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ancial assistance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33초

A Preliminary Study of Financial Management Assistance Use by the Elderly in the U.S.

  • Kim Eun-Jin;Geistfeld Loren V.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1호
    • /
    • pp.1-16
    • /
    • 2005
  • Due to increasing life expectancy, Americans live nearly 20 years after retirement. During this period, elderly persons have to stretch finances to manage the level of living without earnings. However, decision making ability decreases with age. One coping strategy for this problem would be seeking help from others. We examine factors affecting elderly persons' assistance use with respect to financial management using the 2000 Health and Retirement Study (N=3,823). It was found that age, education, health status, and ethnicity significantly affect elderly persons' financial management assistance use. The older-olds, those with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poorer health status were more likely to use financial management assistance. However, Hispanic elderly were less likely to use financial management assistance.

암 환자가 느끼는 경제적 도움에 대한 필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ancer patients' need for financial assistance and its related factors)

  • 김윤구;박재현;박종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8-73
    • /
    • 2010
  • Background : Cancer is a disease that not only places a significant burden on patients clinically but also requires significant expens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Although the cancer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has recently been expended, the need for financial assistance among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s still expected to be significant. In this study, cancer patients' need for financial assistance in Korea was examined and its influence factors were analyzed. Methods : Target study subjects were those who are over 18 years of age and were diagnosed with cancer more than four months prior at the National Cancer Center and 9 Regional Cancer Center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July to August of 2008. Quarter sampl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type of each cancer. A face to fac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A total of 2,661 cancer patients finished the survey. Medical charts were reviewed in order to obtain the cancer type and SEER stage of cancer patients. An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level of need for financial assista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clinical, and socio-economic variables of cancer patients. Result : The percentage of cancer patients who needed financial assistance was 69.0%, and 36.9% needed significant financial assistance. The need for financial assistance was perceived to be greater in males, younger age group, low income group, low education group, medical aid recipients, those who were diagnosed recently, those with a low level of quality of life measured through EQ5D, and those with decreased income after cancer diagnosis. Conclusion : In spite of the current policy to increase health insurance coverage, the majority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Korea still need financial assistance due to cancer. In particular, there were more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low income, or low education group. In the future, policies that focus on the disadvantaged, which strengthen social security, should be considered for achievement of a substantially better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Impact of Government Support on Family Farm - A Chain Mediation Model: Empirical Evidence from China

  • YANG, Mei;GAO, Ji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호
    • /
    • pp.325-332
    • /
    • 2022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se a conceptual model to experimentally evaluate the mediating impact of government financial and training support on structural social capit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family farm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family farms in Guangxi, China, from August 25th to September 8th, 2021. There were 759 valid responses, accounting for 94.99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research's mediating effects and hypotheses, are tested using SPSS 22.0 and AMOS 26.0.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mpact of government financial assistance on family farms' non-financial performance cannot be substantiated. The intermediary chain connection of financial and training support, on the other hand,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structural social capital and family farm non-financial performance. Direct financial assistance could be thought to encourage family farms to rely too much on funding, making them less competitive in market competition, innovation, and long-term operations.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government assistance to family farms could take a variety of forms, including providing diversified skills training programs in farming practices, managerial skills, and other areas.

중소기업의 정부 수출지원 프로그램 활용도와 기업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유형을 조절변수로 (The Influences of SMEs' Utilization of Export Assistance Programs and Firm Capabilities on Export Performances : Firm Type as a Moderator)

  • 정재은;양희순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2호
    • /
    • pp.123-150
    • /
    • 2015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정부 수출지원 프로그램 활용도, 기업의 마케팅 역량과 기술역량, 재무적, 전략적 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기업유형(산업재, 소비재)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사용가능한 산업재 수출중소기업 246개와 소비재 수출중소기업 137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조절회귀분석에 대한 연구결과로는 산업재 중소기업의 정부 수출지원 프로그램 활용도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소비재 중소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두 유형의 중소기업 모두에 대해 정부지원 프로그램 활용도는 전략적 성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두 기업유형에 대해 마케팅과 기술역량 모두가 재무적, 전략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소비재 중소기업의 마케팅 역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재 기업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산업재 중소기업의 기술역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재 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제언과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개도국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시 경제적 성과 측정 모형 (Economic Model of Performance Measurement for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강봉준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03-109
    • /
    • 2011
  •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는 큰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지원은 그 효익이 직접적이고 단기적으로 발생되게 되어서 수원국에 큰 효익을 안겨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경제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이 없어서 단편적인 성과 측정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도국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시 적용가능한 경제적 성과측정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재무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ROI모형을 설정하고 여기에 비재무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BSC를 접목하였다. 직업훈련학교는 그 효익의 대상이 명확하고 효익이 교육생의 졸업과 동시에 발생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비재무정보 보다는 재무정보 중심으로 모형을 구셩하는 것이 보다 목적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

