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 tracking technolog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제품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에 따른 이성적, 감성적 광고소구의 효과분석: 아이트래킹 방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ffects of Rational and Emotional Advertising Appeals on Products from a View of Psychological Distance : Focusing on the Eye-Tracking Method)

  • 강창민;이건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97-104
    • /
    • 2019
  • 제품에 대해 소비자들은 주관적인 심리적 거리감을 갖는다. 그리고 해당 제품에 대한 광고소구 효과는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을 바탕으로, 심리적 거리에 따라 효과적인 광고소구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여 신경 생리 실험을 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동일한 제품에 대하여 두 가지 소구유형의 광고를 모두 보았고, 7점 척도를 통해 각각의 광고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제품일 때 이성소구를 선호하며, 심리적 거리가 먼 제품일 때에는 감성소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눈의 움직임은 선호소구와 비선호소구를 보았을 때의 차이를 보였고 측정 변수로는 시선방문횟수(VC), 응시횟수(FC), 응시시간(TFD)을 사용하였다. 선호하는 소구를 보았을 때 세 변수 모두 비선호 소구를 보았을 때보다 값이 작게 나오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에는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실시간 3차원 얼굴 방향 식별 (Real Time Discrimination of 3 Dimensional Face Pose)

  • 김태우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7-5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능동적 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3차원 얼굴 방향 식별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적외선 조명 하에서 밝게 나타나는 동공을 효과적으로 실시간 검출하여 추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다른 방향의 얼굴들에서 동공의 기하학적 왜곡을 탐지하여, 3차원 얼굴 방향과 동공의 기하학적 특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유한 눈 특징 공간을 구축하였고, 입력된 질의 영상에 대한 3차원 얼굴 방향을 고유한 눈 특징 공간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얼굴 방향을 측정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 카메라에 근접한 실험 대상자들에 대하여 최소 94.67%, 최고 100% 의 식별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아이트래킹 및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한 지체장애인 컴퓨터 접근 시스템 (A Computer Access System for the Physically Disabled Using Eye-Tracking and Speech Recognition)

  • 곽성은;김이삭;심드보라;이승환;황성수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15
    • /
    • 2017
  • 컴퓨터 대체접근 기기는 지체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대부분 발, 머리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지체장애인의 특성상 발, 머리 등을 이용하여 마우스를 컨트롤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속도와 정확도면에서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대체접근 기기의 한계를 보완한 '지체장애인 컴퓨터 대체접근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아이트래킹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만으로 마우스를 이동시킬 수 있고 비교적 누르기 쉬운 외부버튼을 통해 마우스 클릭이 가능하며 음성인식을 통해 문자를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우클릭, 더블클릭, 드래그 기능, 화상 키보드 기능, 인터넷 기능, 스크롤 기능 등 세부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컴퓨터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Human Spatial Cognition Using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 Yu, Mi;Piao, Yong-Jun;Kim, Yong-Yook;Kwon, Tae-Kyu;Hong, Chul-Un;Kim, Nam-G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 /
    • 제7권2호
    • /
    • pp.41-45
    • /
    • 2006
  • This paper deals with human spatial cognition using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More specially, this investigation i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and the eye motor system for the localization of visual target direction in space and to try to describe what is the role of right-side versus left-side pinna. In the experiment of visual stimulation, nineteen red LEDs (Luminescent Diodes, Brightness: $210\;cd/^2$) arrayed i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surrounding panel are used. Here the LEDs are located 10 degrees apart from each other.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EOG (Electro-Oculography), head movement, and their synergic control are measured by BIOPAC system and 3SPACE FASTRAK. In the experiment of auditory stimulation, one side of the pinna function was distorted intentionally by inserting a short tube in the ear canal. The localization error caused by right and left side pinna distortion was investigated as well. Since a laser pointer showed much less error (0.5%) in localizing target position than FASTRAK (30%) that has been generally used, a laser pointer was used for the pointing task. It was found that harmonic components were not essential for auditory target localization. However, non-harmonic nearby frequency components was found to be more important in localizing the target direction of sound. We have found that the right pinna carries out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in localizing target direction and pure tone with only one frequency component is confusing to be localiz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latency time is shorter in self moved tracking (SMT) than eye alone tracking (EAT) and eye hand tracking (EHT).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further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human spatial cognition.

치과 진료 시 공간 요소에 대한 환자의 주시특성파악 연구 (An analysis of eye tracking experiment on the patients' viewing characteristics in dental clinic)

  • 이종호;정윤아;송은성;주경원;김원현;김봉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2호
    • /
    • pp.52-63
    • /
    • 2019
  • Technological advances in contemporary medicine has discovered the causes of countless diseases and recorded a noticeable medical performance. As technology develops, the role of hospitals is expanding to include disease prevention of inpatients, on top of their fundamental role of treating diseases. Recently, hospitals are becoming more influential as they create environments to provide comfort and stability to patients. In this regard, contemporary hospitals are increasingly shifting their focus to create a patient-centric environment as well as develop into humanistic establishments. The same goes to dentists, as well. Since inpatients often have fear and frustration over treatment, hospitals should figure 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re more effective and relaxing for patients and design medical services to provide them. The patients' movement and spaces during their treatment were categorized by stages and collected for gazing information using eye tracking. It analyzed users' gaze information according to Heatmap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frequency and was determin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timuli on the components of space. This research is an advanced research to study and enhance treatment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patients' gazes. It attempted to create an opportunity to get closer to patient-centric environment by understanding the stimulants and obstacles and controlling the background settings.

