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cal enzym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1초

녹차가 다이옥신계 TCDD(2,3,7,8-tetrachlorodibenzo-p-dioxin)에 노출된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 독성물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the Disorders of Lipid Metabolism and Hepatic Functions in Rats treat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 이준호;김현숙;황석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185-1193
    • /
    • 2006
  • 다이옥신계 TCDD에 노출된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 독성물질대사에 있어서 녹차의 방어효과를 알아보고자 Sprague-Dawley rat(수컷, 6주령)를 이용하여 녹차는 건분으로 1%, 3% 첨가식이를 공급하고 TCDD는 실험 초에 복강내 주입하여 3주간 실험하였다. 사육 종료후 혈액조성과 혈청, 간 및 변의 지질을 분석하고 간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도와 간 독성물질대사 관련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체중증가와 식이섭취량이 TCDD투여군 모두에서 감소하였다. 간과 뇌 및 고환의 중량은 TCDD투여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흉선의 무게는 TCDD투여군 모두에서 대조군의 1/3 정도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녹차에 의한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혈액성분에서 적혈구, 백혈구의 수와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의 값은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소판의 수와 lymphocyte%가 TCDD투여에 의해 저하되었다가 녹차 3% 첨가군에서 증가되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neutrophill%는 TCDD투여에 의해 상승했다가 녹차 첨가에 의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간 기능 지표가 되는 효소인 혈청 GOT와 ALP활성도에서는 TCDD투여에 의한 상승을 녹차첨가에 의해 저하시켜 개선되었다. 혈청 총콜레스테롤과 HDL-, LDL-콜레스테롤함량은 모두 대조군보다 TCDD 투여군에서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녹차의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triglyceride는 녹차 첨가식이에 의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및 triglyceride 함량은 TCDD투여에 의해 2배정도의 상승을 보였는데 녹차 3%첨가에 의해 억제작용이 나타났다. 변의 총 배설량과 총지질, 총콜레스테롤의 배설량이 녹차 첨가에 의해 현저하게 많았으며 특히 콜레스테롤 배설이 녹차 3% 첨가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녹차의 성분이 지질흡수를 저하시키고 배설을 촉진하는 작용이 확인되었다. 항산화효소인 SOD의 활성도가 다른 군보다 녹차 3% 첨가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녹차의 항산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의 독성물질대사 효소활성도에서 TCDD투여에 의한 NADPH cytochrome p-450 reductase의 상승을 녹차 3%첨가 식이에 의해, 그리고 cytochrome p-450 의존성 monooxigenase인 BPND는 TCDD투여에 의한 상승을 녹차 1% 첨가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에서 녹차가 TCDD투여에 의한 간지질의 축적을 억제시키고 변으로 지질배설량을 증가시켰으며 간 기능에 관련된 효소활성도를 정상화시키는 경향이 있었고 항산화효소인 SOD 활성도를 상승시켜 항산화성을 높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횐쥐의 장기능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igestible Dextrin on Bowel Function and Serum Lipid in Rats)

