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 bud formatio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Doritaenopsis Hybrid GIGANTEA Gene, Which Possibly Involved in Inflorescence Initiation at Low Temperatures

  • Luo, Xiaoyan;Zhang, Chi;Sun, Xiaoming;Qin, Qiaoping;Zhou, Mingbin;Paek, Kee-Yoeup;Cui, Yongyi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35-143
    • /
    • 2011
  • In the Doritaenopsis hybrid, like most of the orchid species and hybrids, temperature is crucial for the vegetative-to-reproductive transition, and low temperature is required for bud differentiation.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is process, an orchid GIGANTEA (GI) gene, DhGI1,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using the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PCR technique.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full-length cDNA is 4,022 bp with a major open reading frame of 3,483 bp, and the amino acid sequence showed high similarity to GI proteins in Zea mays, Oryza sativa, Arabidopsis thaliana and other plants. Semi-quantitative RT-PCR revealed that DhGI1 was expressed throughout development and could be detected in roots, stems, leaves, peduncles and flower buds. The expression level of DhGI1 was higher when the plants were flowering at low temperature (22/$18^{\circ}C$ day/night) than the other growth stages. Furthe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ccumulation of DhGI1 transcrip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low temperature, and concomitantly, initiation of the peduncle was observed. However, DhGI1 levels were low under high temperature (30/$25^{\circ}C$) conditions, and flower initiation was inhibi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ression of DhGI1 is regulated by low temperature and that DhGI1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orescence initiation in this Doritaenopsis hybrid at low temperatures.

Somatic Embryogenesis from Various Parts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 Xudong He;Ko Jeong-Ae;Choi Jeong-Ran;Kim Hyung-Moo;Kim Myung-Jun;Choi So-Ra;Kim Young-Gon;Kim Dong-Hee;Kim Hyun-S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27-431
    • /
    • 2006
  • In vitro high-frequency plant regeneration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was obtained via two developmental pathways: direct embryos and multiple shoots regenerated from embryogenic callus. Flower bud with pedicel, receptacle, petal and ovary wall, floral stalk and leaf as explants were cultur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Embryos formed directly from pedicel, receptacle and floral stalk. Depending on explant sources, the optimal medium was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2 mg/L IBA and 0.3 mg/L BA, 3.0 mg/L IBA and 3.0 mg/L BA, and MS-free medium for pedicel, receptacle, and floral stalk, respectively. Multiple shoots regenerated from embryogenic cal]i which was initiated from petal, ovary and leaf were observed in MS mediu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combinations of hormone. The most suitable medium for each type of explant was 3.0 mg/L IBA and 3.0 mg/L BA(petal and ovary) and 5.0 mg/L IBA and 5.0 mg/L BA (leaf)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0.1 mg/L 2,4-D and 1.0 mg/L BA was also good for all sources of explants not only for direct embryo formation, but also, for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The effect of water status on productive and flowering variables in young 'Arbequina' olive trees under limited irrigation water availability in a semiarid region of Chile

  • Beya-Marshall, Victor;Herrera, Julio;Fichet, Thomas;Trentacoste, Eduardo R.;Kremer, Cristian
    •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 HEB
    • /
    • 제59권6호
    • /
    • pp.815-826
    • /
    • 2018
  • The intense drought affecting olive production in Northern Chile underscores the need to research non-traditional irrigation strategies to obtain the best crop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obtain preliminary data to guide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Different water replenishment levels on crop evapotranspiration ($ET_c$ ; 13.5, 27.0, 40.5, and 54%) were established in a young orchard, cv. Arbequina, from the end of fruit drop (EFD) to full bloom in the next season.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plant water status (${\Psi}_{stem}$ ) and crop load, considered as function of fruit number divided by trunk cross-sectional area, on reproductive and productive variable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s. Our results show that crop load and ${\Psi}_{stem}$ measured from EFD to harvest affected yield components. Nevertheless, ${\Psi}_{stem}$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fruit size, pulp development, oil accumulation, and yield. Oil content and yield were reduced by 54% and 50% for each MPa, respectively, from ${\Psi}_{stem\;EFD-H}$ -1.8 MPa, an effect that intensified as crop load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flower development (September-November), the number of flowers per inflorescence and percentage of perfect flowers were reduced when ${\Psi}_{stem}$ was less than -2.0 MPa. These preliminary results showed that bud differentiation, inflorescence and flower formation are highly sensitive to water deficit.

