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extension

검색결과 1,152건 처리시간 0.022초

옥수수 개체군의 일차생산성과 물질경제. 3. 건물생산과 인경제 (Primary Productivity and Matter Economy of a Maize Plant Population. III. Phosphorus Economy in Relation to Dry Matter Production)

  • Huque, M. Anwarul;Seung-Dal S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1호
    • /
    • pp.1-12
    • /
    • 1981
  • 옥수수개체군의 생장기간중 생산구조의 발달과 건물생산과정에 따른 인의 동태, 즉 토양으로부터 흡수준, 동화율, 회전율, 수요공급의 수지 및 이용효율의 계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의 흡수율(최대 2.4mgPg$^{-1}$day$^{-1}$) 및 흡수효율(0.03)은 개체군의 상대생장률과 밀접한 상관을 보였고, 생육기간중 총 동화율은 3.41gPm$^{-2}$ 로서 월 최대 동화율은 2.99mgPg$^{-2}$ month$^{-1}$ (7월)였다. 한편 개체군의 인현존량의 변화는 최대치 1.4mgPg$^{-2}$ 였고, 최대 회전율은 178%를 나타내었다. 생육기간중 개체군의 각 기관별 인의 수요량은 엽 24.4%, 경 22.5%, 근 3.5% 및 종실 49.6% 였으며, 총 인요구량의 81.8%는 토양으로부터 흡수되였고 나머지 18.2%는 개체군내의 전류에 의해 공급되였다. 옥수수개체군의 인이용지수는 최대치가 6월에 1,091이며 평균지수는 655였다.

  • PDF

상시 계측시스템을 이용한 붕괴 절토사면 거동 특성 분석 및 안정성 해석 (The Stability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Cut Slope Behavior using Real-time Monitoring System)

  • 백용;구호본;장기태;유병선;배규진
    • 지질공학
    • /
    • 제14권1호
    • /
    • pp.71-80
    • /
    • 2004
  • 토사면의 붕괴는 매년 해빙기와 여름철 집중호우기에 자주 발생한다. 본 연구는 지반의 거동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사면 붕괴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상시 계측시스템을 도입한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해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현장조사와 계측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붕괴 규모 및 붕괴 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에 설치된 상시 계측시스템 전송 자료 분석과 수반하여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절토사면은 총 17개의 신축계 센서를 설치하여 계측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3회의 지반 변위가 발생하였고 부분적으로 다수의 인장균열이 발생하였다. 사암과 세일로 구성된 본 절토사면에서 집중호우와 하부 지지력 상실에 기인하여 초기 거동이 시작되었다. 지반거동 특성의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총 5개의 측선을 구성하여 계측을 실시하였다. 계측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대책공법이 기 시공된 구간에서는 매우 미미한 변이가 발생되었으나, 대책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최대 400mm이상의 변위가 진행되고 있다. 변위 자료와 강우자료의 분석결과 지반의 거동과 강우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반의 포화도를 변화하면서 안정성 해석을 실시한 결과, 지반 포화도가 55%이상 일때부터 안전율이 1.0이하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의 지반거동 추이는 오차 범위내에 속하는 안정한 단계로 판단되어지나, 향후 동절기의 외부온도 변화와 동반하여 지반의 변동이 우려되므로 인하여 지속적인 관찰과 자료 분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r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Project to Foster Mongolia Dairy Industry

  • Kwon, Tae-Hyeon;Choi, Byeong-Hyun;Cho, Su-Jin;Tsolmon, Munkhbatar;Durevjargal, Naidansuren;Baldan, Tumur;Min, Chan-Sik;Kong, Il-Keu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9-292
    • /
    • 2009
  • Mongolia has 80% livestock of total agriculture industry, 170,000 farms are engaged, 2,500,000 of cows that were beef and dairy cows are raised. Despite of Mongolian has great application with milk, there are not clear differences between cow and dairy cattle, and the production of milk is also low. But the milk suppliers are varied (horse, sheep, goat, etc), so that the total milk production is 500 thousand ton per year. It's really considerable to improve the breed of owing to many problems with big differences among milk qualities. For carrying out for first year project, artificial insemination project was operated with 3rd grade Holstein semen that were imported from S. Korea, and initiation and field training were also carried out through appropriate AI technique we developed for Mongolia environment. Local information research and MOU conclusion were done with professor D. Altangerel in May $10^{th}{\sim}13^{th}$, 2009, and development for AI technique and AI equipments were supplied for Mongolia breeding and natural environment in July $10^{th}{\sim}17^{th}$ in 2009. All cows were treated by synchronization for AI. To do this, $PGF_{2\alpha}$ injection were treated for luteal phase cow, if it wouldn't work, try again after 11 days. After confirmation of estrus, AI and AI training were carried out with sperm injection in the uterus or cervix by rectum-vagina method which is common worldwide, the most effective artificial insemination technique. If cows were return to next estrus cycle, second AI was carried out about approximately 21 day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fter 2 months, all cows not showing return estrus should be taken pregnancy test. Every pregnant cow will be cared thoroughly. Total 48 cows administrated by $PGF_{2\alpha}$ for synchronization and after 48 hours 45 cows (93.8%) showing estrus were detected and then artificial inseminate them within who 8 cows (27.8%) showed return estrus. Therefore, Using $PGF_2{\alpha}$ for synchronization is effective to use for Mongolia breeding conditions. There are possibility of base for food production after all, including increase of livestock production in Mongolia by improvement of breeding cow with AI and embryo transfer project.

