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xture loading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5초

유도조직재생술에 의한 발치창의 골치유 및 즉시 임프란트 매식에 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IMMEDIATE IMPLANTATION WITH GTR THERAPY, INCLUDING BONE HEALING OF EXTRACTION SOCKETS)

  • 박광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2호
    • /
    • pp.224-235
    • /
    • 1996
  • Early implantation before sufficient ossification has taken place usually results in osseointegartion failure due to reduced bone-fixture interface area. However, various studies have shown successful osseointegration results following immediate implants concurrently with GTR. The clinical trends have been to shorten the patients' edentulous state by immediate implantation, and reduce the alveolar bone resorption. However, it may be difficult to attain the complete soft tissue coverage of the sites, increasing the chance of infection. Furthermore, there may be more studies needed on the clinical behaviors of e-PTFE membranes, various modofications in the membrane materials and bone graft materials. Various animal and clinic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successful osseointagration following immediate implantation, but the long-term follow-up studies are limit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16 immediately-implanted implants with GTR therapy with or without calcium carbonate grafting on 11 patients 3 years after installation and 24-30 months after functional loading. Based on the clinical, radiographic and histologic findings,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attained. 1. Clinically, stability has been shown on all 16 implants throughout the investigated periods. 2. Radiologically, the alveolar bone loss has progressed up to the polished neck portion but not beyond it, suggesting the progressive osseointegration from the GTR therapy. 3. The GTR method used in the present study is easy to use clinically, and may be appied in the regeneration of ossoeous defects around implants and in the immediate implantation. 4. The difficulty in complete tissue coverage may be avoided by delaying the installation for 2 to 3 weeks after the extraction allowing certain degree of soft tissue healing.

  • PDF

임프란트의 상부구조물 형상과 하중조건에 따른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하악골의 응력분포에 관한 연구 (THREE-DIMENSIONAL STRESS ANALYSIS OF IMPLANT SYSTEMS IN THE MANDIBULAR BONE WITH VARIOUS ABUTMENT TYPES AND LOADING CONDITIONS)

  • 신하식;전흥재;한종현;이수홍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17-625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 There are many studies focused on the effect of shape of futures on stress distribution in the mandibular bone.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abutment types on stress distribution in mandibular bone.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abutment types on the stress distributions in the mandibular bone due to various loads by performing finite element analysis. Material and method : Three different implant systems produced by Warantec (Seoul, Korea), were modeled to study the effect of abutment types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mandibular bone. The three implant systems are classified into oneplant (Oneplant, OP-TH-S11.5). internal implant (Inplant, IO-S11.5) and external implant (Hexplant, EH-S11.5). All abutments were made of titanium grade ELI. and all fixtures were made of titanium grade IV. The mandibular bone used in this study is constituted of compact and spongeous bone assumed to be homogeneous, isotropic and linearly elastic. A comparative study of stress distributions in the mandibular bone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abutment was conducted. Results :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abutment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mandibular bone. It was due to difference in the load transfer mechanism and the size of contact area between abutment and fixture. Also the maximum effective stress in the mandibular bone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inclination angle of load. Conclusion : It was concluded that the maximum effective stress in the bone by the internal implant was the lowest among the maximum effective stresses by other two types.

뮤지컬 공연을 위한 프로시니엄 형식의 무대공간 구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scenium Type Stage Space Composition for Musical Performance)

  • 전용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42-5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stage planning by analyzing current state of major theaters' stage space and understanding feedback from directors belonged to theaters. Each room in total 18 theaters' stage facilities was measured and their usage and requirements were analyzed on the spot. In addition, each director provided their experiential knowledge about appropriate stage composition for musical performa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 under stage machinery is not needed for musical. Tour teams prefer to use their own show-deck for set conversion. On the other hand, over stage flying system needs to be able to deal with dense, fast, and accurate scene chang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motor room needs to be carefully considered. The number of set battens is directly linked up with the size of the motor room, which should be located lower than the gridiron. As stage sets get bigger and complicated, the number of works at the gridiron is also increasing. The grating floor has to have enough strength coping with machines lifting heavy sets. Most sound control for musical performance is being done at F.O.H. these days rather that in the sound control room. It should equip enough work area and related infra especially for tour teams. 1st gallery needs to have enough effective width, power infra for lighting fixture, and strong guardrail. Lastly, the whole process of parking-unloading-transporting equipments and sets from loading dock to stage and vice versa needs to be efficient, and this has to be carefully considered from early stage of planning.

