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r encapsula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향기 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한 피복물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Wall Materials for Flavor Encapsulation)

  • 조영희;신동석;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63-1569
    • /
    • 1999
  • 본 연구는 분무건조를 이용한 향기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해 maltodextrin(MD), gum arabic(GA),alkenylsuccinated modified starch(MS), gellan gum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배합비율을 최적화하는데 목표를 갖고 수행되었다. 핵물질은 특성이 다른 5종류의 향기성분을 채종유와 1 : 4의 비율로 혼합한 flavor model system으로 사용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핵물질 : 피복물질의 비율을 1 : 4로 하였으며, MD함량은 30%로 고정하였다. GA : MS를 $2\;:\;8{\sim}8\;:\;2$의 비율로 제조하여 유화액에서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GA : MS = 4 : 6에서 유화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flavor release가 가장 적었다 이 비율에 gellan gum을 $1{\sim}5%$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4% 첨가한 것이 결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MD : GA : MS : gellan gum = 30 : 26.4 : 37.6 : 4의 배합비율이 분무건조를 이용한 향기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한 피복물질의 최적 배합조건이었다.

  • PDF

Fluidized bed granulation을 이용한 참기름의 저온 미세캡슐화 (Low-Temperature Microencapsulation of Sesame Oil Using Fluidized Bed Granulation)

  • 정찬민;이민경;이현아;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7-31
    • /
    • 2009
  • 식품의 원료인 참기름을 캡슐화하기 위해 전보(11)에서 최적화한 model system을 기초로 피복물질을 선정하고 이에 3%의 gellan gum을 첨가한 후 유화압력을 20.7 MPa로 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공정으로 캡슐을 제조하여 캡슐화 수율, surface oil, 수분함량, 입자 크기, 캡슐의 저장 안정성 및 제품 응용성을 비교하였다.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top spray dryer에 의한 캡슐보다 상대적으로 surface oil 함량이 낮고 수율이 높으며 입자 크기가 컸다. 제조한 캡슐을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 flavor retention을 측정한 결과 참기름 원료 자체를 저장한 경우 향기 성분은 1% 이하의 잔존 함량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향기 성분이 소실되었다고 보았으나, top spray dryer와 fluidized bed granulator에 의한 캡슐은 각각 37%, 42%의 향기성분을 보유하여 향기 성분 포집성 및 보존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쇠고기 죽 제품에 응용한 후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참기름 캡슐을 사용한 제품들이 모두 참기름 원료 자체를 사용한 제품보다 풍미의 강도 및 기호도면에서 모두 높았고 특히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제조한 캡슐을 사용한 제품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참기름 원료와 같이 향기 성분이 소실 되기 쉬운 소재를 fluidized bed granulator를 이용하여 저온 미세 캡슐화하면 풍미의 안정성 증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ncapsulation of Flavors by Molecular Inclusion Using $\beta$-Cyclodextrin: Comparison with Spray-drying Process Using Carbohydrate-based Wall Materials

  • Cho, Young-Hee;Park, Ji-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85-189
    • /
    • 2009
  • Microencapsulation of flavor was carried out by molecular inclusion process using $\beta$-cyclodextrin (${\beta}CD$). ${\beta}CD$-flavor complex was prepared at various flavor-to-${\beta}CD$ ratios (1:6-1:12) to determine the effect of ${\beta}CD$ concentration on the inclusion efficiency. Maximum total oil retention and minimal surface oil content were obtained at flavors to ${\beta}CD$ ratio of 1:10.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ntrolled release pattern of flavors from ${\beta}CD$-flavor complex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spray-dried microcapsules prepared using carbohydrate wall system. ${\beta}CD$-flavor complex showed higher total oil retention and surface oil contents, smaller mean particle size, lower moisture uptake, and higher oxidation stability than spray-dried microcapsule. Oxidative stability of flavor was correlated with hygroscopicity of wall materials. The controlled release mechanism was highly affected by temperature and characteristics of wall materials.

Cyclodextrin을 이용한 발효홍삼농축액 최적 포접 조건 (Optimization of Encapsulation Conditions for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by Using Cyclodextrin)

