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검색결과 17,087건 처리시간 0.049초

Flash EEPROM의 Inter-Poly Dielectric 막의 새로운 구조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New Structure of Inter-Poly Dielectric Film of Flash EEPROM)

  • 신봉조;박근형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0호
    • /
    • pp.9-16
    • /
    • 1999
  • Flash EEPROM 셀에서 기존의 ONO 구조의 IPD를 사용하면 peripheral MOSFET의 게이트 산화막을 성장할 때에 사용되는 세정 공정을 인하여 ONO 막의 상층 산화막이 식각되어 전하 보존 특성이 크게 열화되었으나 IPD 공정에 ONON 막을 사용하면 그 세정 공정시에 상층 질화막이 상층 산호막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시켜 줌으로 전하보존 특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ONON IPD 막을 갖고 있는 Flash EEPROM 셀의 전화 보존 특성의 모델링을 위하여 여기서는 굽는(bake) 동안의 전하 손실로 인한 문턱전압 감소의 실험식으로 ${\Delta}V_t\; = \;{\beta}t^me^{-ea/kT}$을 사용하였으며, 측정 결과 ${\beta}$=184.7, m=0.224, Ea=0.31 eV의 값을 얻었다. 이러한 0.31 eV의 활성화 에너지 값은 굽기로 인한 문턱전압의 감소가 층간 질화막 내에서의 트립된 전자들의 이동에 의한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한편, 그 모델을 사용한 전사 모사의 결과는 굽기의 thermal budget이 낮은 경우에 실험치와 잘 일치하였으나, 반면에 높은 경우에는 측정치가 전사 모사의 결과보다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thermal budge가 높은 경우에는 프로그램시에 층간 질화막 내에 트립되어 누설전류의 흐름을 차단해 주었던 전자들이 빠져나감으로 인하여 터널링에 의한 누설전류가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졌다. 이러한 누설전류의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ONON 막 중에서 층간 질화막의 두께는 가능한 얇게 하고 상층 산화막의 두께는 가능한 두껍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 PDF

그래디언트와 상관관계의 국부통계를 이용한 얼굴 인식 (Face Recognition Using Local Statistics of Gradients and Correlations)

  • 구영애;소현주;김남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3호
    • /
    • pp.19-29
    • /
    • 2011
  • 지금까지 많은 얼굴 인식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의 방법들은 특징추출 과정 없이 입력 영상을 1차원 형태의 벡터로 변형한 것을 1차원 특징 벡터로 사용하거나 또는 입력 영상 자체를 특징 매트릭스로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영상 자체를 특징으로 사용하면 조명변화가 심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성능이 좋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명변화에 효과적인 그래디언트와 상관관계의 국부통계를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BDIP(block difference of inverse probabilities)는 그래디언트의 국부 통계이다. 그리고 BVLC(block variation of local correlation coefficients)의 두 타입은 상관관계의 국부 통계이다. 입력영상이 얼굴인식 시스템에 들어 오면 먼저 BDIP, BVLC1, BVLC2의 특징 영상을 추출하고 융합한 후, (2D)2 PCA 변환을 거쳐 특징 매트릭스를 얻어서 훈련특징 매트릭스와의 거리를 구하여 최근린 분류기를 이용하여 얼굴 영상을 인식한다. 네 가지 얼굴 데이터베이스, FERET, Weizmann, Yale B, Yale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실험한 여섯 가지 방법 중에서 조명과 얼굴 표정의 변화에 가장 견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작업자 중심의 폐색된 건축물 시각화 시스템 개발 (Implementation of Constructor-Oriented Visualization System for Occluded Construction via Mobile Augmented-Reality)