  • 왕수경;윤은영;임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60-567
    • /
    • 1996
  • 본 연구는 기능성 식이섬유음료의 섬유급원인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장기능 및 혈청내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Drague-Dawley(평균 체중 819)의 흰쥐를 3군으로 나누어 control군으로 무섬유소 식이군(IC), 섬유소간의 비교를 위해 5% pectin군(IP), 5% 난소화성 덱스트린군(ID)으로 6주간 사육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식이 효율은 식이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 섭취량이 높을수록 체중 증가량이 증가하였다. ID군이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식이 효율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각군간의 간, 비장, 콩팥의 무게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부고환 지방의 무게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IP군이 가장 적었고 ID군도 IC군 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다. 맹장의 무게는 섬유소를 섭취하지 않은 IC군 보다 ID군에서 유의적으로(p<.05) 무거웠으며, IP군도 IC군 보다는 무거운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장 무게와 길이도 ID군과 IP군이 IC군 보다 더 무겁고 긴 경향을 보였다. 배설된 변량은 ID군과 IP군이 IC군 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 장 통과시간은 IP군이 다른 군 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ID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총 지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모두 IC군에서 높아 pectin이나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고지혈증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변내 지방 함량은 IP군이 가장 많았고(p<.05), ID군도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IC군 보다는 많아서 지방의 흡수율이 IC군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Ca의 흡수율은 IP군이 가장 낮았고(p<.05), ID군과 IC군과는 별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식이음료 중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장 통과시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전반적인 장기능을 증진시키고, Ca의 홉수를 방해하지 않고 지방의 흡수를 감소시켜 체내 지방대사에 다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김치의 섭취가 인체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 이기은;최언호;지근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81-986
    • /
    • 1996
  • 김치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정장 작용이 있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를 입증하는 객관적인 자료가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섭취가 인체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체 실험대상자는 10명으로 실험기간중의 이들의 식이는 생균제, 항생제, 유산균 발효 제품을 제외한 자유식을 섭취하게 하였다. 실험 기간은 10주로 2주 간격으로 김치 비섭취 및 섭치 기간을 반복했으며 섭취 기간 중에는 매일 200 g의 김치를 섭취하게 하였다. 각 기간별로 분변의 장내 미생물 균총 분포도(Bacteroides, Bifidobacterium, Escherichia coli, Streptococcus, Lactobacillus, Leuconostoc, Staphylococcus, Clostridium perfringens), 변의 pH, 수분 함량 및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등의 효소활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김치의 섭취 기간 중 김치에 존재하는 젖산균인 Lactobacillus와 Leuconostoc의 수가 장내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그 외 조사된 다른 균총수의 변화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장내 유해효소로 알려진 $\beta-glucosidase$$\beta-glucuronidase$의 수준은 김치 섭취시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 PDF

대두단백가수분해물이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y Protein Hydrolyzat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Rat)

  • 한윤희;박상규;김혜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2호
    • /
    • pp.119-126
    • /
    • 2008
  • 본 연구는 대두단백가수분해물의 섭취가 소화흡수율, 지질대사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흰쥐를 카제인, 분리대두단백 (ISP) 또는 대두단백가수분해물 (서리태단백분해물 (SH), 수용성단백분해물 (SS) 또는 불용성단백분해물 (IS)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후 생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질소화흡수율은 실험 1주차에서 분리대두단백군 (ISP군)이 다른 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불용성가수분해물군 (IS군)은 실험 4주차에서 다른 군들보다 콜레스테롤의 소화흡수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2) 혈액 중성지방은 불용성가수분해물군 (IS군)이 카제인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서리태가수분해물과 ISP군도 낮은 경향이었다. 총 콜레스테롤도 중성지방과 마찬가지로 불용성가수분해물군이 가장 낮았고 다른 대두가수분해물군들과ISP군도 카제인군보다 낮은 경향이었다. 대두가수분해물군들이 카제인군보다 HDL-cholesterol은 높이고, LDL-cholsterol은 낮추어서 동맥경화지수는 불용성, 수용성, 서리태가수분해물의 순으로 낮았다. 3) 총항산화력은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서리태가수분해물군 (SH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간의 항산화효소활성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서리태가수분해물군의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 활성이 카제인군과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대두단백가수분해물군들은 카제인군보다 혈액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과 동백경화 지표 (AI)를 낮추어서 심혈관질환예방에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효과는 특히 불용성단백가수분해물군에서 뛰어났다. 한편, 항산화활성의 경우 총항산화력과 항산화효소활성이 서리태가수분해물군에서 높은 경향으로 나타나 앞으로 서리태의 항산화 효과의 원인물질을 규명하고 분리추출하는 등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전통 콩의 우수한 면모를 밝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곡물 및 사료오염 데옥시니발레놀 및 대사체에 의한 인축질환 연계 생체지표 및 바이오모니터링 (Human and Animal Disease Biomarkers and Biomonitoring of Deoxynivalenol and Related Fungal Metabolites as Cereal and Feed Contaminants)

