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noid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큰까치수영의 구성성분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Lysimachia Clethroides)

  • 김진숙;김형자;박호군
    • 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5-330
    • /
    • 1993
  • Four flavonoide glycosides and (-)-Epicatechin were isolated from the aqueous extracts of dried whole part of Lysimachia clethroides Duby(Primulaceae). They were 3-0-Methyl-quercetin-7-0-[$\alpha$-L- rhamnopyranosyl (1-2) glucopyranoside], Quercetin-3-0-$\beta$-D-glucopyranoside, Kaempferol-3-0-$\beta$-D-glucopyranoside, Kaempferol-3-0-[$\alpha$-L-rhamnopyranosyl (1-6)-$\beta$-D-glucopyranoside] and (-)-Epicatechin. 3-0-[$\alpha$-L-rhamnopyranosyl (1-6)-$\beta$-D-glucopyranoside]and (-)-Epicatechin. 3-0-Methyl-quercetin-7-0-[$\alpha$-L-rhamnopyranosyl (1-2)-$\beta$-D-glucopyranoside] and (-)-Epicatechin were first isolated from this plant.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spectral analysis [$^{1}$H-, $^{13}C-$ NMR, $^{1}$H-$^{1}$H-COSY, DEPT-analysis, HMQC(Heteronuclear multiple quantum coherence), FAB-MS].

  • PDF

Sophorose의 제조-II. 효모(Torulopsis bombicola) 배양액 및 회화나무(Sophora japonica)로부터 Sophorose의 제조 (Preparation of Sophorose-II. Preparation of Sophorose from the Culture Broth of Torulopsis bombicola and the Pod of Sophora japonica)

  • 이미자;이유희;박종대;김해영;김신일;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63-166
    • /
    • 1997
  • 효모(Torulopsis bombicola)를 콩기름으로 강화한 배지에서 $25^{\circ}C$로 7일간 진탕배양하였다. 얻어진 배양액으로부터 sophorose-lipid를 분리하였고, 이를 알칼리처리하여 sophorose를 제조하였다. 또한 배양액중의 sophorose를 아세칠화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하여 아세칠화물을 분리하였고, 이를 실온에서 알칼리 처리하여 sophorose를 제조하였다. 한편, 회화나무(Sophora japonica)의 미숙과실의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한 후, 얻어진 n-BuOH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하여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분획을 분리하였고, 이를 $0.02\;N{\;}H_2SO_4$로 가수분해하여 sophorose를 제조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 PDF

Constituents of Crataegus Pinnatifida Var. psilosa Leaves (II) -Flavonoide from BuOH Fraction-

  • Oh, In-Se;Whang, Wan-Kyun;Kim, Il-Hyu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7권5호
    • /
    • pp.314-317
    • /
    • 1994
  • The studies were camied out to evaluate the constituents in the leaves of Crataegus pinnatifida var. psilosa (Rosaceae) continuously. From the BuOH fraction of the MeOH extract, four flavonoid compounds, hyperoside (1), vitexin (2), 3"-O-rhamnosylvitexin (3) and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lyl-(1{\rightarrow}6)-{\beta}$-D-galactopyranoside (4)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pectroscopic evidences by comparison with authentic samples.

  • PDF

Isol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and Flavonoid Glycosides from Leave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 Kim, Hyoung-Ja;Jin, Chang-Bae;Lee, Yong-Sup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1호
    • /
    • pp.46-51
    • /
    • 2007
  • Bioassay-directed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of an ethyl acetate extract from leave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afforded six quinic acid derivatives: 3,5-epi-dicaffeoylquinic acid (1), 3,5-dicaffeoylquinic acid (2), methyl 3,5-O-dicaffeoylquinate (3), methyl 3,4-dicaffeoylquinate (4), methyl 4,5-dicaffeoylquinic acid (5),4,5-dicaffeoylquinate (6), and two phenolic compounds: caffeic acid (7) and caffeic acid methyl ester (8) together with three flavonoids: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ide (9),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ide, isoquercitrin (10) and kaempferol 3-O-${\beta}$-D-glucopyranoside (11).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the aid of spectroscopic methods. These compounds were assess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three different cell-free bioassay systems. All isolates except 11 showed potent DPP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s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ies. 3,5-epi-DCQA (1) and methyl quinates (3-5) along with flavonoide 9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추출 온도와 시간이 옻나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Rhus verniciflua Extract)

  • 박혜진;윤건묵;이상훈;장귀영;김민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76-1782
    • /
    • 2013
  • 추출 온도와 시간에 따른 옻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옻나무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추출 온도 $160^{\circ}C$에서 47.82 mg GAE/g으로 가장 높았으며, $100^{\circ}C$ 이하의 추출 온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20^{\circ}C$ 이상의 추출 온도에서는 추출 시간 3시간까지는 증가하다가 5시간에서는 감소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는 추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140^{\circ}C$, 1시간에서 8.04 mg C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추출 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140^{\circ}C$, 3시간에서 34.23 mg TE/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유사하였고 $140^{\circ}C$에서 3시간 추출한 수피 추출물에서 51.58 mg AEAC/g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감안할 때 옻나무 부위별 효율적인 추출조건은 추출 온도 $140^{\circ}C$와 추출 시간 3시간이었다.

마늘종의 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s)

  • 강민정;윤환식;신정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129-139
    • /
    • 2012
  • 마늘종의 영양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생 마늘종과 데친 마늘종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생 마늘종의 수분은 $85.14{\pm}0.35%$, 조단백 및 조지방은 $0.79{\pm}0.26%$$2.96{\pm}0.03%$였으며 비타민 C는 생 마늘종이 $7.07{\pm}0.84mg/100g$으로 더 높았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데친 마늘종에서 더 높아 각각 $17.89{\pm}1.46$$8.68{\pm}0.24mg/100g$이었다. 총 클로로필 함량은 생 마늘종이 $6.86{\pm}0.60mg/100g$이었으며 데친 마늘종에서는 $6.70{\pm}0.46mg/100g$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Total pyruvate는 생 마늘종이 $24.63{\pm}1.59mM/g$으로 데친 마늘종에 비해 높았고 thiosulfinate는 생 마늘종이 $183.76{\pm}26.56mM/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알리신 함량은 데친 마늘종이 생 마늘종에 비해 45%나 높게 측정되었다. 무기물 중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총량은 생 마늘종에서 더 높았다. 마늘종의 생리활성 규명의 일환으로 생 마늘종과 데친 마늘종으로 물과 주정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각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화합물은 $3.49{\pm}0.11{\sim}3.75{\pm}0.29mg/100g$으로 유의차가 없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79{\pm}0.01{\sim}3.68{\pm}0.01mg/100g$으로 데친 마늘종의 물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데친 마늘종 물 추출물의 소거능이 $85.09{\pm}0.28%$로 가장 높았다. 항균활성은 생 마늘종 물 추출물이 가장 높아 실험된 4종의 균주 모두에 항균활성이 있었으나 다른 추출물에서는 활성이 미약하거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