  • PDF

Development of a Non-contact Input System Based on User's Gaze-Tracking and Analysis of Input Factors

  • Jiyoung LIM;Seonjae LEE;Junbeom KIM;Yunseo KIM;Hae-Duck Joshua JEONG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5
    • /
    • 2023
  • A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s, and kiosks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developing alternative input systems in addition to traditional tools such as keyboards and mouses. Many people use their own bodies as a pointer to enter simple information on a mobile device. However, methods using the body have limitations due to psychological factors that make the contact method unstable, especially during a pandemic, and the risk of shoulder surfing attack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propose a simple information input system that utilizes gaze-tracking technology to input passwords and control web surfing using only non-contact gaze. Our proposed system is designed to recognize information input when the user stares at a specific location on the screen in real-time, using intelligent gaze-tracking technology. We present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ze input box, gaze time, and average input time, and report experimental results on the effects of varying the size of the gaze input box and gaze time required to achieve 100% accuracy in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his paper,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system in mitigating the challenges of contact-based input methods, and providing a non-contact alternative that is both secure and convenient.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Attention of Popular Animation Characters Utilizing Eye Tracking)

  • 황미경;권만우;박민희;은석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14-221
    • /
    • 2019
  • 사람의 눈을 통해 획득된 시각정보는 시각적 자극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아이트래킹기술을 활용하면 소비자의 시각정보를 정량적 데이터로 획득하여 분석가능하다. 이러한 측정은 소비자가 무의식적으로 느끼게 되는 감성 측정이 가능하며, 시선추적을 통한 캐릭터의 탐색반응을 계량적으로 수치화하여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의 관심영역(AOI)을 추적하여, 시선고정 도출 측정값 중 시선고정평균시간, 횟수, 시선방문평균시간, 횟수, 마지막으로 처음 시선고정이 일어난 평균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시선고정과 시선방문이 주로 이루어진 지점은 캐릭터의 몸매보다는 얼굴에서 많은 인지적 처리과정이 일어났으며 시각적 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력요소의 시각적 주의를 통해 매력요소가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캐릭터의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캐릭터 개발의 기초자료로 그리고 캐릭터디자인 결정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십자형으로 배치된 크로스아이 재머 안테나를 이용한 모노펄스 레이다 재밍 오차 분석 (Analysis of the Monopulse Radar Tracking Errors using Orthogonally Deployed Antenna Sets for Cross-eye Jamming)

  • 임중수;채규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4-18
    • /
    • 2020
  • 본 논문은 2세트의 크로스 아이 재머 안테나가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모노펄스 레이다를 재밍하는 경우 재머의 위상차와 진폭 비 및 레이다 조우각도에 따른 재밍 효과를 분석하였다. 크로스 아이 재머의 위상차와 진폭비는 재머에서 조정이 가능하지만 조우각도는 레이다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조우각도 변화에 따른 재머의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수직 교차된 2세트의 크로스 아이 재머 안테나는 하드웨어 구성을 최소로 하면서 재밍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판단되며, 조우각도를 0°~360° 변화시키면서 재밍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재머는 단일 재머와 비교하여 조우각도 45°~135°와 225°~315°에서 재밍 효과가 크게 향상되며, 항공기 및 함정의 크로스 아이 재머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머리 움직임과 눈 깜박임을 이용한 컴퓨터 마우스 개발 (Development of a computer mouse by tracking head movements and eyeblink)

  • 박민제;강신욱;김수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107-110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computer mouse using the head movements and eye blink in order to help the disability persons who can't move the hands or foot because of car accident or cerebral apoplexy. The mouse is composed of two gyro-sensors and photo sensor. The gryo-sensors detect the head horizontal and vertical angular velocities, respectively. The photo sensor detect the eye blink to perform click, double click, and to reset the head position. In the results, we could control the mouse points in real time using the proposed system.

  • PDF

시선추적기법을 적용한 편측무시 측정 방법 및 개선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Measurement Method and Contents for Unilateral Neglect using Eye-tracking Technique)

  • 최정희;신성욱;문호상;구세진;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87-195
    • /
    • 2018
  • 본 연구는 실시간 시선 및 머리 추적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지필검사의 실행증으로 인한 검사 오류를 최소화하고, 환자의 머리와 시선 방향의 틀어짐을 정량적으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시선 및 머리 움직임 정보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기존 지필검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선 나누기 검사와 별 지우기 검사를 전산화하였다. 또한, 재활 훈련을 위해 Warren의 시지각 계층 모델 하위 수준의 시각적 기술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구현하여 반복적이고 독립적이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가 능동적으로 재활에 참여하도록 하고 개선된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