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 cutting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9초

주요(主要) 논잡초(雜草) 올챙이고랭이와 사마귀풀 생태(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Emergence and Ecology of the Scirpus hotarui and Aneilema japonica on Paddy - Field)

  • 김소연;송석길;김봉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9-113
    • /
    • 1985
  • 1.잡초(雜草)의 발생심도(發生深度)는 2개초종(個草種) 다같이 지표면(地表面)에서 발생(發生)이 많았으나 올챙이고랭이는 3cm깊이에서도 다소(多少) 발생(發生)하였고 그이상 깊이에서는 발생(發生)되지 않았으마 사마귀풀은 주로 표면(表面)에서 발생(發生)이 많았다. 2. 잡초(雜草)의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한 시기(時期)가 8월(月)18일(日) 이전이였고 그 이후(以後)에는 생육량(生育量)이 적었으며 3. 일장(日長)의 영향(影響)은 올챙이고랭이 및 사마귀풀 공히 단일처리(短日處理)하므로써 초장(草長)이 작고 분지수(分枝數)도 적었다. 개화기(開花期)는 단일처리(短日處理)하에서 빨라지는 영향(影響)을 나타냈다. 4. 사마귀풀은 재생력(再生力)이 1회절제(回切除)하므로써 재생(再生)되지 않았으며 올챙이고랭이는 분얼성기(分蘖盛期) 절제(切除)가 가장 재생력(再生力)이 높았다. 5. 올챙이고랭이 월동주(越冬株) 자체(自體)는 고사(枯死)가 없이 100% 재생(再生)이 가능하였고 근경부착수(根莖附着數)가 많을수록 발생(發生)이 잘되었다. 6. 잡초(雜草)와 수도수량(水稻收量)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각 초종(草種) 공(供)히 잡초수(雜草數)가 많을수록 수량(收量)이 낮았으며 그 원인(原因)은 수수(穗數)의 감소(減少)가 수량(收量)에 미친 영향(影響)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통문양을 활용한 금박패치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Gold Foil Patch Design Using Traditional Patterns)

  • 오유경;송정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5-107
    • /
    • 2022
  • In realit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cultures of other countries is at a delicate boundary. Additionally in the wake of the recent socio-cultural confron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t has become necessary to establish the foundation and area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o actively utiliz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awarenes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 reorganize the reckless use of the gold foil pattern shown in the rental hanbok, data on the museum's collection of gold leaf patter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gold foil, Gilsang characters such as Phoenix pattern, Crane pattern, Bat pattern, Flower pattern, Fruit pattern and recovery advice were extracted through references. The traditional gold foil pattern was reconstructed and relocated to design the gold leaf patch. Based on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museum's relics, the Wonsam & Daedae, Dangeui, Sranchima, Sagyusam, Jeonbok, Bokgun, and Daenggi were produced. Therefore, we present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gold foil and modern methods for producing gold foil using laser cutting techniques that can express refinement and complexity well, and gold foil thermal transfer paper with retouchable effects. Additionally, we would like to reflect upon the practicality and the convenience to modern people by considering the complexity and hassle of the traditional gold foil production process, and the disadvantages of processes that require relatively longer time. It intends to help revitalize the market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and fashion products.

흰가루병에 강한 흰색 장미 "Snow Day" 육성 (Breeding of White Rose "Snow Day" with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Sphaerotheca pannosa var. rosae))

  • 김성태;김원희;김영진;허건양;이은경;박필만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52-555
    • /
    • 2009
  • 2003년 화색과 잎의 광택이 우수하고 절화장이 길며 다수성인 품종 "Saphia"를 모계로 절화장이 길며 다수성이지만 잎이 약하고 흰가루병에 약한 품종인 "Bridal Beauty"를 인공교배 하여 얻은 실생계통 42주에 대하여 2004~2005년에 1차선발을 하여 1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06~2008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선발 된 '원교 D1-1008'을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Snow Day"로 명명하였다. "Snow Day"의 화색은 흰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155A로 나타나며, 흰가루병에 대하여 저항성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꽃잎수는 29.2개이며 화폭은 11.3 cm로 "Tineke"보다 약간 컸다. 년간 절화수량은 10a당 152본이며 절화장은 81.8 cm 절화경경은 6.7 mm였고 절화수명은 13.7일 정도를 나타내었다.

