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ve formula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8초

레이더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두께 측정과 유효 측정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oncrete Thickness and Effective Measurement Area using Radar)

  • 임홍철;이지훈;손병오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6-304
    • /
    • 2000
  •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평가 방법의 하나로 최근 들어 레이더가 널리 쓰이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적용에 대한 레이더법의 발전을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전자기적 재료 특성과 레이더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체계적인 연구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법의 유효 측정범위 설정과 레이더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두께측정 방법을 제시하고, 레이더 측정을 통한 콘크리트의 유전상수 계산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900mm (길이) $\times$ 600mm (폭)에 두께 50mm, 100mm, 150mm, 200mm, 250mm의 콘크리트 시편 5개를 사용하였다.

  • PDF

앵글을 이용한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기둥-H형강보 접합부의 거동 (Behavior of Concrete-Filled Square Steel Tubular Column to H-Beam Connections using Angles)

  • 이재승;김재건;신경재;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통권39호
    • /
    • pp.191-199
    • /
    • 1999
  • 본 연구는 중층철골 구조물 공업화방안에 관한 연구의 기초단계로서 앵글과 고력볼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기둥 H형강보 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은 앵글의 두께를 주요변수로 하여 정적하중 하에 5종류의 시험체에 대해 실행되었다. 내력추정식은 접합부의 강도를 상계정리에 의한 하한값으로 구하는 항복선 이론을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 PDF

대학수학에서 정의, 공식, 정리의 이해도 검사 (A Survey Research on Students's Understanding of Definition, Formula, and Theorem at College Mathematics Classes)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11-335
    • /
    • 2008
  • 정의의 정확한 이해, 수학개념의 이해, 정리나 공식의 이해와 활용에 대해 이해력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에게 이들에 관한 문제를 이용한 검사를 하고 수학의 기본개념과 내용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면, 1) 검사에 이용된 문제가 정확히 이해도를 측정했는지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2) 정의, 공식, 정리의 이해와 활용에 예나 반례를 보이고 조건이 빠지면 변화되는 상황에 대한 설명이 더 체계적이어야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3) 새로운 내용이 도입될 경우 기본개념의 중요성을 그 때마다 강조하고 반복 제시를 통해 확실한 이해에 도달하도록 하며, 4) 이해도 측정을 위한 좋은 문제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대학수학 문제 개발에 수학지도 교수의 관심을 필요로 하며, 5) 학습지도에서 이들 문제를 이용하는 것이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Investigation on mechanical performance of flat steel plate-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hollow composite slab

  • Yang, Yong;Chen, Yang;Yang, Ye;Zeng, Susheng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1권4호
    • /
    • pp.329-340
    • /
    • 2019
  • An innovated type of the flat steel plate-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hollow composite slab was presented in this paper. This kind of the slab is composed of flat steel plate and the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slab, which were interfaced with a set of perfobond shear connectors (PBL shear connectors) with circular hollow structural sections (CHSS) and the shear stud connectors. Five specimens were tested under static monotonic loading. In the test, the influence of shear span/height ratios and arrangements of CHSS on bending capacity and flexural rigidity of the composite slab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crack patterns, failure modes, the bending moment-curvature curves as well as the strains of the flat steel plate and the concrete were focused and analyzed.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flat steel plate was fully connected to the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slab and no obvious slippage was observed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concrete, and the composite slabs performed well in terms of bending capacity, flexural rigidity and ductility. It was further shown that all of the specimens failed in bending failure mode regardless of the shear span/height ratios and the arrangement of CHSS. Moreover, the plane-section assumption was proved to be valid, and the calculated formulas for predicting the bending capacity and the flexural rigidity of the composite slabs were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온병조변(溫病條辨)』 에 나타난 가감정기산(加減正氣散)에 대한 고찰 -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agamjeong-gisan in the Onbyeongjobyeon - In Comparison with the Gwakhyangjeong-gisan -)

  • 김상현;김종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7-96
    • /
    • 2023
  • Objectives : The purpose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five kinds of Gagamjeong-gisan in the Onbyeongjobyeon were analyzed and their significance was examined. Methods : First, contents within medical texts on the Gwakhyangjeong-gisan, the original formula for the Gagamjeong-gisan were analyzed. Next, application, symptoms and pathogenic mechanism, treatment principle, composition of the Gagamjeong-gisan as written in the Onbyeongjobyeon wer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each formula as deduced from this process were compared and examined. Results : The Gwakhyangjeong-gisan covers both external contraction and internal damage, applied regardless of external or internal symptoms. It restores the Yang qi of the Spleen and Stomach, balancing the Zheng qi to respond to the external qi. The Gagamjeong-gisan takes after the Gwakhyangjeong-gisan, reflecting such properties. However, the latter differs in that it excludes ingredients unfit for treating dampness-warmth, and uses different appli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harge of dampness pathogen. Conclusions : The Gagamjeong-gisan is modified from the Gwakhyangjeong-gisan, which is applied to cold damage and internal damage to better treat warm disease. It can be said to have acted as a bridge for warm disease scholars in composing formulas that deal with dampness-heat disease.

