corrosion properties different from those of conventional materials due to their unique microstructu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and masking conditions on the results of the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sts on additively manufactured or conventional Ti-6Al-4V alloys in artificial saliva solution with or without fluoride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osion potential was slightly lower with a flat cell with an O-ring than with masking tape. The corrosion rate was decreased with decreases in the surface roughness. Localized corrosion involving delamination of the surface layer occurred at 7 ~ 9 V (SSC) on the additively manufactured alloy in solution with or without fluoride when the samples were finished with 1000-grit SiC paper, whereas localized corrosion was not observed in the specimens finished with 1-㎛ alumina paste.

5%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고분자 접착필름의 법랑질 재광화효과 (Effect of Polymer Adhesive Film Supplemented 5% NaF on Enamel Remineralization)

  • 지명관;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8-224
    • /
    • 2014
  • 이 논문은 법랑질의 표면미세경도와 QLF의 ${\Delta}F$ 값의 변화를 분석하여 5%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이 법랑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하였다. 시편을 탈회한 후 표면미세경도가 평균 50-100 KHN의 범위를 갖고 QLF의 ${\Delta}F$ 값이 -25에서 -15 범위를 갖는 60개의 시편들을 4그룹으로 나누었다 : 그룹1(대조군), 그룹2(NaF-PVA), 그룹3(불소바니쉬, FluoroDose$^{(R)}$ varnish), 그룹4(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Tooth mousse plus$^{TM}$). 시편들에 각 제제들을 적용하고 인공타액(artificial saliva)에 담근 후 표면미세경도계와 정량 광 형광기를 이용하여 재광화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은 그룹1과 4보다 뛰어나며 그룹3과 견줄만한 재광화 효과를 나타냈다 (p<0.05).

교정용 와이어 및 브라켓에 이산화티탄 광촉매 코팅 시 코팅방법에 따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hysical properties of $TiO_2$ thin films according to a coating method on orthodontic wires and brackets)

  • 고은희;조진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51-464
    • /
    • 2006
  • 본 연구는 항 교정장치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이산화티탄 광촉매의 코팅 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시판되고 있는 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에 sol-gel법,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및 PE-CVD (Plasma Enhanced-CVD)법으로 이산화티탄을 각각 코팅한 다음 각 방법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 박막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코팅박막 표면의 거칠기를 관찰하였고 adhesive tape pull test를 이용하여 코팅박막의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메틸렌블루용액에 각 시편을 침지시킨 후 시간경과에 따른 메틸렌블루용액의 농도변화 측정을 통해 코팅박막의 분해능을 평가하였으며 불화나트륨 용액에 각 시편을 침지시킨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부식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불소화합물에 대한 내부식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코팅박막의 표면은 CVD법 및 PE-CVD법이 sol-gel법이나 코팅되지 않은 시편에 비해 더 매끄러웠다. 코팅박막의 접착강도는 PE-CVD법이 가장 높았고, CVD법, sol-gel법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코팅박막의 메틸렌블루 분해능은 PE-CVD법이 가장 높았고, CVD법, sol-gel법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코팅박막의 불소화합물에 대한 내부식성은 CVD법 및 PE-CVD법이 sol-gel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정용 와이어 및 브라켓의 이산화티탄 광촉매 코팅 시 CVD법 및 PE-CVD법이 sol-gel법보다 적절한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학교구강보건에 대한 태도와 의견 (Attitudes and Opinions about School Oral Health Care among Health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 전진호;류원향;이성훈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5-218
    • /
    • 2002
  • Objectives : Becau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e sensitive and prevalent to dental caries, oral health care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OHCP) should be met the first priority for the national oral health care progra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d the guidelines for executing the efficient ESOHCP through the evaluation of present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status based on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health teachers. Methods : Subjects were 181 health teachers those are a part of the total 273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in Busan. From April to June 2001, questionnaire survey on the teacher's attitude and opinion, present status of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in their own school was done. Data was analyzed by $\chi^2$-test, t-test, ANOVA using SAS (ver 6.21) program. Results : Mean age of the teachers was 40 years (24~58 years) and mean scale of the subject school was 32 classes (5~58 classes). Above 90% of them agreed wit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SOHCP, but actual level of concerning was lower. They gained the informations about oral health mainly from media (33%), PC net (26%), academic society (25%), and more used internet (p=0.012) in younger generation. Though most of them (96%) had a specified school dentist, only 58% had the experience of periodic oral health examinations in their own school. The major experienced ESOHCP was fluoride brushing and contest to choose the best healthy teeth. Oral health education given by the teachers was not professional but their own. About half (42%) of the teachers had never taken education during last one year. Major education materials were VTR tape (79%), teeth model (64%), CD (55%), booklet (50%), etc., and the teachers' preference was also VTR tape (43%) and CD (41%). When they need education materials, they frequently request to dentist's association (36%), academic society (35%), but rarely to dental clinics or dentists (6%). They prefer that two times (46%) of annual oral health education, with the contents of regular brushing (53%), but lower regular visit to clinics (13%). The interest to oral health care (p=0.016) increased with teacher's age. And, they agreed regular students education in case of higher interest(p=0.044). Intention about join in the model school program was decreased with scale of school (p=0.002).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ed that the present status of ESOHCP is still insufficient. It considered that the health teachers' interest and role is most important for the maintenance and success of ESOHCP. The professional and efficient education program would be focused on the health teachers to induce drive on ESOH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