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infrared drying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3초

건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천마의 품질 및 성분 변화 (Changes of Components and Quality in Gastrodiae Rhizoma by Different Dry Methods)

  • 최소라;장익;김창수;유동현;김종엽;김영국;안영섭;김정만;김영선;서경원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54-361
    • /
    • 2011
  • In order to product dry goods of Gastrodiae Rhizoma with high quality, tubers were treated with various dry methods such as cutting, drying methods and steaming. In cutting than no cutting, they were shown shorter drying hours and lower drying yield. Drying hours in freeze drying was shorter than those of hot air and far-infrared ray.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r in cutting than no cutting. According to steaming, it was increased in freeze drying but decreased rapidly in the other dry methods. Among all treatments, hot air dry treatment with cutting and no steaming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Gastrodin and 4-hydroxybenzyl alcohol contents generally were similar or higher in cutting than no cutting. By steaming, gastrodin content in freeze drying was decreased but 4-hydroxybenzyl alcohol content was increased. But hot-air and infrared ray dry, they were shown opposite results. Gastrodin and 4-hydroxybenzyl alcohol contents showed opposite reaction to each other and were shown various response by dry methods.

비닐하우스 이용 고추 건조 시 야간 원적외선등 조사량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r-infrared Irradiance at Night on Quality of Sunlight Drie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in Plastic Houses)

  • 이광재;김시동;윤정범;이기열;최규홍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19-826
    • /
    • 2014
  • 본 연구는 원적외선등 적정 조사량이 상품성과 건조 효율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원적외선등 조사량은 대조구(관행), $250W{\cdot}6.6m^{-2}$, $250W{\cdot}3.3m^{-2}$, $500W{\cdot}3.3m^{-2}$ 등 4처리를 두었다. 고추 건조기간은 $500W{\cdot}3.3m^{-2}$$250W{\cdot}3.3m^{-2}$는 12일, $250W{\cdot}6.63m^{-2}$는 14일, 관행은 15일이었다. 주간 온도는 처리 간에 동일하였으며, 야간 최저온도는 원적외선등 처리구가 $29.5-37.2^{\circ}C$, 관행이 $23.8^{\circ}C$로 가장 낮았다. 건고추 상품 수량은 원적외선등 $250W{\cdot}3.3m^{-2}$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원적외선등 조사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7-14% 증가하였다. 상품과율은 원적외선등 조사 처리구에서 93.6-96.3%로 대조구 87.0-87.5%보다 높았다. 고추의 ASTA 값은 $250W{\cdot}3.3m^{-2}$, $250W{\cdot}6.6m^{-2}$, $500W{\cdot}3.3m^{-2}$, 관행 순으로 높았다. 캡사이신 capsaicin 함량은 처리 간에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태양초 건조 기간 단축뿐만 아니라 고추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돈지 모형계에서 생 파프리카와 원적외선 건조 파프리카 분말의 지질 산화 억제 효과 비교 (The Effect of Fresh Paprika and Paprika powder dried by far-infrared ray on Inhibition of Lipid Oxidation in Lard Model System)

  • 박재희;김창순;노상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75-481
    • /
    • 2005
  • 항산화성의 카로티노이드계 물질의 우수 급원인 파프리카를 돈지 모형계에 사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돈지에 원적외선 $50^{\circ}C$에서 건조한 파프리카 분말(PP) 3, $5\%$와 fresh paprika(FP)를 $3\%$ 첨가하여 $4^{\circ}C$에서 8일 동안 지질 산화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PP와 FP 첨가군의 POV와 TBA값 증가율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특히 FP $3\%$ 첨가군은 냉장저장 8일째에도 거의 변화가 없었고, 불포화지방산 파괴는 가장 작게 나타나 가장 우수한 지방산화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돈지 모형계에서 파프리카의 지질산화 억제효과는 원적외선건조로 인한 항산화성분의 파괴로 감소하며, 항산화성분이 다량 함유된 FP는 육제품 지방산화에 대해 우수한 산화방지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Using Stationary Far Infrared Dryer)

  • 한충수;조성찬;강태환;김창복;김민호;이해철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6-111
    • /
    • 2003
  • 농산물을 건조하는 이유는 생산 후 유통과정과 저장 중에 품질의 변화와 손상을 방지하고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농가 및 일반 농산물 가공 공장에서는 화석연료나 전기를 이용한 열풍건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표고버섯은 농가의 고소득 특용작물로 단백질, 당, 무기질 및 각종 아미노산과 비타민 등을 고루 갖춘 식품으로서 최근에는 항산화, 항균 및 항암 효과에 대해서도 알려져 있고, 매년 생산량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등 1999). (중략)