소음인(小陰人)의 장부경락론적(臟腑經絡論的) 고찰(考察) (Overview of four subgroups in Soeum(Lessor Yin) Constitution, Which are classified based on 'Chang(=Viscera) and Fu(=Bowels) meridian theory')

  • 염태환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23
    • /
    • 2000
  • 이제마선생에 의해 제창된 사상체질론은 지난 백년간 후세 사상연구가들에 의하여 발전되어 왔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권도원 선생에 의해 제창된 체질침(體質針)의 출현이었던 것이다. 체질침범에서는 종래의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맥법(脈法)과 맥도(脈圖) 그리고 체질에 따른 체질침방(體質針方)이 운용되고 있다. 이 체질침방의 경우 실제로는 장부경락(臟腑經絡)의 오행혈을 운용한 사암(舍岩)선생의 오행침을 체질침화(體質針化)한 것이다. 이제마 선생의 체질이론과 사암선생의 오행침이 결합된 것은 실로 역사적인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권도원 선생은 여덟 개의 맥도와 함께 8체질론을 내세웠으며 스물네개의 사암선생 침방 중 여덟 개를 체질침화하여 이 여덟 체질의 기본 치료처방으로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저자인 염태환은 지남 1986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동양의학 학술대회에서 이미 24체질론과 24체질 맥도를 제시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체질의학의 발달에 대한 역사를 간단히 정리하였다. 4체질론에서 시작하여 24체질론까지의 발전되어 온 단계 단계가 여기에 설명되어 있다. 이 설명 속에서 십이경락이 어떻게 사상의학과 이론적으로 결부되는가를 이해하게 되면, 24체질론의 출현이 쉽게 받아들여질 것이다. 본 논문은 이 24체질 중 특히 소음인에 속하는 네 체질에 대하여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네 개의 체질에 대한 체질맥진법, 맥도, 침법 그리고 한약처방 등이 이 논문에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논문의 뒷부분에는 이 네 체질에 대한 저자들의 임상 실례들이 실려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새로운 학설을 임상실례와 더불어 소개함으로써, 더욱 많은 한의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체질침을 임상에 응용하게 하며 또한 앞으로 치료효과를 객관적으로 밝히기 위한 이중맹검시험(Double blind controlled study) 등이 시행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할미꽃속 식물 5종의 핵형 분석 (Karyotype Analysis of Five Species of Genus Pulsatilla)

  • 이우규;최혜운;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90-493
    • /
    • 2004
  •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할미꽃속 5종에 대한 핵형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체세포 중기 염색체 수는 모두 2n=2x=16, 기본 염색체 수는 x=8로 관찰되었다. 가는잎할미꽃 (P. cernua)의 염색체 조성은 5쌍의 중부 염색체 (1, 2, 3, 4, 5번), 1쌍의 차중부 염색체 (6번)와 2쌍의 차단부 염색체 (7, 8번)로 핵형은 K(2n) = 2x = 16 = 10m + 2sm + 4st로 나타났고, 염색체의 크기는 $4.62{\sim}8.25\;{\mu}m$였다. 분홍할미꽃 (P. davurica), 할미꽃 (P. koreana) 및 중국할미꽃 (P. chinensis) 염색체 조성은 5쌍의 중부 염색체 (1, 2, 3, 4, 5번)와 3쌍의 차단부 염색체 (6, 7, 8번)로 핵형은 K(2n) = 2x = 16 = 10m + 6st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염색체의 크기는 분홍할미꽃 에서 $5.90{\sim}10.66\;{\mu}m$, 할미꽃에서 $5.25{\sim}8.80\;{\mu}m$, 중국할미꽃에서 $4.33{\sim}6.99\;{\mu}m$로 차이를 보였다. 동강할미꽃 (P. tongkangenesis)의 염색체조성은 5쌍의 중부 염색체 (1, 2, 3, 4, 5번), 2쌍의 차중부 염색체 (6, 7번)와 1쌍의 차단부 염색체 (8번)로 핵형은 K(2n) = 2x = 16 = 10m + 4sm + 2st로 구분되었으며, 염색체의 크기는 $4.67{\sim}8.97\;{\mu}m$로 나타났다.