국화 수확 후 관리기술의 최근 연구 동향 (Current Research Trend of Postharvest Technology for Chrysanthemum)

  • 김수정;이승구;김기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6-168
    • /
    • 2012
  • 절화국화는 수명이 1-2주이며, 최대 3-4주까지 유지되고 수확 후 호흡증대와 노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지 않는 non-climateric 식물로서 에틸렌에 대한 감수성이 낮은 작목이다. 절화는 주로 잎이 위조, 황화되고 수분의 이동이 방해되어 엽록소가 퇴화되고 잎의 노화가 촉진되어 개화되지 못하므로 품질이 떨어진다. 절화의 수명은 품종, 수확전 재배조건, 수확 후 온도, 습도, 광, 수질 등 외부요인 및 기질의 공급, 체관 및 물관의 흡수력 유지, 에틸렌과 같은 호르몬, 효소활성 변화 등의 내부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국화 품질지표는 꽃과 줄기가 구부러짐이 없고 절간간격 및 잎 크기의 상하가 일정하며 균형이 잘 잡힌 것이어야 하며, 화형, 화색이 품종 본래의 특성을 갖추고 모두 양호하여야 하며 병해충 피해가 확인되지 않으며, 절화 수확시기가 적기인 것이여야 한다. 스탠다드 국화는 꽃봉오리가 5-6cm일 때 수확하고, 스프레이 국화는 40% 개화상태인 2-4개의 봉오리가 균일하게 개화하면 수확한다. 이 때 토양 기부에서부터 10 cm 위로 잘라 목질화된 줄기를 제거하며 줄기 아래쪽의 잎을 1/3정도 제거하여 수분흡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확 후 절화를 등급별로 나누게 되는데 절화의 길이와 무게, 꽃의 개화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스탠다드 국화는 병해충이 없고, 줄기가 구부러짐이 없고, 잎 크기가 균형이 잘 잡히고 절화장이 80 cm, 절화줄기 1개의 무게가 70 g이면 가장 우수한 1등급이며, 스프레이 국화는 절화장과 절화무게가 각각 70 cm, 60 g이고, 개화는 2-4륜이 개화하고, 병해충이 없는 깨끗한 상태인 경우가 1등급이다. 절화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물올림과 동시에 전처리제를 사용하는데, STS, GA, BA, 1-MCP, Chrysal, 살균제, sucrose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절화의 호흡감소, 부패감소, 변색지연, 증산억제를 위해 예냉을 $5{\sim}7^{\circ}C$에서 4시간 이상 하는 것이 좋다. 절화국화는 PE필름으로 포장해서 상자에 넣으면 $2^{\circ}C$에서 2주간 저장이 가능하고, 습식에서는 3주간 저장이 가능하다. 포장이 끝난 국화는 저온차량를 이용하여 수송 상차 및 하역비 절감을 위해 2상자씩 묶어 출하한다. 소비자가 신선한 꽃을 오랫동안 감상하는 위해 HQS, 탄산수, sucrose 등을 이용하여 수확 후 후처리를 한다. 절화 국화의 소비 및 이용을 다변화하기 위해서는 유통 품목과 품종의 다양화, 유통체계의 정비, 산지 생산자-소매자-소비자의 정보교류 등이 필요할 것이다.