  • 김태호;김경호;한윤상;이석한;최종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2호
    • /
    • pp.55-68
    • /
    • 2014
  • 현대의 지하 시설물들은 보행자의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지하에 매설 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적인 확인이 어렵다. 이러한 폐색 시설물들을 다루는 건설현장에서는 시각적으로 위치를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의 경험 또는 종이 도면 등에 의존하다 보니 침수나 붕괴의 위험에 노출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건설 현장에서 폐색된 지하 시설물을 모바일을 이용한 작업자 중심의 시각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논문의 구성은 크게 3단계로 이루어 진다. 먼저, "맨홀 검출 및 특징점 추출 단계"에서는 폐색된 건축물의 기준점인 폐색되지 않는 맨홀을 검출 및 추출한다. 다음으로, "특징점 추적 단계" 에서는 이전단계에서 추출한 특징점을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폐색 건축물 시각화 단계" 에서는 맨홀에 따라 서로 다른 지하시설물이 존재함으로 이전 단계에서 검출 및 추적된 맨홀의 위치에 모바일에 내장된 GPS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장에 해당하는 폐색된 건축물인 3차원 객체를 정합 한다. 제안된 방법은 실내 환경에서 맨홀 검출과 특징점 추출 및 추적방법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최적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실제 환경에서의 폐색된 상/하수도 배관 증강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폐색된 상하수도 등의 건축물의 증강된 3차원 결과들로부터 작업자 중심의 보다 유용한 건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약물이 담지된 PAc-β-CD 나노 입자의 친환경적인 제조 (A Green Preparation of Drug Loaded PAc-β-CD Nanoparticles from Supercritical Fluid)

  • 장민기;김용훈;김동우;이시윤;임권택
    • 청정기술
    • /
    • 제26권1호
    • /
    • pp.1-6
    • /
    • 2020
  • 초임계 용액 급속팽창법(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 RESS)으로 몰시도민(molsidomine, MOL) 약물이 로딩 된 퍼아세틸-β-사이클로덱스트린(PAc-β-CD)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입자는 초임계 용액을 공기 중으로 급속하게 팽창시켜 제조하였다. MOL과 PAc-β-CD (0.5, 1 wt%)의 농도, 추출 온도(45 ~ 60 ℃), 모세관 노즐의 길이(5 ~ 20 mm) 및 내경(Inner diameter, ID) (50 ~ 150 μm), 그리고 분사 거리의 변화에 따라 형성된 입자의 크기와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MOL과 PAc-β-CD의 상호작용을 1H-NMR 분광법으로 확인하였고, 입자 크기는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온도를 45 ℃에서 60 ℃로 올리거나 노즐 내경을 150 μm에서 50 μm로 줄이면 입자 평균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일정한 압력(34.5 MPa)과 온도(45 ℃)에서 분사 거리를 늘리면 입자 평균 크기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0.5 wt%의 PAc-β-CD 농도로서 초임계 공정을 진행한 결과, 모세관의 길이가 짧고(5 mm) 내경이 작은(50 μm) 조건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165 nm) 입자가 얻어졌다. 제조한 나노 입자는 오일 내에서 분산성과 용해도가 증가하였으며, 포접체 입자에서 MOL이 방출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등가정하중 기반 구조 최적화 연구 (Study on the Structural Optimization based on Equivalent Static Load under Dynamic Load)

  • 김현기;김의영;조맹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421-427
    • /
    • 2014
  • 현실세계의 구조물은 대부분 동하중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구조해석이나 구조 최적화를 수행할 때는 정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하중인 동하중을 고려하게 되면 다양한 하중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전산자원과 시간비용 측면에서 많은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한 정하중 조건만을 고려하면 구조안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중치를 적용하거나 동하중을 대체하는 등가정하중을 적용하여 관련 문제를 보완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등가정하중을 적용하여 동하중을 받고 있는 구조물에 대한 구조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하는 등가정하중은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바 있는 주자유도를 기반으로 하여 등가정하중 부과 위치를 결정하고 최적화 과정을 통해 산출한다. 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큰 하중이 구해지지 않도록 가중치를 고려한 구속조건을 추가하여 기존 연구의 등가정하중의 최적화 과정을 보완하였다. 수치예제에서는 동하중이 작용하는 트러스 구조물과 평판 구조물에서 최적화된 등가정하중을 적용하여 사이즈 최적화를 수행함으로써 제안된 최적화 기법의 신뢰성을 검증한다.