  • 신명곤;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708-1714
    • /
    • 2015
  • 생리활성이 우수한 발효홍삼농축액 특유의 쓴맛과 발효과정 중 생성된 신맛 등의 이미를 개선하기 위해 ${\beta}$-, ${\gamma}$-cyclodextrin(CD) 혼합시료를 이용하여 이미를 포접시켜 관능평가와 ginsenoside Rb1 및 총산도를 분석하고 최대 포접효율을 나타내는 ${\beta}$-, ${\gamma}-CD$ 혼합시료의 농도를 반응표면분석 중심합성법으로 계획하여 기호성이 증진된 발효홍삼농축액을 제조하는 최적화 조건을 확인하였다. ${\beta}$-, ${\gamma}-CD$ 혼합시료를 이용한 쓴맛 포접 효과를 확인한 결과 예측된 정상점은 최저점으로 ${\beta}-CD$가 3.74%이고 ${\gamma}-CD$ 20.63%일 때 쓴맛이 2.07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Ginsenoside Rb1 포접 효과를 확인한 결과 예측된 정상점은 최대값으로 분석한 결과 ${\beta}-CD$가 3.47%이고 ${\gamma}-CD$가 19.89%일 때 ginsenoside Rb1이 96.75%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beta}$-, ${\gamma}-CD$ 혼합시료를 이용한 신맛 포접 효과는 ${\beta}-CD$가 9.34%이고 ${\gamma}-CD$ 7.96%일 때 신맛이 5.63으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젖산의 포접 효과는 ${\beta}-CD$가 16.00%이고 ${\gamma}-CD$ 13.18%일 때 젖산의 포접효율이 67.73%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를 중심으로 최적 조건을 중첩시켜 ${\beta}-CD$${\gamma}-CD$의 함량을 달리하여 발효홍삼농축액의 이미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맛의 포접 정도는 6, 쓴맛 포접 정도는 4, 산의 포접 정도는 65%, ginsenoside 포접 정도는 95%로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으로 ${\beta}-CD$${\gamma}-CD$의 첨가량은 ${\beta}-CD$가 10%이고 ${\gamma}-CD$가 13%임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Layer-by-Layer (LbL) Encapsulation of Nano-Emulsified Fish Oil on Their Digestibility Ex Vivo and Skin Permeability In Vitro

  • Jung, Eun Young;Hong, Ki Bae;Son, Heung Soo;Suh, Hyung Joo;Park, Yooh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85-89
    • /
    • 2016
  • Omega-3 rich fish oils are extremely labile, thus requiring control of oxidation and off flavor development. A recently proposed emulsification method, layer-by-layer (LbL) deposition, was found to be a plausible method to enhance the characteristics of bioactive ingredients, especially lipids. The present work was design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the uptake and utilization of omega-3 fatty acids present in fish oil. The bioavailability of nano-emulsified fish oil was monitored in terms of intestinal absorption as well as skin permeability by using the everted intestinal sac model and Franz cell model. The skin permeability and intestinal absorption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LbL emulsification with lecithin/chitosan/low methoxypectin. Multilayer encapsulation along with nano-emulsification can be a useful method to deliver biologically active lipids and related components, such as fish oil. The protective effect of this tool from lipid oxidation still needs to be verified.

Microencapsula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in Milk

  • Seok, Jin-Seok;Kim, Jae-Soon;Kwak, Hae-S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5호
    • /
    • pp.426-43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ddi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into milk by means of microencapsulation technique. The yield of microencapsulation, sensory attributes, and capsule stability of water-soluble isoflavone microcapsules in milk were measured. Coating materials used was polyglycerol monostearate (PGMS), and core material was water-soluble isoflavone. The encapsulation yield of water-soluble isoflavone with PGMS was 67.2% when the ratio of coating material to core material was 15 : 1. The rate of water-soluble isoflavone release from capsules was 18, 19, and 25% when stored at 4,20, and $30^{\circ}C$ for 12 days in milk, respectively. In sensory evaluation, beany flavor and color of microencapsuled water-soluble isoflavone added mil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uncapsuled water-soluble isoflavone added milk, however, bitter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vitro study, micro-capsules of water-soluble isoflavone in simulated gastric fluid with the range of 3 to 6 pHs were released 3.0∼15.0%, however, the capsules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with pH 7 were released 95.7% for 40 min incubation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PGMS as coating materials was suitable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and the capsule containing milk was almost not affected with sensory attribute.

새우 부산물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의 제조 및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Teriyaki Sauce Processed with Shrimp Remnants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조은혜;김경묘;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4-196
    • /
    • 2011
  • 본 연구는 새우 육을 분리하고 남은 부산물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에서 추출한 향기성분을 이용하여 상품 가치를 극대화하고 특별하고 독특한 맛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소스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데리야끼 소스 제조방법인 장어뼈를 이용한 데리야끼 소스와 새우 부산물 데리야끼소스의 비교에서 주재료는 동일시하고 간장을 다르게 첨가해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의 품질 평가 비교에서는 국내산 M간장으로 제조한 소스가 일본산 G간장을 이용한 소스보다 단맛과 어취가 다소 강하게 나타났으며 짠맛, 쓴맛은 일본산 G간장을 사용한 소스가 더 강하였지만 소스의 표면 광택과 간장 자체에 대한 향과 전체적인 선호도는 국내산 M간장보다 더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칡 유래 isoflavone의 미세캡슐에 관한 연구 (Microencapsulation of Isoflavone Derived from Pueraria)