딸기 주요 병원균에 대한 친환경제제 NaDCC의 항균활성 및 병 방제효과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Disease Control Efficacy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Against Major Strawberry Diseases)

  • 김다란;강근혜;조현지;윤혜숙;곽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2015
  • 딸기에는 여러 가지 병이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며 많은 양의 농약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유기농산물과 식품안전성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화학농약 대체제에 의한 병해 방제법 개발이 다각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 소독제로 사용하고 있는 NaDCC의 딸기 주요 병원균(딸기 시들음병, 딸기 탄저병, 딸기 역병 그리고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에 대한 항균활성 및 방제효과를 검증하고, 친환경제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NaDCC는 150~300 ppm 농도로 처리했을 때 병원진균의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포자 발아율도 68% 이상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aDCC는 딸기 세균성모무늬 병원균에 대하여서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포장조건에서 딸기 세균성 모무늬병의 발생을 50%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NADCC는 딸기 병 방제용 방제제 후보물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분자학적 진단방법을 이용한 bifenazate 저항성 점박이응애 모니터링 (Monitoring of Bifenazate Resistant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Using Molecular Detection Method)

  • 이규리;신윤호;조선란;구현나;최장전;안기수;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7
    • /
    • 2011
  • 2010년에 청주, 충주-1, 충주-2, 강진, 예산, 그리고 영주에서 채집한 점박이응애의 bifenazate 약제 저항성을 확인 해 본 결과, 강진과 예산 개체군에서 각각 964.5배, 1130배의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청주, 충주-1, 충주-2, 그리고 영주개제군에서는 낮은 저항성비를 나타내었다. Bifenazate 약제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cytb 점 돌연변이인 G126S를 확인해 본 결과, 생물검정에서 높은 저항성을 보인 강진과 예산 개체군에서 G126S 점 돌연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G126S 점 돌연변이는 bifenazate 약제 저항성을 가지는 점박이응애 선별에 아주 유용한 분자진단 마커로 이용될 수 있다. 두 가지 분자진단 방법인 quantitative sequencing(QS)와 PCR amplification of specific alleles(PASA)는 G126S 점 돌연변이를 잘 탐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들은 야외 계통의 bifenazate 약제 저항성 형질 모니터링과 저항성 관리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LAPS와 관측자료를 이용한 고해상도 경기도 농업기상정보 분석시스템 (High Resolution Gyeonggi-do Agrometeorology Information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Observational Data using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LAPS))

  • 천지민;김규랑;이선용;강위수;박종선;이채연;최영진;박은우;홍순성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3-62
    • /
    • 2012
  • 고해상도 기상자료 제공과 농림 분야에서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LAPS를 이용하여 경기도 지역을 100m 해상도로 분석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수치예보과에서 생산되는 6시간 간격 예측자료를 초기추정치로 사용하고, 각 관측자료를 동화하여 지표 온도와 습도 바람을 분석한다. 기존 분석시스템의 기상관측자료의 수집 방식을 개선하여 자료 수집에 소요되는 시간을 성공적으로 단축시킴으로써 약 20분 내에 기온, 상대습도, 풍향, 풍속에 대한 고해상도 분석결과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앞으로 LAPS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관측이 가능한 지역 이외에 어느 지역에서든 정확한 농업기상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하려면 다양한 기상자료의 활용과 지표이용도의 개선, 관측지점의 영향반경을 최적화 시키는 과정들이 추가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구축된 시스템의 분석결과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LAPS의 내부 알고리즘에 대한 미세한 조정으로 향상이 가능하므로 농업기상요소 생성을 위한 최적화 작업들을 수행한다면 정확도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기상요소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별한 기상요소들을 필요로 하는 농림 분야의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도록 분석요소의 확장이 가능 할 것이다.