  • PDF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특성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 임용래;경예나;정헌상;김혜영;황인국;유선미;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315-13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품질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 가지 품종의 고추를 PE House 건조, 열풍건조, 원적외선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조건별로 고춧가루의 수분함량 변화, pH, ASTA value 및 capsaicinoids와 vitamin C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건조 후 고춧가루의 수분함량은 12.05~14.01%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H는 건조 전 생고추인 4.93보다 다소 높은 5.00~5.54를 나타내었다. 고춧가루의 매운맛을 나타내는 총 capsaicinoids의 capsaicinoids의 함량은 PE House 건조에서 224.40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열풍 $70^{\circ}C$ 건조에서 191.87 mg/100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건조방법에 따른 capsaicinoids 함량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매운맛 함량의 변화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춧가루의 대표적 항산화제인 vitamin C 함량은 다른 건조방법 및 조건에 비해 PE House, 열풍 $60^{\circ}C$과 원적외선 $60^{\circ}C$에서 596.60~648.31 mg/100 g으로 높은 수준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소비자가 고춧가루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ASTA value는 126.68~156.77로 건조방법 및 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고추의 건조방법 및 조건을 낮은 온도 조건에서의 열풍, 원적외선 건조방법으로 결정한다면 고춧가루의 vitamin C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PE House 건조에 비해 신속하며 오염을 예방하는 고품질의 고춧가루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탄소나노섬유를 열원으로 적용한 세탁물 건조기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Dryer with a Heat Source of Carbon Nanofibers)

  • 이정환;원상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5-34
    • /
    • 2018
  • 본 논문은 세탁물 건조기의 고효율과 건조성능 향상을 위한 탄소나노섬유의 열원(히팅모듈)을 설명하였고, 이 열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집중하였다. 제안된 히팅모듈의 설계를 위해, 탄소나노섬유램프의 표면온도와 표면온도분포특성에 관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그 램프의 표면온도는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증가와 함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램프의 길이가 짧을수록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제안된 히팅모듈은 건조효율, 세탁물의 수분증발률, 건조동작 중 드럼의 내부온도를 기반으로 평가되었다. 건조효율은 KS C 9319의 기준인 45%를 충족하였고, 수분증발률과 드럼의 내부온도는 각각 98.88%와 평균 $61.1^{\circ}C$로 S사의 제품과 대등한 건조성능을 보였다. 그 평가와 실제 건조실험 결과로부터, 제안된 탄소나노섬유램프 히팅모듈은 건조효율과 건조성능의 측면에서 세탁물 건조기의 열원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높은 온도의 열원, 우수한 발열량, 원적외선 방출에 의한 건조성능의 향상과 세탁물의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 건조기들 사이에 건조효율 성능차이가 열원의 소비전력을 기반으로 상세히 분석되었다.

열풍건조와 복합건조로 제조한 방울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var. cerasiforme)의 이화학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rry tomato (Solanum lycopersicum var. cerasiforme) prepared using hot-air and combined drying)

  • 강은정;박예주;박성수;이재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39-343
    • /
    • 2018
  • 과열증기와 열풍(과열증기/열풍건조) 또는 원적외선(과열증기/원적외선건조)으로 복합건조한 방울토마토의 이화학특성을 상응하는 열풍건조 토마토와 비교하여, 복합건조가 건조토마토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울토마토의 수분함량 85.10%는 열풍건조, 과열증기/열풍 또는 원적외선의 복합건조에 따라 15.98, 22.94 및 23.08%로 각각 감소하였으며, 열풍건조와 달리 복합건조 토마토는 중간수분식품의 수분함량에 해당하는 반건조상태를 나타내었다. 건조토마토의 수축도와 표면색상은 건조 방법에 관계없이 유사하였으나, 열풍건조 토마토는 복합건조에 비해 단단한 텍스처와 낮은 풍미를 나타내었다. 방울토마토의 아스코브산 함량(260.1 mg/100 g)은 열풍건조에서 77.6 mg/100 g으로 최대 감소를 보인 반면, 복합건조의 경우에는 과열증기/열풍건조 120.8 mg/100 g, 과열증기/원적외선건조 185.2 mg/100 g으로 낮은 손실을 나타내었다. 리코펜 함량은 열풍건조, 과열증기/열풍 또는 원적외선의 복합건조에서 각각 5.55, 5.81 및 8.53 mg/100 g으로서, 대조구 대비 77, 76 및 64%의 높은 손실률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건조공정 이외에 시료의 탈피와 동결건조 과정에서 리코펜이 유실, 손상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건조방법에 따른 리코펜의 손실 양상을 고려할 때, 리코펜 손실은 과열증기/원적외선의 복합건조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수분흡수력은 모든 수침시간에서 복합건조시료가 열풍건조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으며, 특히 과열증기/원적외선건조의 경우 가장 빠른 수화복원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방울토마토의 건조는 외관, 유용성분의 손실률과 수화복원력의 관점에서 과열증기처리 후 원적외선으로 건조하는 복합건조가 열풍건조에 비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컨베이어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Using Conveyer Far Infrared Dryer)

  • 한충수;연광석;조성찬;김민호;강태환;이해철;김창복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9-314
    • /
    • 2003
  • 표고버섯은 특이한 향과 육질, 약효성분 때문에 오래 전부터 식용으로 애용된 임산물이다. 표고버섯은 원래 한국, 중국, 일본에서만 자생하던 극동지역 특산물로서 미국, 유럽 등지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현재는 전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인공재배 되고 있다. 표고버섯에 포함되어있는 수용성 다당류인 렌티난(lentinan)은 종양세포인 Sarcoma-180의 생장을 저해하는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최 등 1995). 또한 여러 종류의 유리 아미노산이 들어 있고 열량이 낮은 반면, 비타민과 식이섬유 등이 풍부한 영양식품이다(황 1983). 그러나 버섯은 함수율이 높고 조직이 연약하여 저장하기 어렵고, 부패되기 쉽기 때문에 수확 후 단시일 내에 생버섯으로 판매하거나, 통조림 또는 건조가공하고 있지만, 후자가 일반적이다(하 등 2001).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