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r of positive evalua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대학생의 평가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ar of Evaluation, Test Anxiety, and Social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 조옥희;황경혜;임종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6-6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학생 383명으로 2015년 6월부터 7월까지 평가에 대한 두려움, 시험불안 및 사회불안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및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변수는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을 30% 예측 설명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은 경제상태, 간호학 전공만족도, 학업스트레스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r=.45, p<.00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r=.29, p<.001) 및 시험불안(r=.29, p<.001)과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의 영향요인임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 대상의 사회불안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을 사전에 스크리닝하여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and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s)

  • 강민주;홍정순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333-35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사회불안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수행불안으로 구분하여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자의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 절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수행 불안은 모두 유의한 정적 관련을 보였다. 둘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 절하가 매개할 때, 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보다 유의하게 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할 때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 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직장인들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희망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hope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elf-esteem among workers)

  • 이규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189-194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희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대전, 충청권에 소재하는 총 34개의 직장을 선정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설문지 중 불충실하게 응답지를 제외한 분석대상은 총 301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조절효과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다른 변인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나머지 변인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조절효과 회귀분석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희망 주도사고의 조절효과가 규명되었다. 그러나 희망 경로사고의 조절효과는 규명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저하된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는데 구체적으로 희망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을 제안하였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낙담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and Self-Discouragement-)

  • 김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75-48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낙담, 자기격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에 소재한 3곳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존재하였고 자기낙담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에 정적상관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자기격려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에 부적상관이 존재하였다. 둘째,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낙담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고 자기격려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에게 상담자의 조력이나 안내를 통해 변화가능성이 있는 자기격려를 신장시켜줌으로써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지닌 내담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치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voidance Motiv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Organizational Silence)

  • 김주현;정우진;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1호
    • /
    • pp.67-86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93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내현적 자기애,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동기를 측정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동기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관계에서 모두 적절한 설명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를 매개변수로 하여 매개 모형 검증을 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회피 동기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 변인 사이에서의 이중매개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이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n Field Adaptation of New Graduate Nurses)

  • 정귀남;이화진;권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895-6904
    • /
    • 2015
  • 본 연구는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이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인지적 정서조절이 조절효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1년 미만의 신규간호사 181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점수 3.25점, 인지적 정서조절 점수 3.18점, 현장적응 점수는 2.92점이었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클수록 부적응적 인지조절의 사용이 많았고 현장적응은 낮았다. 또한 부정적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현장적응 사이에 인지적 정서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로, 신규간호사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기 위해 자신감 증진 프로그램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사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raction Anxiety of Nursing Students)

  • 김경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17-424
    • /
    • 2020
  • 자신에 대한 타인의 평가에 대해서 긴장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처럼 타인의 평가가 예상되거나 실재할 때 느끼는 불안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이라고 한다. 간호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간호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B시와 C시에 소재한 4곳의 간호 대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r=.67, p<.001),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r=.56, p<.00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r=.44,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β=.19, p<.00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β=.43, p<.001),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β=.34, p<.001)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었다. 이들 변수가 대상자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58.1%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대학생들이 원만한 대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체계 제공과 긍정적, 부정적 평가에 대한 민감성을 줄이고 자기 자신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OVID-19 두려움, 백신수용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VID-19 Fear, Vaccine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 배나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53-259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COVID-19 두려움 수준과 백신수용성을 파악하고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COVID-19로 활기를 잃은 사람들의 건강한 생활을 위한 구체적인 복지 대책을 마련하는데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가 인지하는 코로나바이러스의 두려움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백신이 타 백신과 비교하였을 때 백신에 대한 두려움 혹은 공포감은 상당히 높았다. 셋째, 조사대상자가 지각하는 성인들의 백신수용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바이러스 예방백신에 대한 정부정책의 신뢰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삶의 질 평가에서 경제적 만족도는 다른 영역에 비해 낮았으며 정서적 만족도는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Changes in Dogs' Social Behavior Toward Humans

  • Kang, Ok-Deuk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7-24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ogs' sociality toward human strangers in the absence of an owner by analyzing changes in dogs' behavior during a task of making eye contact with an experimenter to obtain snacks. A total of 17 dogs were divided into groups of high sociality (HS; n = 10, 4.4 ± 3.87 years) and low-sociality (LS; n = 7, 3.71 ± 2.06 years). A comparison of the average frequency of five behavioral types-fear-appeasement behaviors (P<0.001), sociability-related behaviors (P<0.001), stress-related behaviors (P<0.05), destruction (P < 0.001), and vocalization (P < 0.001)-between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ive categories.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gs with high sociality are less exposed to various stresses and have a higher ability to adapt to new environments than dogs with low sociality. This can predict dogs' adaptability to a new environment and positive outcomes in their daily life with the owner.

과학일지 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Science Journal Writing)

  • 곽민숙;이용섭;한영욱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students though science journal writing about the units of Science textbook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sixth grade. The results indicate that science-journal writing has influenced the students positively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 lower group's academic achievements, in science related attitudes, 'voluntariness' and 'cooperation', in science learning motives, 'self-satisfaction for science', 'superficial strategies for science', and 'expectation for science', in fear level for science subjects, its lower fear class, 'experiment performance'. A middle group was revealed to have more positive improvement in 'cooperation' and 'perseverance', both of which were lower categories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as subgrade of science learning motives, 'self-efficiency for science' and 'expectation for science' stood out. For fear level for science subjects, the lower group gained distinctive results from 'science eval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