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 Model of Performance Measurement for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개도국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시 경제적 성과 측정 모형

  • 강봉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Received : 2011.04.24
  • Accepted : 2011.06.0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f Korea is growing considerably, and the ODA projects in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have the good performance to the recipient countries, because they have the direct and quick benefits. But there are no economic model of performance measurement for the ODA in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conomic model of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the ODA in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This study use the ROI model using financial information and the BSC model using non-financial information, and link each model closely. The ROI model using financial information is more relevant, because the benefits of th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re distinct and quick to the recipient groups.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는 큰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지원은 그 효익이 직접적이고 단기적으로 발생되게 되어서 수원국에 큰 효익을 안겨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공적개발원조에 대한 경제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이 없어서 단편적인 성과 측정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도국 직업훈련학교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시 적용가능한 경제적 성과측정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재무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ROI모형을 설정하고 여기에 비재무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BSC를 접목하였다. 직업훈련학교는 그 효익의 대상이 명확하고 효익이 교육생의 졸업과 동시에 발생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비재무정보 보다는 재무정보 중심으로 모형을 구셩하는 것이 보다 목적적합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