오렌지색 절화용 스프레이 장미 '체리티' 육성 (Breeding of Spray Rose Cultivar, 'Cherry Tea' with Light Orange Color)

  • 김원희;김성태;이은경;박필만;허건양;이광식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28-531
    • /
    • 2011
  • 2003년도에 오렌지색의 스프레이 'Pinocchio' 품종을 모본으로 다화성인 황색의 스프레이 'Flair'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였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파종을 실시하여 177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08년 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선발된 '원교 D1-506'을 2008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체리티'로 명명하여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 출원하여 2010년 6월 11일 품종등록되었다(등록번호: 3114). '체리티'의 화색은 밝은 오렌지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41A이며 화형은 반고심형의 화형이며 '리틀마블'에 비하여 약간의 향기를 가지고 있다. 꽃잎수는 34.0개로서 '리틀마블'의 24.3개보다 많았으며 화폭은 5.5 cm로 '리틀마블'보다 컸다. 평방미터당 년간 절화수량은 137본으로 '리틀마블'보다 많았으며 절화장은 68.8 cm 절화경경은 6.8 mm로 '리틀마블' 절화장 60.9 cm 절화경경은 6.3 mm로보다 길이가 길고 굵기는 비슷했다. 소화수는 '리틀마블'의 8.2개보다 많은 10.6개를 보여 우수한 스프레이 형태를 지닌 절화장미로 평가되었으며 절화수명은 12.4일로 '리틀마블'보다 길었다.

국내 절화국화 재배농가의 재배와 수확 후 관리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Cultivation and Postharvest Management Status of Cut Chrysanthemum Farms in Korea)

  • 노용승;유용권
    • 화훼연구
    • /
    • 제26권4호
    • /
    • pp.187-194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절화국화를 재배하고 있는 27개 농가를 선정하여 시설과 재배현황, 수확 후 관리 및 유통 실태를 조사하였다. 재배농가들의 60%는 PE필름 비닐하우스에서 토양 관비재배 방법으로 절화국화를 재배하고 있었으며, 전남과 부산은 스탠다드 국화를 주로 재배하고 있었다. 자가채취 또는 업체에서 구매한 삽수를 플러그 육묘하여 발근묘를 생산하고 있었으며, 전남지역에서는 주로 재배상에 직접 삽목하고 있었다. 절화국화를 수확한 후 전처리로 열탕처리 또는 수돗물로 물올림을 실시하는 농가가 66.6%로 나타났다. 예냉은 70.4% 농가에서 실시하지 않았으며, 예냉하는 농가들은 주로 $2{\sim}4^{\circ}C$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절화국화를 수확한 후 유통 물량을 조절하기 위해 70.4%의 농가에서 저장을 하고 있었으며, $2{\sim}4^{\circ}C$에서 48시간 이상 저장하고 있었다. 절화국화를 출하 전에 주로 개인별로 선별하고 있었으며, 일부 수출 농가에서만 공동선별을 하고 있었다. 유통에 있어서 모든 농가들은 국내로 출하하고 있었으며, 이들 농가 중 44.4%는 수출을 겸하고 있었다. 국내 시장으로 출하하는 경우, 63.0%의 농가에서 화훼경매장을 이용하고 있었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Orientalism in the Modern Fashion)

  • 이은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3
    • /
    • 2004
  •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how the Orientalism trend is expressed in the modem fashion in terms of silhouette, color, materials, and detail. To this end, the geographic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China, Japan, Korea, while data are collected from fashion collections, domestic and foreign magazines since 2000's, literature, and internet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ilhouette: the basic square silhouette of the Oriental traditional costume do not disturb the body movement and have an effected on design to smoothly follow the body line rather than cutting out materials into several parts or emphasize the curved body. 2. Colo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Oriental Zen thought, color trend seems to pursue simplicity rather than complexity, and natural aesthetics. In addition, the Oriental colorfulness shall not be ignored. 3. Materials: golden embroidered material, polished satin, jersey, tough or rough materials, etc. have used with materials of the Oriental traditional costume came into fashion. In pattern, the Orientalism trend is expressive of pattern by Chinese ink-spread technique, simple brush touch technique, cloud pattern, lotus flower pattern or dragon pattern, all of which feature the Oriental calm aesthetics or those motivated by the Oriental traditional patterns. 4. Detail: the techniques of handicrafts and manual arts such as meticulous embroidery, tassel or patchwork reflect well the Orientalism trend in the modem fashion.

  • PDF

저면관수 시스템에서 배양액 농도와 Arbuscular 균근균 처리가 분식 미니 장미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Growth and Flowering of Potted Miniature Rose in Ebb and Flow System)

  • 이범선;이인호;지성희;손보균;조자용;강종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2-119
    • /
    • 2004
  • 분화장미의 생장에 미치는 배양액 농도와 AMF(Arbuscular Mycorrhizal Fungi) 접종 및 접종시기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면관수(ebb and flow) 시스템에서 일본 원예시험장 배양액을 6농도(0.125, 0.25, 0.5, 1, 2, 4배)로 처리하고, AMF를 무접종, 삽목 시 접종 및 정식 시 접종 처리하여 식물을 재배하였다. 배양액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배지 침출액의 EC가 높아졌으며, AMF무접종 처리구와 삽목 시 AMF접종처리구의 배지 침출액 EC변화는 유사하였으나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의 EC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배지 침출액의 pH변화는 AMF무접종처리구와 삽목 시 AMF접종처리구가 서로 비슷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의 경우 pH변화가 크지 않고, 배앙액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다. 배양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초장, 건물중과 엽면적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AMF접종처리에 의해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개화단축 및 개화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삽목 시 AMF접종처리보다 정식 시 AMF접종처리가 우수하였다. 엽록소 함량에 있어서도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양액농도의 증가에 의해 N, P, K, Na 및 Mn의 엽중함량이 증가되었으며, AMF접종에 의해서도 증가되었으며,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이 제초효과 및 과실생산에 미치는 영향 (Weed Control Efficacy and Production of Fruit according to Several Weed Control Methods in an Apple Orchard)