올드 와인의 디캔팅 연구 : 강화 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canting of Old Wine : Focused on Fortified Wine)

  • 김동준;추교진;백주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9-51
    • /
    • 2019
  • 본 연구는 라타피아 샴페인 트루일라드 1947 올드 강화 와인을 대상으로 테스팅을 하였고, 기존 와인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프랑스 상파뉴 지방의 올드 강화 와인으로 블랜딩은 피노 누아, 샤도네이, 피노 뮈니에이다. 알콜 도수는 18%이고 테스팅 날짜는 2019년 2월 15일-21일(디캔팅 기간 6일/최종 시음일 2월 21일 오후 15시)이다. 테스터는 FICB 그랑 꼬망되르 한국 총사령관 1명, KOV 핀란드 꼬망되르 1명, 총 2명으로 구성하였다. 와인 오픈은 철사 제거 후 투 블레이드를 시용하였고 디캔팅 시간은 본 연구에서 설정한 산정식인 2019(당해년도)-1947(해당 빈티지)/12=6일을 적용하였다. 아로마는 체리, 과일, 간장, 감초 등의 냄새가 났고, 부케는 5단계로 파악하였다. 1단계는 항아리 냄새, 2단계는 연한 커피, 3단계는 과일과 꽃 냄새, 4단계는 석청의 향, 5단계는 정제된 브랜디의 냄새로 나타났다. 그리고 테스팅은 7단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있다. 첫째, 올드와인의 새로운 개념을 강화 와인에 적용하였다. 디캔팅 기간의 구체적인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디캔팅에서 아로마와 부케의 5단계를 제시하였다. 와인 테스팅 단계를 기존의 5단계에서 7단계로 확대하였다. 또한 상파뉴 올드 강화 와인의 새로운 맛을 분석하였다.

신장 질환이 있는 소아에서 $^{99m}$Technetium-mercaptoacetyltriglycine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측정 (Glomerular Filtration Rate Measurements Using $^{99m}$Technetium-mercaptoacetyltriglycine Dynamic Renal Scintigraphy in Children with Renal Disease)

  • 윤인애;윤기욱;임인석;최응상;유병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57-64
    • /
    • 2013
  • 목적: 소아에서 24시간 소변 수집의 단점을 대체하기 위해 $^{99m}Tc$-MAG3 신장 스캔을 통한 신기능을 측정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혈청 cystatin C과 크레아티닌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추정식을 비교하여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방법: 2011년 7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01명의 18세 미만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후향적 조사로 실시하였고 $^{99m}Tc$-MAG3 신장 스캔을 시행하여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였다. 24시간 소변과 혈액을 체취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측정하였고 5개의 추정식을 통해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99m}Tc$-MAG3 신장 스캔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의 Pearson 상관 계수는 0.389(P<0.001)이었다. $^{99m}Tc$-MAG3 신장 스캔과 Schwartz 식, Counahan-Barratt 식, MDRD 식, Cockcroft-Gault 식, Filler and Lepage 식, Bokencamp 식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의 Pearson 상관 계수는 각각 0.265 (P=0.007), 0.128(P=0.044), 0.216 (P=0.030), 0.230 (P=0.021), 0.356 (P<0.001), 0.355 (P<0.001) 로 확인되었다. 사구체 및 비사구체 신질환의 비교에서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은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고, 신기능의 저하 유무에 상관없이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은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으며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은 신질환의 기원과 신기능의 정상 여부 모두에서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99m}Tc$-MAG3 신장 스캔 이용 시 정확하고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근육형 남성용 팬츠 원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Pants Patterns for Muscular Men)

  • 정혜진;김소라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2호
    • /
    • pp.1-13
    • /
    • 2010
  • Recently, young men have become more muscular, as they have become increasingly more interested in health and their physical appearances. The trend these days is to wear slim suits to accentuate their figures. Men's pants are the one of the most general clothes which men wears. While pants are an ordinary item of clothing, most muscular men have fitting problems with ready-made pants. In view of this,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prototype pants pattern for muscular men. In this study, five muscular men were selected for wearing tests. The regression formulas, in which muscular men's body measurements were adopted, were applied to unsuitable body parts, especially the body parts determined inappropri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isting pants pattern wearing tests. After go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nts pattern wearing tests, the final pants patterns were developed that were suitable for muscular me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sufficient of eas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hip muscles, the crotch length was made longer, (0.08${\times}$hip circumference+17.648)+1.5cm and front crotch width and back crotch width were made wider, 1.0cm each than those of the existing pants prototype patterns. The ease of 0.5cm was added to the hip circumference/4+2.5cm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hip and thigh mus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