자동차 루프랙의 형상에 따른 구조 해석을 통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due to the Shape of Automotive Roof Rack)

  • 최계광;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57-262
    • /
    • 2019
  • 최근 취미로 다양한 레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였다. 그에 따라 차량 지붕위에 다양한 물건들을 적재한 차량들을 거리에서 쉽게 볼 수가 있다. 차량 지붕위에 적재를 할 수 있게 하는 장치는 랙 이라는 장치이며 차량마다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종류들이 있지만 무거운 짐을 적재하기 위해 강도 및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루프 랙의 지지대 방식과 고정대의 형상에 따른 구조 해석을 하였다. 세 가지의 모델들 중, Model C가 가장 좋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어떤 형상을 가진 루프랙이 가장 안정성이 있는 것을 본 연구 결과로서 알 수 있다. 본 결과를 토대로 얻은 자동차 루프랙의 형상에 따른 구조 해석에 통한 융합 연구에 대한 설계데이터를 활용함으로서 실생활에서의 자동차 부품에 융합하여 그 미감을 보일 수 있다.

복합재/알루미늄 링 시편의 극저온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ryogenic Characteristics of Composite/Aluminum Ring Specimens)

  • 김명곤;강상국;김천곤;공철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25-3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필라멘트 와인딩하여 제작된 복합재/알루미늄 링 시편의 극저온 특성을 고찰하였다. 링 시편은 탄소섬유와 극저온용으로 개발된 Type B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상온으로부터 -150℃까지 링 시편의 열변형률 측정 결과, 극저온 영향에 의해 복합재 내에는 압축 열응력이 발생하였으나 알루미늄 내에는 항복응력의 약 32% 크기의 인장 열응력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는 극저온에서 알루미늄의 소성하중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극저온 물성을 사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한 결과, 링 시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열변형률과 잘 일치함을 보였다. -150℃에서 split disk 치구에 장착된 복합재/알루미늄 링 시편에 6회 하중 사이클을 수행한 후, -150℃에서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라이너-복합재 탱크 구조물에 대하여 자긴압력 등이 가해질 때, 극저온에서는 자긴압력에 의해 복합재 강도가 상온 보다 더 크게 저하될 수 있음을 보였다.

고정성 가공의치를 지지하는 임프란트의 길이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 골조직에서의 응력분산에 관한 광탄성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F STRESS DISTRIBUTIONS AROUND SURROUNDING BONE TISSUES OF IMPLANTS DEPENDING UPON THE LENGTH OF IMPLANT FIXTURES SUPPORTING FIXED BRIDGES)

  • 배형수;조성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1-621
    • /
    • 1992
  • 저자는 두개의 브로네마트 임플란트를 지대치로 하는 가공의치를 제작할 때 임플란트의 길이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응력분산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플란트의 길이가 각각 10mm, 7mm, 5mm인 여섯가지의 실험모형을 제작하고 가공의치 중아부에 64kg의 수직하중을 가하여 2차원적 광탄성응력분석 실험을 행하여 비교 분석 해본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여섯가지 실험모형 중 응력분산 양상은 실험모형 I (10mm, 10mm)일 경우가 가장 좋았다. 2. 근심과 원심에 같은 길이의 임플란트를 매식하였을 경우, 응력은 대체로 임플란트 표면적의 감소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3. 근심과 원심에 다른 길이의 임플란트를 매식하였을 경우, 짧은 쪽 임플란트의 경부에 응력이 집중되었다.

  • PDF

미소 표면변형 관찰을 통한 가스배관 부재의 항복특성 평가 (Assessment of Yield Characteristics of Gas Pipeline Materials by Observing Surface-Local Deformation)

  • 이윤희;백운봉;정인현;남승훈;이상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2-98
    • /
    • 2008
  • 가스배관 열화부재의 실시간 역학물성 측정기술로 계장화 압입과 압입흔적 입체측정의 융합이 시도되었다. 압입하중-변위곡선을 계장화 압입시험으로 획득한 후 반사식 레이저 스캔너를 이용하여 압입흔적을 3차원으로 관찰하였다. 압흔 단면프로파일로부터 소성역 크기와 실제 접촉경계를 분석할 수 있었고, 두 값을 이용하여 소재의 항복강도와 경도를 계산하였다. 항복강도는 단축 인장시험에서 얻어진 값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경도는 재료쌓임 영향으로 압입곡선에서 계산된 값에 비해 $20{\sim}30%$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최대 인장강도와 정량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덧붙여 압입하중 인가부의 형태를 수정하여 압입시험과 동시에 압흔주변 형상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도 고안되었다.