  • 장일;강지은;김향미;박용석;이정득;서상재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04-110
    • /
    • 2015
  •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제초효과 및 과실 생산량, 약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시험처리는 부직포피복구, 초생재배구, 기계제초구, 제초제(GFA, Glufosinate ammonium SL 18%) 2회 및 3회 처리구와 무처리구를 두어 200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반복실험하였다. 시험 결과 처리별 방제효과는 부직포피복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GFA 3회 처리 98.7%, 기계예초 95.1%, GFA 2회 처리 81.5%, 초생재배 5.8% 순이었다.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과실 생산량은 GFA 3회 처리 27.2 Kg으로 시험구 중 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GFA 2회 처리 26.2 Kg, 기계제초구 25.3 Kg, 부직포피복구 24.1 Kg, 초생재배구 20.4 Kg, 무처리 13.3 Kg 순이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잎, 과실에서 약해 발생은 없었다.

Orchardgra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에서 붕소의 시용이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효과 1.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 및 근류 등의 특성 변화 (Effects of Boron Application on the Forage Traits in the Pure and Mixed Sward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I. Changes in the growth, flowers, roots, and nodules of forages)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1-90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붕소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근류 형성, 수량, 양양성분/무기양분 및 초종간 경합지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및 다른 미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시비량을 달리한 시비처리를 하였다. 붕소 처리수준은 1) $B_{0}$; 0.0, 2) $B_1$; 0.2, 3) $B_2$;2.0, 4) $B_3$;6.0, 5) $B_3$;6.0, 5)$ B_4$;15.0me B/pot로 하였으며, 본 I보에서는 붕소 처리별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 및 근류의 형성, 수분관리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White clover에서 붕소의 과다증상($B_3$$B_4$ 처리구)은 예취 차수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서 경감되었고, 전반기 예취기에는 orchardgrass보다 더 심한 과다증상을 보였다. 그리고 단파보다도 혼파재부에서 과다증상이 더 심했다. 각 초종별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는 공히 붕소의 과다증상이 경감되었다. 2. Orchardgrass에서 붕소의 과다증상은 잎의 선단 부위에 황화현상, 좁은 엽폭, 적은 분얼 및 약한 줄기를 보였으며, white clover는 고엽부터 엽변의 황화현상과 백화현상, 적은 분얼수 및 포복경을 생성하는 얼자의 미 형성이 관측되었다. 3. 적합한 붕소시비($B_2$)는 white clover의 뿌리생육, 근류 형성, 개화 및 화아가 양호하였고, 꽃의 생성기간이 길었으며 만개시기가 빨랐다. 그러나 혼파재배에서는 orchardgrass에 의한 억압된 생육 때문에 이 효과가 경감되었다. 4. 붕소의 시비효과는 orchardgrass보다 white clover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혼파재배에서 white clover는 추비가 시비되지 않은 5차 예취시에는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생육이 양호하였는데 이는 뿌리 및 근류의 형성이 더 양호한 특성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적합한 추비(특히 질소) 및 붕소의 시비는 양호한 식생을 갖는 grass-clover 혼파초지 조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GA3에 의한 산호수의 화아형성과 착과 및 비대 증진효과 (Effect of GA3 Treatment on Bud Formation, Fruit Set, and Enlargement in Ardisia pusilla)

  • 길미정;허은주;권영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555-560
    • /
    • 2011
  • $GA_3$에 의한 화아수 증진효과는 산호수 1년생, 생장조절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착과, 비대 및 착색 증진효과는 산호수 2년생을 사용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화아수는 $400m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이는 대조구보다 약 1.8배 많이 형성되었다. 착과율 증진을 위해 산호수 만개시기에 생장조절제를 처리한 결과, $GA_3$와 auxin처리구의 착과율이 증진되었으며, 이 중 $GA_3$가 더 효과적이었다. $GA_3$에 의한 착과율은 0.5와 $1.0mg{\cdot}L^{-1}$ 처리시 각각 약 70%와 77%로 대조구보다 약 1.8배 증가되었다. 또한 Auxin 중 Dichloprop triethanol amine도 약 7-12%가 향상되었지만, cytokinin과 anti-GA는 효과가 없었다. $GA_3$에 의한 산호수 열매 비대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만개 2달 후 열매 지름이 약 2-3mm되었을 때 0.3, 0.6, $1.2mg{\cdot}L^{-1}$를 1달 간격으로 3회 처리한 결과, $0.6mg{\cdot}L^{-1}$에서 약 15% 향상되었다. 그러나, 과피의 안토시아닌 측정에 의한 착색정도는 $GA_3$ 처리농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산호수에 있어서 $GA_3$는 화아수, 착과, 열매 비대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