온주 밀감의 껍질로부터 정유의 분리 및 분석 (Analysis of Essential Oils from the Peel of Mandarine (Citrus unshiu Marc. Var. Okitsu))

  • 김유경;현승원;고영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78-1183
    • /
    • 1999
  • 제주도산 흥진조생 온주 밀감의 껍질 중에 함유된 정유의 분리 수율 및 성분을 조사하였다. 증류법, 저온압착법 그리고 용매추출법으로 온주 밀감의 껍질로 부터 정유를 분리하여, 각 방법에 따른 수율을 조사 비교한 결과, 증류법을 이용했을 때에 1.14%(w/w)로 가장 높았으며, 정유의 비중은 $0.8409{\sim}0.8530$이었다. 정유 중에서 검출된 성분 수는 $51{\sim}107$개, 그리고 주요 성분인 d-limonene 함량은 $47.6{\sim}68.6%$ (relative peak area, RPA)로 분리 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감귤의 성숙단계별로 시료를 채취하며 분석한 결과, 완숙기에 이르렀을 때 과피의 두께는 2mm 내외, 과피율을 약 17%(w/w)에 상당하였다. 정유의 수율은 감귤이 완숙되기 직전인 9월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습윤 과피중량 기준으로 1%(w/w)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는 정유 함유량이 완숙되기 직전에 가장 많으며, 껍질중에는 적어도 1%(w/w) 이상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정유의 주요 구성분인 d-limonene 함량은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최고68.69%(RPA)에 도달하였다. 그이외에 ${\gamma}-terpinene,\;{\beta}-elemene$, farnesene, hexadecanoic acid, ${\alpha}-pinene,\/{\beta}-myrcene$ 그리고 linalool이 각각 7.75, 2.96, 2.29, 1.76, 1.63, 1.56, 1.46%(RPA)씩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산 지역 임산부의 모체혈, 제대혈, 모유에서 PFOA, PFOS의 농도 (Distribution of PFOA and PFOS in Maternal Blood, Cord Blood and Breast Milk in Busan)

  • 서춘희;이채관;김건형;손병철;이종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17
    • /
    • 2012
  • Objectives: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 sulfonate (PFOS) are man-made, persistent global pollutants widely diffused throughout the environment. They have been even found in the cord blood and breast milk of humans. Furthermore evidence of developmental toxicity in animals exists.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maternal and fetal exposure to PFOS and PFOA, we analyzed paired maternal blood, cord blood and breast milk samples. Methods: Maternal blood, cord blood and breast milk were collected from 150 volunteer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aged 20-40, mean $30.5{\pm}2.9$) of the city of Busan in 2009-2010. The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the weak anion exchange and solid-phase extraction methods and quantifi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 Agilent 1200 Series) coupled with an Triple Quad LC-MS/MS system (Agilent 6410). Results: Median PFOA and PFOS concentrations in maternal blood were 2.18 and 3.32 ng/ml, in cord blood were 0.83 and 0.58 ng/ml, and in breast milk were 0.13 and 0.11 ng/ml, respectively. PFOS and PFOA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mong matrices (Spearson's ${\rho}=0.226$, p = 0.05 for maternal blood; ${\rho}=0.736$, p < 0.01 for cord blood; ${\rho}=0.493$ p < 0.01 for breast milk). The ratio of cord blood/maternal blood was 0.39 for PFOA and 0.19 for PFOS. The ratio of breast milk/maternal blood was 0.07 for PFOA and 0.06 for PFOS.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PFOA and PFOS exposure through the placenta was more prominent than through breast milk among Korean neonates born in Busan. The transfer efficiency of maternal blood to breast milk was similar between PFOA and PFOS, but that of maternal blood to cord blood was higher in PFOA than PFOS.