복합재의 파괴와 hygrothermal 효과에 관한 연구 (Fracture and Hygrothermal Effects in Composite Materials)

  • Kook-Chan Ahn;Nam-Kyung Kim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43-150
    • /
    • 1996
  • 본 연구는 선형, 비선형 hygrothermal 응력 문제를 위한 explicit-Implicit 유한요소 해석 모델 개발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moilsture 확산 방정식, J-적분 평가를 위한 균열 요소 및 가상 균열 진전법이 도입된다. 시간 변화에 따른 균열 추진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선형 탄성 파괴 역학(LEFM)이론이 고려되며 재료의 기공은 실온에서 액체 상태의 습기로 포화되어 있으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기화된다는 가정하에서 균열 추진력과 증기 효과의 관계가 연구된다. 이상 기체방정식은 각 시간 단계에서 증기에 의한 열역학적 압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다공질 재료의 시간 종속 응답을 지배하는 방정식들은 혼합이론에 기초하며 다공질 재료의 유체 흐름을 위한 Darcy의 법칙과 Von-Mises 항복 기준을 포함하고 있는 Perzyna의 점소성 모델이 첨가된다. 또한 Green-Naghdi 응력률이 중첩된 강체 운동하에서 응력 텐서 invariant로 사용되며, 모델링을 위하여 사각요소가 이용되고 비선형 지배 방정식을 풀기 위하여 full Newton-Raphson법에 의한 반복법이 사용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유한요소 프로그램은 복합재의 hygrothermal 파괴 해석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2) 습기의 온도에 의한 영향을 가지는 재료의 J-적분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는 증기 효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초기단계에 균열 전파력이 가속되기 때문이다. 3) 본 해석을 위해 Uncoupled scheme에 의한 결과도 Coupled scheme에 결과에 비해 아주 타당하므로 CPU 측면에서 매우 경제적인 Uncoupled scheme이 추천된다.

  • PDF

과학기술정보를 위한 메타데이타 레지스트리 관리 시스템 (Metadata Registry Management System for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정동원;신동길;정은주;김영갑;이정욱;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6호
    • /
    • pp.472-483
    • /
    • 2004
  • 지금까지 ISO/IEC ll179를 기반으로 한 많은 메타데이타 레지스트리 관리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들의 경우, 국제 표준인 ISO/IEC ll179 명세에 위배되거나 활용을 위한 필수 기능이 미비하다는 단점을 지닌다 또한 핵심적인 구현 내용이 공개되지 않음으로써 국내 환경에 적합한 메타데이타 레지스트리 관리 시스템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기존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메타데이타 레지스트리관리 시스템 개발에 있다. 또한 개발한 시스템을 과학기술정보 분야에 적용하여 실제 메타데이타 레지스트리를 구축 과정을 보인다. 개발된 메타데이타 레지스트리 관리 시스템은 크게 메타데이타 레지스트리 계층, 핵심 컴포넌트 계충, 확장 계층 및 서비스 인터페이스 계층으로 구성된다. 구현된 메타데이타 관리 시스템은 ISO/IEC ll179의 규칙을 준수하고 활용을 위한 필수적인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 및 메타데이타 레지스트리 구축을 위한 지침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설계 및 구현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메타데이타 레지스트리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재사용이 용이하며 시스템 개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킨다.

자궁 경부암 환자의 추적검사시 혈장내 CEA치 측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Plasma CEA Levels in the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during Follow-Up)

  • 반성범;김주영;최명선;나중열;이민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93-301
    • /
    • 1991
  • CEA 측정으로 부인과 영역 악성종양의 치료결과나 재발 여부의 조기 진단을 할 수 있나를 연구한 결과이다.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239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전과 치료후 CEA치를 체계적으로 측정했고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정상군으로 아무런 증상이 없는 건강한 부인 65명과 양성종양을 가진 18명의 부인을 상대로 CEA치를 측정하였다. 혈장내 CEA치는 종양의 진행정도와 기의 직접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종양의 기가 진행되면 될수록 CEA치가 비정상인 경우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CEA치가 비정상인 경우 편평상피종 환자보다는 선세포나 선세포와 편평세포가 혼합된 경우 더욱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으로 혈장내 CEA을 체계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치료 끝난 후 추적검사시 재발의 조기발견 및 치료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여과집진기의 탈진 성능 향상을 위한 충격 기류 분사 시스템 최적화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design of pulse air jet system to improve bag-filter performance)

  • 홍성길;정유진;박기우;정문헌;임기혁;서혜민;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792-37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FD)을 이용하여 산업체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충격기류형 탈진시스템의 탈진 특성을 규명하고, 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탈진부 유니트(unit) 형상을 개조한 경우의 탈진 성능을 비교하였다. 탈진부 각 형상별로 탈진 공기량과 기류 분포, 유입속도 분포 등을 검토한 결과, 블로우 튜브에 노즐을 설치한 경우(Case 3)와 벤츄리에 이중 유입관을 설치한 경우(Case4, 5)가 현재 현장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구조(Case 1)에 비해 탈진 공기량의 증폭 효과 및 기류 폭의 확장 현상이 우수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선정된 Case-5를 상용 백필터의 사양(직경 150 mm)에 적용하기 위해 벤츄리 제원을 결정한 결과, 내측 유입관의 직경 50 mm, 외측 유입관의 직경 90 mm의 제원을 적용하면 탈진 공기량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