중국 중소기업의 글로벌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Global Performance in Chines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 이준건;김태인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3호
    • /
    • pp.3-30
    • /
    • 2012
  • 중국 중소기업은 그 발전과정에 있어서 국가상황 및 경제적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된 독특한 특성과 규칙성을 보이고 있다. 2008년 미국에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중국의 수출비중과 경제성장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중소기업은 자금부족, 수출감소, 위엔화 절상, 잠재적 성장요인 부족으로 파산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중소기업의 글로벌 성과요인으로서 국내외 시장환경, 해외시장진입을 위한 정부의 수출지원, 기업가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중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317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기초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과 가설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국내외 시장환경 요인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내시장환경과 국외시장환경 요인은 모두 재무적 성과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정부의 수출지원정책 측면에서 해외시장개발지원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외시장개발지원은 수출기업으로 하여금 진출국에서의 점유율, 개척현황, 유통현황, 시장적응 등 비재무적 성과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체적으로 중국정부의 수출지원정책은 글로벌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수출활동지원과 금융지원분야에 있어서는 아직 제도적인 지원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 정신 측면에서 기업가의 혁신성과 기업가의 진취성은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성과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중소수출기업의 재무적성과 및 비재무적 성과에 기업가의 자질 및 특성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가 위험감수성은 비재무적 성과에만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기업가 위험감수성이 낮을수록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점유율, 개척현황, 유통현황, 시장적응 등 비재무적인 글로벌성과에 도움이 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무적 측면에서는 우선 중국 중소기업의 글로벌 성과를 높이기 위한 중국의 국내외 시장환경의 구조적인 영향요인, 중국정부의 수출지원정책 그리고 기업가 정신이 중소기업의 다차원적인 해외진출 성향 및 실절적인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 현황분석 및 조력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n Assistant Model for Child Care Accreditation)

  • 황옥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3-146
    • /
    • 2007
  • 본 연구는 체계적인 평가인증 조력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지역간 조력상황의 편차가 크고, 조력의 내용과 방법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조력전문가의 역량이 강화될 필요가 있고, 아울러 예산과 인력의 지원이 요구된다는 평가인증 조력의 현실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되었다. 조력에 대한 분석과 보육시설장들을 대상으로 면접조사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예비클라스 설치 및 운영 단계, 조력신청 및 상담의 단계, 조력회의 및 간담회 단계, 심화워크샵 실행 단계, 우수시설 견학, 영역별 전문 방문조력의 실시, 평가의 여섯 단계의 조력과정을 제안하였다. 특히 조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영역별 전문 조력자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조력운영지침으로 평가인증 예비클래스 운영, 조력자의 확보 및 체계적인 교육, 조력메뉴얼 보급, 사후관리조력프로그램, 그리고 충분한 재정지원을 마련해야 할 것을 명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조력 메뉴얼은 보육정보센타 혹은 그 이외 다른 조력기관간의 조력의 방법과 내용의 편차를 줄이고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조력을 수행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창업가가 인식한 정부창업지원사업 중요도와 만족도 및 기대충족도가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An Impact of Startup Business Performance by Entrepreneurs' Perceived Importance, Satisfaction, and Level of Meeting to Expectation over Government Startup Business Aid Programs)

  • 이영주;양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1호
    • /
    • pp.31-41
    • /
    • 2018
  • 본 논문은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이 외형적 예산투입관점에서는 크게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들의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니즈에 맞게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에 대해, 창업지원사업을 수혜 받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지원 세부사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의 차이인 기대충족도를 분석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충청남북도에 소재한 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창업가가 인식한 정부의 창업지원사업 만족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논문은 창업지원사업 중 어떠한 정부지원이 경영성과에 가장 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지원사업의 창업교육, 시설 공간, 컨설팅, 자금지원 각각 분야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모든 분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가장 큰 분야는 자금지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지원사업과 재무적 성과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설 공간 만족도가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쳐 시설 공간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창업지원사업과 비재무적 성과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창업교육 및 컨설팅 만족도가 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쳐 창업교육 및 컨설팅 만족도가 높을수록 비재무적 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기대충족도가 가장 낮은 자금지원사업에 대해 그 수치가 가장 높은 창업교육 및 컨설팅사업과 연계하여 맞춤형 지원사업을 개발하는 것을 정책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소비자재무지식, 소비자 재무행동, 소비자재무교육 요구도 (The Financial Educational Needs, Financial Knowledge Level, and Financi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 손주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1호
    • /
    • pp.141-15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levels of financial knowledge, to identify the financial education needs of college students, and to show how financial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correl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economy was the highest among the seven categories, whereas the overall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was less than 50%. The need for financial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in various topics of financial management, especially financial planning and saving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level and educational needs except between financial planning and investment. Students who understand financial planning better want more financial education.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were not financially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receiving allowance and assistance in tuition payment, so their financial experiences were limited. Students who understood financial management showed greater need of financial education and had more financial experience.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college should provide formal financial education as an elective course, which should include content related to financial planning and various financial products.

  • PDF

경로당 이용노인의 경제적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 송파구 노인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factors in Economic Dependency in the Senior Center for the Elderly -on the Basis of Elderly in Songpa-gu, Seoul-)

  • 이애련;김지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213-233
    • /
    • 2012
  • This descriptive study about a community center for elderly users identifies factors influencing economic dependenc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that contribute to increased economic dependenc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ng conflict between caregivers and elderly dependents. The subjects are 204 elderly persons who are community-center users in SongPa-Gu. Thirteen dongs (administrative areas) were chosen randomly in a cluster sample from among 26 dongs in Soungpagu containing a total of 158 community centers for the elderly. I obtained informed consents for my research from all subjects, and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interviews from June 28th, 2011 to August 7th, 2011.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mean economic dependency score was 3.23, meaning that subjects with this score are dependent at a level that is "over intermediate". The level of formal education, homeownership, financial assistance from family and the number of families, financial assistance to the family and the number of families, economic life satisfaction,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