HPLC-MS/MS를 이용한 트리클로로에틸렌 대사산물의 다중 분석법 확립 (Multiple Determinations of Trichloroethylene Metabolites in a Concurrent Biological Media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 안영아;고영림;이승호;신미연;전중대;김성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4-126
    • /
    • 2014
  • Objectives: We aimed to develop a measurement method of five metabolites of trichloroethylene (TCE) in a concurrent biological sample, e.g., trichloroacetic acid (TCA), dichloroacetic acid (DCA), S-(1,2-dichlorovinyl) glutathione (DCVG), S-(1,2-dichlorovinyl)-L-cysteine (DCVC), and N-Acetyl-S-(1,2-dichlorovinyl)-L-cysteine (NAcDCVC) and to validate the method before application to pharmacokinetic study. Methods: TCE metabolite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HPLC-ESI-MS/MS) with as little as 50 ${\mu}L$ of serum and urine. DCA, TCA and NAcDCVC were extracted with diethyl ether, while DCVC and DCVG were extracted by solid phase extraction. This method was valid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of the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ical Research. Then, we determined the five metabolites in five strains of mice at 24 hr after exposure to 1 g TCE /kg body weight. Results: The limits of detection for the five metabolites in biological samples ranged from 0.001 to 0.076 nmol/mL, which is comparable to or better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Most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ity ($R^2=0.99$), and between-batch variation was less than 20% expressing acceptable robustness and reproducibility. Using this method, we found TCA and DCA were detected in all test mice at 24 hr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while NAcDCVC and DCVC were detected in some strains, which showed strain-dependent metabolism of TCE. Conclusions: The present method could provide robust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major key metabolites of TCE in biological media, which allowed concurrent analysis of TCE metabolism for limited amounts of biospecimens.

손의 형태학적 정보와 윤곽선 추적 기법을 이용한 손금 추출 및 분석 (The Lines Extraction and Analysis of The Palm using Morphological Information of The Hand and Contour Tracking Method)

  • 김광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43-24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확장되어가는 여가 시간에 간단한 사진 한장만으로 보다 쉽고 편한 손금을 분석하기 위한 손금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손의 형태학적 정보와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영상으로부터 손금을 추출하기 위해서 색상 분포 영상을 Red, Green, Blue에 해당되는 RGB 값을 밝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YCbCr 컬러 모델로 변환한다. YCbCr 컬러 모델에서 Y:65~255, Cb:25~255, Cr:130~255에 해당되는 피부색 임계치를 이용하여 손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손 영역에서 내부 픽셀의 3:1 이상, 전체 영상의 2:1이상인 손의 형태학적 정보와 8 방향 윤곽선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손 영상에서 스트레칭 기법과 소벨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지를 추출한다. 추출된 에지 영상에서 블록 이진화 기법을 이용하여 이진화한 후에 가로와 세로가 각각 10픽셀 이상이고 20픽셀 이하인 손금의 형태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 및 손의 윤곽선을 제외한 손금을 추출한다. 추출된 손금에서 Labeling 기법을 이용하여 개별 손금의 중요선을 추출한다. 핸드폰 카메라에서 획득한 손바닥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손금 추출에 효율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inical presentation of a horse-derived biomaterial and its Biocompatibility: A Clinical Case Report

  • Koo, Ki-Tae;Park, Jang-Yeol;Park, Jun-Seok;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Rhyu, In-Chul;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sup2호
    • /
    • pp.287-291
    • /
    • 2009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clinical presentation was to present a clinical case series report of socket preservation, sinus augmentation, and bone grafting using a horse-derived biomaterial. Methods: A horse-derived biomaterial was used in 8 patients for different indications including socket preservation following tooth extraction, osseous bone grafting, and sinus augementation procedures. Surgeries were performed by a well trained specialist and clinical radiographs were obtained at designated intervals. Biopsy cores of 2 ${\times}$ 8 mm prior to implant placement was obtained following a healing interval of 4 - 6 months. A clinical and histologic evalu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biocompatibility of the biomaterial. Results: All surgeries in 8 patients were successful with uneventful healing except for one case with membrane exposure that eventually resulted with a positive outcome. Radiographic display of the healing phase during different intervals showed increased radiopacity of granular nature as the healing time increased. No signs of adverse effect or infection was observed clinically and the tissues surrounding the biomaterial seemed well-tolerated with good intentional healing. The augmented sinuses healed uneventfully suggesting in part, good biocompatibility of the biomaterial. Dental implants placed following socket preservation were inserted with high initial torque suggesting good initial stability and bone quality. Conclusions: Our results show that at least on a tentative level, a horse-derived biomaterial may be used clinically in socket preservation, sinus augmentation, bone grafting techniques with good intentional healing and positiv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