  • 김덕한;석진석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2호
    • /
    • pp.105-113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ddition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into milk by means of microencapsulation technique. The yield microencapsulation sensory attributes, and capsule stability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microcapsules in milk were measured during 12 days. Coating materials used was polyglycerol monostearate(PGMS. The encapsulation yield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was 72.5% with PGMS when the ratio of coating material to core material was 15:1. The rate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release was 15, 20, and 25% when stored at 4, 20, and $30^{circ}C$ for 12 days in milk respectively. In sensory evaluation, beany flavor and color of microcapsuled Pueraria derived isoflavone added mil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and uncapsuled Pueraria derived isoflavone added milk, however, bitter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vitro study, microcapsules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in simulated gastric fluid with the range of 3 to 6 pHs were released 3.0${\sim}$15.0%, however, the capsules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with pH 7 were released 95.7% for 40 min incubation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PGMS as coating materials was suitable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and the capsule containing milk was not affected with sensory attribute.

  • PDF

알긴산을 이용한 송이 향의 캡슐화 (Encapsulation of Pine Agaric ( Tricholoma matsutake) Flavor with Alginates)

  • 유병진;임영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6
    • /
    • 2002
  • 국내산 송이의 특징인 송이 향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알긴산으로 송이 향의 주된 성분인 1-oc-ten-3-ol을 캡슐화 공정과 송이 향의 잔존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무건조를 위한 alginates의 점도는 350cp 이하가 되어야 하므로, alginates 용액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첨가한 citric acid 량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낮아졌으며, 또한 $0.1\%의 농도에서 150cp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었다. 1-octen-3-ol과 유화제를 첨가하여 에멀젼시킨 alginates 용액의 점도는 에멀젼시키기 전의 점도보다 높았지만 150cp 이하를 나타내 분무 건조 공정에는 영향이 없었다. alginates 용액의 점도가 낮을수록 용액의 EAI는 증가하였으나 ESI는 감소하였고 캡슐의 1-octen-3-of의 잔존량이 감소하였다. alginates 용액의 점도를 낮추는 공정에서 citric acid 첨가 후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점도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에멀전 전후의 점도는 큰 차이 없었다 생송이를 알긴 산용액으로 캡슐화할 때 첨가되는 대두유의 량이 많을수록 1-oc-ten-3-ol의 잔존량이 많았다. 생송이를 alginates용액으로 캡슐화한 후 진공동결건조한 캡슐이 풍건한 것보다 1-octen-3-ol의 잔존량이 많았다.

숙기에 따른 찰옥수수 및 초당옥수수의 주요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Major Quality Characters during Grain Filling in Waxy Corn and Super Sweet Corn)

  • 김선림;박승의;차선우;서종호;정태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3-78
    • /
    • 1994
  • 풋옥수수로 이용되는 찰옥수수 및 초당옥수수의 품질에 관련된 각종 특성을 검토하고 이를 신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삭의 발달은 출사 22-24일을 전후로 그 길이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실의 발달에 있어 초당옥수수는 길이가 찰옥수수는 두께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2. 출사후 종실의 수분함량은 찰옥수수가 초당옥수수에 비해 급격히 감소되었고 종실의 경도 및 식미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3. 종피의 두께는 출사 24일 이후 초당옥수수의 변화는 작았으나 찰옥수수는 지속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며 종실의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4. 가용성 고형물은 찰옥수수의 총당함량과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나 초당옥수수는 유의성이없었고 식미와도 관련이 적어 맛의 평가기준에 부적합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종실의 경도는 찰옥수수의 경우 식미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요인으로서 생육후기로 갈수록 급격한 증가를 보였던 반면 초당옥수수는 변화가 미미하였으며 총당 및 가용성 고형물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6. Glucose 및 Fructose는 초당옥수수 및 찰옥수수 모두 생육초기에 높았고 식미 및 Sucrose함량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초당옥수수는 출사 28일(11.8%) 이후 감소되었으나, 찰옥수수는 출사 24일(3.3%) 이후 안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7. 찰옥수수는 종실의 경도가 초당옥수수는 당의 함량이 좌우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당옥수수는 출사후 26∼30일에, 찰옥수수는 출사 28일 이후의 것이 높은 식미반응을 보였다..6%가 저하되었으며 모든 경우 유의하게 선발효과가 있었다.에 좋은 특성을 가진 품종으로 생각된다. 8. 각 품종내 피의 생육은 경수외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대체로 파종후 35일까지는 벼 품종들과 피와의 경합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사료된다./TEX>는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다.e 및 free fatty acid) 는 13.3~17.4%로 나타났다.로 빠른 시일에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다. 4. 저온저장(4$^{\circ}C$,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_x$는 $Co_3O_4$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_3O_4$의 외부표면이 $Co_2TiO_4$$CoTiO_3$ 같은 $CoTiO_x$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