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gaze distribu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Gaze Differences between Expert and Novice Teachers in Science Classes

  • Kim, Won-Jung;Byeon, Jung-Ho;Lee, Il-Sun;Kwon, Yong-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43-1451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gaze patterns of two expert and two novice teachers in one hour of lecture type class. Teachers recruited from the same middle school conducted the class each, wearing an eye-tracker. Gaze rate and gaze movement pattern were analyzed. The scene where teachers faced in the classroom was categorized into three zones; student zone, material zone, and non-teaching zone. Student zone was divided into nine areas of interest to see the gaze distribution within the student zone. Expert teachers showed focused gaze on student zone while novice teachers' gaz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non-teaching zone, compared to expert teachers' one. Within student zone, expert teachers' gaze spread to the rear areas, but novice teachers' one was narrowly resided in the middle areas of the student zone. This difference in gaze caused different eye movement pattern: experts' T pattern and novices' I pattern. On the other hand, both teacher groups showed the least gaze rate onto the left and right front areas. Which change is required to teachers' gaze behavior and what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make effective teacher gaze in the classroom setting were discussed.

로봇 캐릭터와의 상호작용에서 사용자의 시선 배분 분석 (Analysis of User's Eye Gaze Distribution while Interacting with a Robotic Character)

  • 장세윤;조혜경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74-79
    • /
    • 2019
  • In this paper, we develop a virtual experimental environment to investigate users' eye gaze in human-robot social interaction, and verify it's potential for further studies. The system consists of a 3D robot character capable of hosting simple interactions with a user, and a gaze processing module recording which body part of the robot character, such as eyes, mouth or arms, the user is looking at, regardless of whether the robot is stationary or moving. To verify that the results acquired on this virtual environment are aligned with those of physically existing robots, we performed robot-guided quiz sessions with 120 participants and compared the participants' gaze patterns with those in previous works. The results included the followings. First, when interacting with the robot character, the user's gaze pattern showed similar statistics as the conversations between humans. Second, an animated mouth of the robot character received longer attention compared to the stationary one. Third, nonverbal interactions such as leakage cues were also effective in the interaction with the robot character, and the correct answer ratios of the cued groups were higher. Finally, gender differences in the users' gaze were observed, especially in the frequency of the mutual gaze.

시선응시 방법과 시각도가 P300 문자입력기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ethods of eye gaze and visual angles on accuracy of P300 speller)

  • 엄진섭;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7권2호
    • /
    • pp.91-1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P300 문자입력기의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문자판의 시각도와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에 해당하는 시선응시 방법이 P300 문자입력기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문자판의 시각도는 사용자와 문자판 간의 거리로 조작하였으며, 60 cm 집단과 100 cm 집단, 150 cm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시선응시방법은 세 조건으로 반복측정하였다. 머리 조건은 머리를 움직여서 시선을 두는 조건이었으며, 눈동자 조건은 머리는 고정한 채 눈동자를 움직여서 시선을 두는 조건이었고, 시선고정 조건은 시선을 문자입력기의 중앙에 고정시킨 조건이었다. 이요인설계에 의한 실험결과, 문자입력의 정확도가 시선응시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머리 조건의 정확도가 눈동자 조건의 정확도 보다 높았으며, 눈동자 조건의 정확도가 시선고정 조건의 정확도 보다 높았다. 그러나 문자판의 시각도와 상호작용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시선응시방법에 따라 목표문자의 P300 진폭을 측정한 결과, 머리조건의 P300이 눈동자 조건의 P300보다 더 컸다. 머리조건과 눈동자 조건 간에는 오류분포에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시선고정 조건은 나머지 두 조건과 큰 차이를 보였다. 머리조건과 눈동자 조건에서는 오류가 주로 목표문자와 인접한 문자에서 나타난 반면, 시선고정 조건은 오류가 상대적으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문자판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문자들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다.

시각과 평형각이 융합된 다이나믹한 시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ynamically Visual System that Vision and Sense of Equilibrium are Fused)

  • 문용선;정남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7호
    • /
    • pp.1354-1360
    • /
    • 2001
  • 카메라로 얻어진 화상을 근거로 계산된 속도분포를 시각정보로 이용하였으며, 이것으로부터 얻어진 대상물의 속도에 시선속도를 일치시켜 실험하였다. 즉 외란을 받은 환경에서도 안정된 화상을 얻기 위해서 외란이나 카메라 자체의 운동에 의해서 발생한 두부의 운동을 보상할 수 있는 눈의 운동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외란이 있는 환경에서 인간의 시선제어법 즉 시각과 평형각이 융합된 시선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에 대한 실험 결과에서 시각과 평형각이 융합된 시선제어가 시선제어만을 한 것과 비교하여 위치 편차가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카메라 받침대의 움직임이 각속도 센서에 의하여 보상되어 겉보기 속도가 적게 되어 속도의 추정오차도 적게 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었다.

  • PDF

카페공간에서 방문의도성과 대상체의 유무에 따른 관심영역 분석 (An Analyzed the Area of Interest based on the Visiting Intention and Existence of People in Cafe Space)

  • 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30-139
    • /
    • 2016
  • To determine "how humans move in space, what they want, and through which visual information they act and choose," this study aims to define in which sense space is preferred in gaze. The ultimate goal is to extract data of human visual awareness and preference in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perceived through observation frequency and time depending on the purpose cafe customers to understand what intension of visiting the space has on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results obtained as information through visual perception. This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areas of preference in $caf{\acute{e}}$ space gazed by visual concentration are analyzed by divided into 12 by 12 grid A and B images separated depends on existence of people. Second, eye-tracking visual path in conscious gaze is analyzed to examine. Third, though the higher section frequency is likely to have more observation time, the interest area of I(3sec/180), II(6sec/360) and III(9sec/540) had higher frequency of Inten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time range for searching or wandering and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could be estimated by the meaning of observation time by grade with the time-range out of the distribution of sections. Second, at the time distribution by section, when there was intention, the observation time was found to have higher occup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human concentration gazing at space images. It is an exploratory research on research methodologies, and aims to develop methodologies and provide basic data to plan attractive spaces in light of the subconscious of consumers in the future by interpreting gaze data related to concentration.