고추 약배양을 통한 고빈도 배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 (High Frequency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Anther Cultures of Pepper)

  • 안민영;김용권;민성란;정원중;인동수;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19-322
    • /
    • 1998
  • 여러 계통의 고추(Capsicm annuum L.)의 약을 이용하여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였다. 꽃받침 위로 꽃잎이 2mm 올라온 미성숙 화뢰에서 상부로부터 절반 이하로 착색된 약을 채취하여 0.1mg/L 2,4-D와 0.1mg/L kinetin이 첨가된 Dumas 고체배지에 치상하였다. 배양 4주후부터 배가 발생하였으며, 8주후의 배발생 빈도는 최고 58.3%였다. 배는 MS 기본배지로 옮겨주었을 때 95이상이 발아하여 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 PDF

털깃털이끼(Hypnum plumaeforme Wilson) 원사체 무성아와 배우체의 형성에 미치는 IAA와 Kinetin의 영향 (Effect of IAA and Kinetin on Induction of Protonemal Gemmae and Gametophytes of Hypnum plumaeforme Wilson)

  • ;이철희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9-14
    • /
    • 2010
  • 본 연구는 털깃털이끼(Hypnum plumaeforme Wilson)의 조직배양시 무성아와 배우체 유기에 미치는 IAA와 kinetin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배양재료는 멸균한 배우체의 정단을 Knop 배지(1865)의 다량요소와 Nitsch와 Nitsch배지 (1956)의 미량요소를 첨가한 고체배지에 배양하여 획득하였다. 배양 초기에는 배양한 배우체의 정단으로부터 원사체가 형성되었으며, 배양 4주에는 새로운 배우체로 전환되었다. 무균의 배우체를 다져서 IAA와 kinetin을 각 0.01, 0.1, 1, $10{\mu}M$의 농도로 단용첨가한 동일배지에 배양한 결과 배우체로부터 원사체 무성아는 물론 이차 원사체도 형성되었다. 그러나 IAA와 kinetin의 농도에 따라 원사체 형성 및 눈 유기가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낮은농도의 IAA와 kinetin을 첨가하는 경우 무성아 형성과 눈의 유기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kinetin $0.01{\mu}M$을 첨가한 배지에서 눈과 원사체 형성율이 가장 높았다. 배우체의 형성을 위하여kinetin $0.01{\mu}M$을 첨가한 배지에서 형성된 모든 배양재료를 다시 IAA와 kinetin이 0.01, 0.1, 1, $10{\mu}M$씩 단용첨가된 배지에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한 후 이차 원사체로부터 원사체와 캘러스가 형성되는 과정을 거쳐, 마침내 배우체가 유기되었다. IAA는 배우체 유기와 생장을 조절하였고, kinetin은 무성아 형성과 배우체 유기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 조직배양시 첨가한 생장조절물질은 털깃털이끼의 발달과정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캠벨얼리'와 '탐나라' 포도의 꽃과 소포자 발달 (Flower and Microspore Development in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and 'Tamnara' (V. spp.) Grapes)

  • 임보미;문정환;정영민;허윤영;유희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420-428
    • /
    • 2015
  •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대부분의 포도 꽃은 완전화로서 개개의 꽃들이 모여 화서를 이룬다. 포도 꽃은 5개의 수술, 1개의 암술, 5개의 꽃잎이 융합된 구조인 화관, 그리고 융합된 형태의 꽃받침을 가지며 화방 내 각각의 꽃은 수정하여 과립으로 발달한다. 포도에서는 과립 형성이나 과립비대, 당도의 축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된 반면 배우체의 형태 형성, 꽃 기관의 구조, 그리고 꽃 발달과 같은 꽃의 형태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얼리'와 '탐나라'의 두 품종에서 꽃의 구조와 발달에 따른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포도 꽃의 발달 단계 결정은 애기장대에서 소포자의 형성부터 수 배우체의 발달 시기인 꽃발달 9단계부터 13단계로만 한정하였다. 포도 꽃 발달 9단계에서는 4분포자가 나타났고 꽃 발달 10에서 11단계 동안에는 단세포성 소포자에서부터 중기 2세포성 화분으로 발달하였다. 개화 직전의 꽃 발달 12단계 말에는 성숙한 3세포성화분으로 발달하였다. 꽃 발달 13단계에는 화관이 탈락하고 개화가 일어났다. 꽃 발달 9단계부터 12단계까지 꽃받침 길이는 거의 변하지 않았지만 화관의 길이는 계속 증가했다. 두 포도 품종에서 '꽃받침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의 평균은 꽃 발달 9단계에서는 2.0, 꽃 발달 10단계에서는 3.0, 꽃 발달 11단계에서는 4.5, 꽃 발달 12단계에서는 6.5로 나타났으며, '꽃받침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을 사용하여 꽃 발달 단계를 판별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캠벨얼리'와 '탐나라'에서 꽃 발달 단계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형태적 지표가 개발되었다. 이를 이용하면 두 품종에서 소포자 배양 시기의 판정이나 '탐나라'에서 무핵과 유도를 위한 지베렐린 처리 시기의 판정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마릴리스 (Hippeastrum hybridum Hort. 'Dazzler') 소화경 배양에 의한 효율적 기내번식 (Effective In Vitro Propagation from Pedicel Culture of Hippeastrum hybridum Hort. 'Dazzler')