  • PDF

하악 구치부에 식립된 Br${\aa}$nemark 임프란트와 ITI 임프란트에서 임프란트간 치조정간골의 높이변화에 대한 방사선학적 비교 (RADIOGRAPHIC EVALUATION OF THE PROXIMAL BONE LEVEL BETWEEN TWO IMPLANTS : A 3-YEAR COMPARATIVE STUDY BETWEEN BR$BR{\AA}$NEMARK AND ITI IMPLANTS IN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 이상화;차인호;심준성;한동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58-470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Br${\aa}$nemark or ITI are two currently most widely used implant systems but with contrasting design, surgical and restoration method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nges and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ne height and shape which may rise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wo implant systems. Also to analyse the effect of inter-implant distance on annual bone height changes. Material & Method: Thos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wo or more of either Br${\aa}$nemark or ITI implants at posterior mandibular area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Implant Clinic were selected. At annual examination appointments, standardised radiographs using parallel technique were taken. Marginal bone and inter-implant crestal bone changes were measur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1) When ITI and Br${\aa}$nemark system were compared, both annual marginal and inter-implant crestal bone height changes in ITI system in the first two years were smaller than Br${\aa}$nemark and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third year,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implant systems on their annual bone level changes (p>0.05). 2) The Marginal and inter-implant crestal bone changes were compared when inter-implant distance was less than 4mm. Statistically significant bone level changes were noted on the first year only for ITI implants but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for Br${\aa}$nemark implants (p>0.05). 3) When comparing angulation changes between marginal bone and implant fixture, ITI system had smaller angulation changes but the annual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Br${\aa}$nemark implant systems had more changes in marginal and inter-implant crestal bone level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after loading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see the effects of these bone los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year after loading on the long term prognosis of Br${\aa}$nemark Implants.

하악 임플란트 오버덴쳐에서 어태치먼트 종류에 따른 응력분포 (The Influence of Attachment Type on the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 in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s)

  • 성채련;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75-390
    • /
    • 2009
  •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이공 사이에 2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4종류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한 하악 오버덴쳐를 제작하여 유한요소 모델을 만들고 여기에 3가지 하중 조건을 가하여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 10.0을 이용하여 어태치먼트 종류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골과 보철물 및 임플란트와 골 사이 계면에 발생하는 최대 응력의 크기와 응력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하악골체의 전체적인 골격구조에서 치아 부분은 오버덴쳐로 모델을 형성하였고 오버덴쳐와 하악골 사이에 2mm 두께의 점막을 삽입하였다. 임플란트 오버덴쳐의 유한요소 모델은 ball and socket, Locator, magnet, bar의 각각 4가지 형태를 제작하였다. 고정체의 식립 위치는 양측 이공 전방이고, 경계 조건 중 고정점은 하악각 부위와 모형의 최후방 절점들을 고정점으로 설정하였다. 하중조건은 오버덴쳐의 좌측 제 2소구치에서 제 2대구치 편측 부위에 170N의 하중을, 좌 우측 제 2소구치에서 제 2대구치 양측 부위에 170N의 하중을, $90^{\circ}$수직 방향, $45^{\circ}$경사, 그리고 $0^{\circ}$ 수평 방향으로 가하였다. 결과 분석시 모든 하중방향에서 응력의 크기는 bar에서 임플란트나 오버덴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계면에서의 응력은 모든 어태치먼트에서 비슷한 응력분포가 나타났다. Ball and socket, Locator, magnet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응력의 분포도에서는 4종류의 어태치먼트 모두 임플란트 치경부에서 응력이 집중된 양상을 보였으며 bar타입에서는 bar의 중앙에 응력이 크게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응력분포의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태치먼트의 선정 시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설계와 선택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두 종의 external hex implant의 변연골 흡수에 관한 연구 :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Radiographic evaluation of marginal bone resorption around two types of external hex implants : preliminary study)

  • 이지은;허성주;곽재영;김성균;한종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9-174
    • /
    • 2008
  • 목적: 치과 임플랜트 주위의 변연골 변화는 임플랜트의 기능적인 유지 뿐만 아니라 심미적 성공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변연골의 유지를 위한 임플랜트 디자인이 연구되고 있다. 이번 예비 연구는 두 종류의 external hex implant 시스템에서 임플랜트의 상부 미세 나사산이 변연골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총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r{{\aa}}nemark$ 임플랜트 식립군 (1군, 거친 표면 임플랜트, 20개)과 원플란트 임플랜트 식립군 (2군, 미세나사산을 가진 거친 표면 임플랜트, 20개)으로 분류하였다. 기준 시점 (임플랜트 부하)과 부하를 가한 1년 뒤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UTHSCSA Image Tool을 이용하여 임플랜트-보철 경계부로부터 변연골 높이 변화량으로 계측하였다. 계측치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hree-level ANCOVA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기준 시점과 비교하여 1년 기능 후, 두 그룹 간의 변연골 소실 변화량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1군의 평균 변연골 높이 변화량은 $0.83{\pm}0.31mm$, 2군에 있어서는 $0.44{\pm}0.36mm$ 이었다. 미세나사산을 가진 거친 표면 임플랜트가 미세나 사산을 가지지 않은 거친 표면 임플랜트 보다 더 적은 변연골 소실 변화량을 보였다. 결론: 미세나사산을 가진 거친 표면 임플랜트가 기능적 부하 후 변연골 높이를 유지하는데 있어 더 유리한 디자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