치과 진료 시 공간 요소에 대한 환자의 주시특성파악 연구 (An analysis of eye tracking experiment on the patients' viewing characteristics in dental clinic)

  • 이종호;정윤아;송은성;주경원;김원현;김봉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2호
    • /
    • pp.52-63
    • /
    • 2019
  • Technological advances in contemporary medicine has discovered the causes of countless diseases and recorded a noticeable medical performance. As technology develops, the role of hospitals is expanding to include disease prevention of inpatients, on top of their fundamental role of treating diseases. Recently, hospitals are becoming more influential as they create environments to provide comfort and stability to patients. In this regard, contemporary hospitals are increasingly shifting their focus to create a patient-centric environment as well as develop into humanistic establishments. The same goes to dentists, as well. Since inpatients often have fear and frustration over treatment, hospitals should figure 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re more effective and relaxing for patients and design medical services to provide them. The patients' movement and spaces during their treatment were categorized by stages and collected for gazing information using eye tracking. It analyzed users' gaze information according to Heatmap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frequency and was determin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timuli on the components of space. This research is an advanced research to study and enhance treatment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patients' gazes. It attempted to create an opportunity to get closer to patient-centric environment by understanding the stimulants and obstacles and controlling the background settings.

  • PDF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비교 연구 - 대학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 (Comparative Study on Eye-Tracking Evaluation and Landscape Adjectives Evaluation - Focusing on the Nightscape of a University Campus -)

  • 강영은;김송이;백재봉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8-48
    • /
    • 2018
  • 본 연구는 다양한 야간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방법의 비교를 통하여 시지각적 경관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경관 평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연구 결과,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한 아이트래킹 평가 결과에서는 '눈 깜빡임 수(Blink count)', '눈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 평균', '시선의 급격한 이동시간(Saccade duration) 평균'과 경관 형용사 중 '아름다운', '흥미로운', '접근성이 높은', '만족하는', '안전한' 형용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캠퍼스 야간경관의 관심지역 분석 및 비교에서는 경관 특성별 관심영역이 달라지는 경향성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문', '표지판' 등 특수 경관 요소에 집중하여 시선이 고정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아이트래킹 분석 방법이 '경관 요소'에 대한 평가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라고 판단하였으며, 기존 개념으로만 제시되었던 경관 선호 이론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도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객관적인 경관 평가 기법으로서 아이트래킹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 결과의 축적으로 경관계획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글읽기에서 나타난 성인과 청소년의 중심와주변 정보처리: 고정시간 분포에 대한 확산모형 분석 (Parafovea Information Processing of Adults and Adolescents in Reading: Diffusion Model Analysis on Distributions of Eye Fixation Durations)

  • 주혜리;고성룡
    • 인지과학
    • /
    • 제31권4호
    • /
    • pp.103-13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글읽기의 주요한 현상인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효과(parafovea preview effect)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성인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안구운동추적 실험을 통해 연령이 다른 두 집단의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또한 안구운동 추적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자료를 단일경계 확산모형(diffusion model)의 시작점(starting point) 파라미터로 설명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실험은 경계선 기법(boundary technique)을 이용하여 중심와주변 정보처리를 관찰하였다. 실험 1에서는 중심와주변에 미리보기 정보로 고빈도 단어를 제시하는 것과 미리보기 정보를 차폐하는 것을 비교하였다. 실험 2에서는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정보로 저빈도 단어를 제공하였고, 중심와주변 미리보기를 차폐한 것과 비교하였다. 두 실험 결과, 청소년 집단과 성인 집단에서 중심와주변에 정보가 주어졌을 때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이득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중심와주변에 높인 정보 성질, 즉 단어의 빈도에 따라 두 집단의 첫고정시간, 단일고정시간, 주시시간에서 고정시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두 실험에서 얻은 첫고정시간 데이터를 분위수로 나누고 단일경계 확산모형에 fitting한 결과, 중심와주변 정보처리가 시작점 파라미터로 설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차로 실차주행 실험을 통한 운전자 부하요인에 관한 연구 (Drivers' Workloads through the Driving Vehicle Test at Intersections)

  • 서임기;박제진;성수련;남궁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12-123
    • /
    • 2012
  • 교차로는 일반 도로와 달리 서로 다른 기하구조 및 교통운영을 가진 도로가 결합되는 지점으로 매우 복잡한 도로 환경적 요인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교차로 접근도로에서 진입하는 차량 간의 상충과 정지 신호시 급정지, 녹색 등화시 급출발 등 다양한 주행패턴의 변화로 인해 교통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되며, 교통사고의 주요 발생원인은 인적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영향권 내에서의 운전자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최첨단 계측장비를 활용한 뇌파, 시각, 주행속도 등의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개별 교차로의 집중도 뇌파는 보조 간선도로에 비해서 주 간선도로, 사고다발 교차로에서 피실험자의 생체적 반응 뇌파가 높게 출현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사고다발 교차로에 서 운전자의 시각활동은 넓게 분포함으로써 주변 차량으로부터의 주의운전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운전자 부하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감속과 가속, 주변 차량의 차로변경, 주행속도 변화 등의 요인이 운전자 부하에 직접적인 요인으로 나타나 교차로의 교통사고의 발생원인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운전자의 생체반응을 고려한 교차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할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