  • 문유석;김동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5-91
    • /
    • 2014
  • Deoxynivalenol (DON) and related trichothecene mycotoxins are extensively distributed in the cereal-based food and feed stuffs worldwide. Recent climate changes and global grain trade increased chance of exposure to more DON and related toxic metabolites in poorly managed production systems. Monitoring the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exposures to the toxins are crucial in protecting human and animals from toxicities of the hazardous contaminants in food or feeds. Exposure biomarkers including urine DON itself are prone to shift to less harmful metabolites by intestinal microbiota and liver metabolic enzymes. De-epoxyfication of DON by gut microbes such as Eubacterium strain BBSH 797 and Eubacterium sp. DSM 11798 leads to more fecal secretion of DOM-1. By contrast, most of plant-derived DON-glucoside is also easily catabolized to free DON by gut microbes, which produces more burden to body. Phase 2 hepatic metabolism also contributes to the glucuronidation of DON, which can be useful urine biomarkers. However, chemical modification could be very typical depending on the anthropologic or genetic background, luminal bacteria, and hepatic metabolic enzyme susceptibility to the toxins in the diet. After toxin exposure, effect biomarkers are also important in estimating the linkage and mechanisms of foodborne diseases in human and animal population. Most prominent adverse effects are demonstrated in the DON-induced immunological and behavioral disorders. For instance, acutely elevated interleukin-8 from insulted gut exposed to dietaty DON is a dominant clinical biomarker in human and animals. Moreover, subchronic exposure to the toxins is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serum IgA, a biological mediator of IgA nephritis. In particular, anorexia monitoring using mouse models are recently developed to monitor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DON-induced feed refusal. It is also mechanistically linked to alteration of serotoin and peptide YY, which are promising biomarkers of neurological disorders by the toxins. As animal-alternative biomonitoring, huamn enterocyte-based assay has been developed and more realistic gut mimetic models would be useful in monitoring the effect biomarkers in resposne to toxic contaminants in the future investigations.

건강한 한국인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Senegalimassilia sp. KGMB 04484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 초안 (Draft genome sequence of Senegalimassilia sp. KGMB 04484 isolated from healthy Korean human feces)

  • 한국일;강세원;김지선;이근철;엄미경;서민국;김한솔;박승환;이주혁;박잠언;오병섭;유승엽;최승현;이동호;윤혁;김병용;이제희;이정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0-16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 분변으로부터 Senegalimassilia sp. KGMB 04484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PacBio Sequel 플랫폼을 이용하여 유전체서열을 분석하였다. 유전체는 G+C 구성비율이 61.18%이며, 2,300개의 유전자와 2,139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 21개의 rRNA 및 51개 tRNA로 구성되었으며, 염색체의 크기는 2,748,041 bp였다. 유전체의 주요 특징은 가수분해효소와 지방산생합성 및 대사에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전체의 분석은 KGMB 04484 균주가 사람의 건강 및 소화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건강한 한국인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Ruminococcus sp. KGMB03662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 초안 (Draft genome sequence of Ruminococcus sp. KGMB03662 isolated from healthy Korean human feces)

  • 한국일;강세원;엄미경;김지선;이근철;서민국;김한솔;박승환;이주혁;박잠언;오병섭;유승우;유승엽;최승현;이동호;윤혁;김병용;이제희;이정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74-27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 분변으로부터 Ruminococcus sp. KGMB03662 균주를 분리하고 유전체서열을 PacBio Sequel 플랫폼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염색체의 크기는 2,707,502 bp로 G + C 구성 비율은 43.09%, 총 유전자수는 2,484개, 단백질 코딩 유전자는 2,367개, rRNA는 14개 및 tRNA는 53개로 구성되었다. 본 유전체로부터 가수분해효소, 지방산생합성 및 대사와 항생제생합성 및 내성 관련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전체의 분석은 KGMB03662 균주가 사람의 건강 및 질병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지질혈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솔잎 착즙액 첨가 설기떡의 지질개선 효과 (Effect of Sulgidduk containing pine needle juice on lipid metabolism in high fat-cholesterol diet induced dyslipidemic rats)

