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resistant pain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48초

방염도료의 방염성능 및 발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moking Characteristics of the Flame-Resistant Paint)

  • 김황진;이성은;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78-83
    • /
    • 2009
  • 방염도료의 주성분 및 특성에 따른 방염성능과 발연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 유통되어지는 17종의 방염도료를 MDF에 방염처리하여 45도 연소실험과 연기밀도실험을 실시하였다. 45도 연소실험 결과 주성분별로는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방염도료의 방염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지며 유성방염도료 보다는 수성방염도료의 방염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무광방염도료보다 유광방염도료의 방염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기밀도실험을 통한 발연특성은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시료에서 연기밀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며 특성별로는 수성방염도료를 처리한 시료들에서 유성방염도료를 칠한 시료보다 연기밀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표준화재에 노출된 방염처리 목재의 내부온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Flame Resistant Treated Wood Exposed to a Standard Fire)

  • 김황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4-18
    • /
    • 2018
  • 건축 재료로 사용되는 목재의 내화성능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목재에 난연 또는 방염 처리하였을 경우 연소특성을 확인하는 것에 집중되어 졌다. 본 논문에서는 화염에 노출된 목재의 열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부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축용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는 미송(Douglas-fir)에 방염액 및 방염도료를 처리 후 표준 가열 온도 곡선에 따라 수평가열로에서 가열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방염액을 처리하였을 때 목재내부의 열확산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방염도료를 처리한 시료의 경우 고온에 노출 되었을 때 도막이 박리되어 방염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두꺼운 목재에 방염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목재표면에 도막을 형성시키는 방염도료보다는 목재내부로 침투하는 방염액을 사용하는 것이 방화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방염 처리에 따른 화재지연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by Flame-Resistance Paint Treatment)

  • 오규형;김황진;이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1-116
    • /
    • 2009
  • 시중에 유통되는 17종의 방염 도료를 소방법에서 요구하는 성능에 맞게 MDF에 방염처리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복사열에 노출시켰을 경우 어느 정도의 화재지연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복사열의 크기는 콘히터를 이용하여 $10kW/m^2$에서 $30kW/m^2$까지 변화시키며 실험하였다. 착화시간과 착화형태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방염도료를 처리한 시료의 착화 임계열유속은 $10kW/m^2$ 였으며 $30kW/m^2$에서는 방염에 의한 착화지연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 표면온도가 $400^{\circ}C$ 이상이 되어도 방염에 의한 화재 억재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됨을 알 수 있었다.

TGA-IR을 사용한 내화 도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study on fire-resistant paint used by TGA-IR)

  • 조남욱;신현준;조원보;이성훈;이동호;김효진
    • 분석과학
    • /
    • 제24권3호
    • /
    • pp.168-172
    • /
    • 2011
  • 건축물의 철골구조는 $500^{\circ}C$에서 휘어지거나 붕괴의 위험이 있으므로 내화 도료를 시공하여 화재로부터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내화 도료에 대한 특성 연구를 위하여 내화 도료 열 두 제품과 내화성능이 없는 일반 도료 여섯 제품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 분석 장비로는 온도에 따른 중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를 사용하였으며, 열 중량 변화에 따른 가스 성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FT-IR를 사용하였다. 내화 도료 12제품에 대한 열 중량 변화는, $800^{\circ}C$까지 중량이 40%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도료의 경우, 50%부터 40% 내외로 중량 감소는 거의 비슷하거나 일반 도료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내화 도료 중에서 6번 시료는 $800^{\circ}C$에서도 중량이 20%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분해 가스의 FT-IR 분석에 있어서 내화 도료의 경우에는 완전 연소로 인하여 $CO_2$ 피크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일반 도료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CO_2$ 피크가 낮고 가스 상태의 물 피크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내화 유기 도료의 경우에는 일반 유기 도료와 비교한 결과, $250^{\circ}C$까지의 TGA 그래프가 차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연소시 스펙트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내화 무기 도료는 TGA 무게 감소량으로도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현장방염검사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site Flame Resistant Inspection Method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 김황진;이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124-129
    • /
    • 2016
  • 현행법상 현장방염 처리한 실내장식물은 관할 소방서에서 45도 연소시험을 통해 방염성능검사에 합격하여야 한다. 45도 연소시험법은 방염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시험법이지만 시료 제출자가 부정시료를 제출하였을 경우에는 시험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현장방염 검사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총 10종의 방염도료를 합판 및 MDF에 처리하여 그 성분을 X-선 형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함유된 물질의 함량 차이로 인해 각 방염제마다 고유의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측정기기로 손쉽게 각 물질별 함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도적인 절차가 마련된다면 효율적인 현장방염검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난연도료를 도장한 바탕재의 화재 위험성평가 (A Fire Risk Assessment of Substrate for Fire Resistant Painted)