  • 김명준;김영숙;김현순;고정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2-389
    • /
    • 2005
  • 아마릴리스 (Hippeastrum hybridum Hort. 'Dazzler')의 효율적인 기내 급속 대량 증식체계를 확립시키고자 개화15일전 화뢰와 부착된 소화경을 재료로 하여 적합한 치상체의 선별과 캘러스 및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어린 화뢰내 약, 화사, 주두, 화주 및 자방은 배양 중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캘러스 및 소자구를 형성하지 못하여 배양재료로 부적합하였으나 소화경절편에서는 캘러스 및 자구가 형성되어 치상재료로 적합하였다. 배지내 첨가된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치상체에서 직접 자구를 형성하거나 캘러스를 통해 식물체로 분화되는 2가지 경로로 형성되었는데 개화 15일전 소화경 절편을 0.5 mg/L LAA와 1.0 mg/L BA가 혼용처리된 MS 배지에 배양하여 $100\%$ 소자구형성 및 신초가 분화되어 효과적이었으며 소화경에서 직접 형성된 자구 또는 캘러스를 통해 분화된 신초는 성공적으로 식물체로 재분화 되었다.

주간 절단시기 및 생장조절제를 이용한 '후지'/M9 사과나무 수관 상단부 생장조절 (Growth Control of Upper Part in 'Fuji'/M.9 Apple Tree Canopy by Cutting Time of Trunk and Plant Growth Regulators)

  • 사공동훈;이재왕;윤태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7-96
    • /
    • 2018
  • BACKGROUND: The vigorous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apple tree canopy leads to poor fruit quality and flower bud formation in lower part of canopy.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proper control method about the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apple tree canopy. METHODS AND RESULTS: Trunks of 'Fuji'/M9 apple trees were cut (back pruned) to 2.5 m in tree height on 11 February (dormant) or 12 April (full bloom). Naphthalene acetic acid (NAA) was applied at 2.0% to cut surface when trunk was pruned. Prohexadione-calcium (Pro-Ca) was sprayed at 250 mg/L above 2.0 m in tree height at 23 April (petal fall). The NAA or Pro-Ca application after trunk was pruned at dormant (TR-2 and TR-3) significantly reduced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canopy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e was only pruned at dormant, TR-1), but the percent of shoots showing the secondary growth of TR-3 was higher over 2 times than that of TR-2. The reduction of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canopy by TR-2 and TR-3 increased the fruit red color from the lower part in the treating year and blooming of the lower part in the following year. CONCLUSION: Applying 2.0% NAA to cut surface of pruned apple trunk at dormant was the most effective way for stabilization of the tree vigor in upper part of the canopy in a high density apple orchard.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백일홍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Zinnia elegans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손경애;정선기;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37-340
    • /
    • 2004
  • 2003년 4월 경남농업기술원 유리온실과 농가 육묘장에서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백일홍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감염된 부위는 결국 말라 죽는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5${\sim}$16${\times}$4${\sim}$8 ${\mu}m$였고,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2${\sim}$28 ${\mu}m$였다. 균핵의 모양은 납작하거나 부정형이고 색깔은 검은색이었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 Persoon: Fries에 의한 백일홍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