  • 이윤정;박재희;박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1호
    • /
    • pp.6-16
    • /
    • 2019
  • 본 연구는 솔잎착즙액이 고지방식이로 이상지질혈증을 유도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동물을 정상식이 (ND)군, 고지방식이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식이를 4주간 급여한 후 고지방식이군을 설기떡 (SD)군 및 솔잎착즙액설기떡 (PSD)군으로 분류하여 6주간 사육하고, 혈장과 간 및 분변의 지질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PSD군은 설기떡 섭취에 의해 유의하게 높아진 체중증가량을 유의하게 낮추었으며 (p < 0.05), 설기떡 섭취에 의해 유의하게 높아진 혈장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 > 0.05). 간 조직과 분변의 지질대사 관련 지표를 분석한 결과 PSD군은 설기떡 섭취에 의해 ND군보다 유의하게 높아진 간 조직의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과 간 조직의 SREBP2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또한 PSD군은 SD군보다 분변으로 배출되는 중성지방 함량을 14.8% 높였으며 (p > 0.05), 혈장과 간의 지질과산화를 SD군보다 각각 7.7%, 20.2%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혈장과 적혈구의 항산화활성 관련 지표를 분석한 결과 PSD군은 설기떡 섭취에 의해 낮아진 혈장 ORAC을 높이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설기떡 섭취에 의해 유의하게 낮아진 간조직의 Mn-SOD 및 CAT 효소활성을 SD군보다 각각 21.5%, 19.6% 유의하게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지방식이로 이상지질혈증을 유도한 흰쥐에서 솔잎착즙액설기떡의 섭취는 체중증가억제,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 간 내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간 조직의 지질수준 감소, 분변으로의 지질배출 증가,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 감소, 혈장과 간 조직의 항산화 활성 증가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솔잎착즙액을 첨가한 설기떡은 지질 감소 효능을 가진 기능성 떡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갈대순분말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대사 및 적혈구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oung Phragmites communis Leaves Powder on Lipid Metabolism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High-Fat Diet Fed Mice)

  • 이진;정주영;조영숙;박석규;김광진;김명주;이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77-683
    • /
    • 2010
  • 본 연구는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내 지질개선 및 항산화 방어계에 미치는 갈대순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마우스(n=24)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군, 고지방-갈대순분말 급여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갈대순분말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식이에 1% 수준이 되도록 첨가 조제하여 급여하였다. 갈대순분말군의 체중, 일일 식이섭취량과 에너지섭취량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갈대순분말 급여 시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19% 감소되었고 중성지질 함량은 36%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갈대순분말은 고지방식이로 축적된 간 조직의 중성지질 함량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심장조직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군이 각각 145%, 112%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갈대순분말 급여로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갈대순분말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분변으로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배설을 각각 27%와 28%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갈대순분말은 간 조직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지방산 합성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간 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도 역시 갈대순급여군이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적혈구 중의 SOD와 CAT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 급여 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GSH-Px 활성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갈대순분말 급여는 적혈구의 SOD와 CAT 활성과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이와 같이 갈대순분말은 고지방식 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고 분변으로의 지질배설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장 지질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활성도와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지버섯 배양액이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Coriolus versicolor on Lipid Metabolism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Cholesterol Diet.)

  • 고진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90-795
    • /
    • 2005
  •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유도한 횐쥐에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8주령의 Sprague-Dawley계 숫쥐에 대조식이군($20\%$지방과 $0.5\%$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 대조식이와 운지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을 음료수에 $30\%$$40\%$로 혼합 급여한 군($30\%$$40\%$ 운지버섯군)등 3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은 $30\%$$40\%$ 운지버섯군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되었으나,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대조군과 운지버섯군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간, 신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대조군과 운지버섯군이 비슷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40\%$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30\%$$40\%$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총 지질 및 중성지방의 배설량은 대조군에 비해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횐쥐에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 30\%$$40\%$ 급여시 체중을 다소 감소시키고, 간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X>로 가슴 및 다리육의 적색도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육일령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가열 감량은 가슴육에서 $26.37\~28.79\%$이고 다리육은 $30.32\~31.32\%$로 다리육에서 가열감량이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육일령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전단력은 가슴육에서 45일령이 $2.20\;kg/0.5inch^2$, 70일령 $2.84\;kg/0.5inch^2$로 사육일령이 증가함에 고기의 연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pH가 낮아 드립의 발생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am은 24시간째에 온도와 관계없이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Ceftriaxone sodium을 TPN과 Y-site 혼합 후 1-2시간 이내에 침천이 형성되었고 Unasyn의 경우에는 12시간째에 침천이 형성되었다. 혼합액의 pH나 색상은 연구기간 동안 일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aminophylline은 고영양수액제와 혼합가능하고 ceftriaxone과 Unasyn은 고양양수액제와 혼합시 최소 1시간 동안은 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부작용 없이 조사할 수 있었고, 근치적 국소요법의 일환으로 방사선 선량증가가 전체 생존기간 및 무진행 생존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유방암치료에서 virtual wedge는 통상 사용하는 physical wedge에 비하여 주변 연부조직선량, 반대편 유방선량, 동측 페선량 및 심장선량을 감소시켜 급, 만성 방사선 부작용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또한 방사선조사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선형가속기의 부하를 줄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