  • 박영근;이두형;윤명오;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1-58
    • /
    • 2005
  •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난연도료를 바탕재(FRP PVC, AL, 스테인레스 스틸)에 도장한 실험체에 대하여 난연성. 화염전파. 산소지수. 가연성, 연기밀도, 독성지수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체(AL, 스테인레스 스틸)의 난연1급실험은 적합하였으며, 실험체(FRP, AL, 스테인레스 스틸)의 화염전파실험에서 착화되지 않았고, 실험체 모두의 산소지수는 약 $50\%$, 가연성실험은 V-0급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기밀도 챔버를 이용한 Flaming mode에서 최대연기밀도는 43-338 및 덕성지수는 0.57-1.12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fire-risks of cost-optimized steel structures: Fire-resistant and hot-rolled carbon steel

  • Garcia, Harkaitz;Cuadrado, Jesus;Biezma, Maria V.;Calderon, Inig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8권1호
    • /
    • pp.67-75
    • /
    • 2021
  • This work studies the behaviour of a steel portal frame selection under fire exposure, considering both span lengths and fire exposure times as variables. Such structures combine carbon steel (S275), fireproof micro-alloyed steel (FR), and coatings of intumescent paint with variable thicknesses, improving thereby the flame retardant behaviour of the steel structure. Thu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e optimization of the portal frames by combining both steels, analysing the resulting costs influence on the final dimensions. Besides, the topological optimization of each steel component within the structure is also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variables: weather conditions, span, paint thickness, and cost of steel. The results mainly confirmed that using both FR and S275 grades with intumescent painting is the Pareto optimum when considering performance, feasibility and costs of such portal frames widely used for industrial facilities.

뿜칠피복 각형 강관의 내화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Fire-Resistance Performance of a Spray-Applied Rectangular Steel Structure)

  • 옥치열;김재준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41-47
    • /
    • 2017
  • Structures of steel frame buildings getting vary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Fire-resistant steel beams and Columns accredited by accreditation bodies from the performance of various fire-resistant coating is applied to the current pillar method is most H-beams. H-beam has been proposed a non-load test specifications in the relevant regulations, its scope of accreditation to be granted without limitation of size H-beams from the performance of the test specifi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ctangular steel structure is to check its performance and to a separate one of the receive acknowledge and so take advantag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factor in this study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fire-resistant structure proposed for standard test specimen.

Structural performance of unprotected concrete-filled steel hollow sections in fire: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available test data

  • Rush, David;Bisby, Luke;Jowsey, Allan;Melandinos, Athan;Lane, Barbara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12권4호
    • /
    • pp.325-350
    • /
    • 2012
  • Concrete filled steel hollow structural sections (CFSs) are an efficient, sustainable, and attractive option for both ambient temperature and fire resistance design of columns in multi-storey buildings and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modern construction practice around the world. Whilst the design of these sections at ambient temperatures is reasonably well understood, and models to predict the strength and failure modes of these elements at ambient temperatures correlate well with observations from tests, this appears not to be true in the case of fire resistant design. This paper reviews available data from furnace tests on CFS columns and assesses the statistical confidence in available fire resistance design models/approaches used in North America and Europe. This is done using a meta-analysis comparing the available experimental data from large-scale standard fire tests performed around the world against fire resistance predictions from design codes. It is shown that available design approaches carry a very large uncertainty of prediction, suggesting that they fail to properly account for fundamental aspects of the underlying thermal response and/or structural mechanics during fire. Current North American fire resistance design approaches for CFS columns are shown to be considerably less conservative, on average, than those used in Eur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