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 powder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6초

홍화씨 추출분말 함유 건강음료의 제조와 항산화성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 김준한;박준홍;박소득;최성용;성종환;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17-624
    • /
    • 2002
  • 홍화씨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와 그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추출건조분말의 수율은 amyloglucosidase 가수분해 후 60% 에탄올추출물이 5.62%로 가장 높았다. 음료제품의 당도는 $11.4{\sim}14.2%$, pH는 $2.83{\sim}3.34$, 산도는 $0.09{\sim}0.91%$이였고, 총페놀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117 mg/g로, 음료제품은 SD-I이 440 ppm으로 가장 높았고,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49 mg/g로, 음료제품 SD-V가 138 ppm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serotonin 화합물인 serotonin-I과 serotonin-II의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과 amyloglucosidase 가수분해 후 60% 에탄올 추출 동결건조분말에서 가장 높은 21.09 ppm과 33.56 ppm의 함량을 보였고, 홍화음료의 경우는 SD-II에서 3.83 ppm과 5.81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cacetin의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에서 가장 높은 13.53 ppm의 함량을 보였고, 홍화음료에서는 SD-V가 1.14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DPPH 소거활성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94.51%로, 음료제품 SD-I이 94.88%을 나타내어 100 ppm BHA 표준용액의 93.88%보다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홍화음료의 관능평가에서는 SD-I과 SD-II가 전제적 기호도, 색 및 향 등의 모든 관능평가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항산화제 및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의 홍화씨의 식품학적 가치를 높여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돈육으로 제조한 정제단백질과 Oligopeptide의 영양평가 : 소화율, 생물가, 단백질 실이용률 (Purified Protein and Oligopeptide Mixture Preparation from Pork Meat and Evaluation of their Nutritive Value: True Digestibility, Biological Value, and Net Protein Utilization)

  • 김종희;손민희;조정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44-649
    • /
    • 2007
  • In this study a purified protein was prepared from pork meat. The product consisted of 0.5% moisture, 3.0% ash, 5.5% ether extract and 88.7% crude protein. Also, a meat oligopeptide mixture was prepared from a pepsin digest of the protein preparation. The two preparations were colorless and odorless powders with low fat contents. The nutritive values of the pork meat protein and oligopeptide mixture were estimated by two methods, one using biological value(BV) and the other employing net protein utilization(NPU) by the nitrogen balance method. The meat oligopeptide mixture showed an excellent nutritive value by both methods. The true digestibilites of both the pork meat protein and the oligopeptide mixture were more than 98%.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oligopeptide mixture is an excellent material as a dietary nitrogen source for many purposes.

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게껍질분말과 우골추출물의 첨가효과 (Effect of Crab-Shell Powder and Water Extract of Cow Bone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 김순동;김미경;오영애;구연수;강명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39-344
    • /
    • 1999
  • 김치의 향미개선 및 게껍질 분말 첨가김치의 부미를 제거하기 위한 향미개선제로서 우골추출물의 첨가효과를 검토하였다 우골추출물은 김치의 숙성중 pH와 산도, 총균수, 젖산균비, Leuconostoc과 Lactobacilli의 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산미와 김치냄새를 감소시키고 종합적 맛을 개선시키는 향미 개선제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또 우골추출물(0.03%)을 게껍질분말(1.5%)과 함께 첨가할 경우는 게껍질분말만을 첨가한 경우보다 높은 pH를 유지하는 한편 완충효과가 증가되었으며 젖산균비가 높아졌다. 관능검사에 의하여 평가한 결과 게껄질분말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보다 우골추출물을 병용하여 첨가한 김치에서 비린 맛이 낮아졌으며, 아삭아삭한 맛과 종합적인 맛은 숙성전반에 걸쳐 높게 나타났다.

  • PDF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식물성식품의 혼합물 첨가로 인한 체내 항산화능 증가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Plant Food Mixtures in Rat Fed on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 곽충실;김미연;이미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5호
    • /
    • pp.352-363
    • /
    • 2005
  • The previous extensive in vitro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 number of Korean grains, vegetables, seaweeds and mushrooms, and the various combinations of these food source exhibited a wide range of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four food mixtures composed of 5 kinds of foods (5A, 5B, 5C and 5D) were designed from 16 selective foods showing. high antioxidant effect, in vitro, to find the good combinations for the meal planning. Mixture 5B or 5C contained very high levels of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and ethanol extract from 5A, 5B or 5C showed very strong inhibitory effects against in vitro $Fe^{2+}-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ethanol extract from 5B or 5C showed remarkabl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lipid peroxide-protein conjugation inhibition effect. And in vivo study was also carried out with two mixtures (5B, 5C). Powders (P5B, P5C) or ethanol extracts (E5B, E5C) of these mixtures were supplemented to Sprague-Dawley rats fed on high fat $(15\%)-high$ cholesterol $(1\%)$ semipurified diet for 5 weeks. The total antioxidant power in ser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5B, P5C, E5B and E5C groups than in high fat control group, and $ascorbate-Fe^{2+}-induced$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ed by E5B supplementation in rat liver. In liver tissue, Cu, Zn-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5B and E5B groups than in high fat control group, while catalase or GSH-peroxidase (GPx) activity was not changed by any supplementations. In kidney, Cu, Zn­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5B group than in high fat control group, while GPx activity was not changed by any supplementations. Taken together, mixture 5B and 5C showed very strong antioxidative effects both in vitro and in vivo. Therefore, the ingredient Korean foods of 5B and 5C could be recommended to take a lot together for prevention from age-related chronic diseases.

GABA 미강 및 미강추출물 첨가에 의한 식빵의 텍스처 및 저장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ddition of GABA rice bran and its extract)

  • 오수진;권영회;신해헌;김현수;최희돈;임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14-62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처리로 GABA 함량을 증가시킨 미강 및 이의 열수 추출물을 밀가루 중량의 20%까지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물리적 특성, 저장 중 텍스처의 변화 및 잔유 GABA 함량를 분석하였다. 부피와 비용적율은 대조구에 비해 GABA 미강 첨가구는 감소한 반면, 미강추출물 첨가구는 약간 증가하거나 유지되었으며, 무게는 대조구와 첨가구에 차이가 없었다. 색도는 대조구 대비 GABA 미강과 미강추출물의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L값은 감소하고, a와 b값은 증가하여 색이 진해지는 현상을 나타냈었다. 저장 중 빵 시료는 밀폐된 용기에 보관되어 수분함량의 변화는 2%이하로 아주 미미하였으나, GABA 미강 및 미강추출물 첨가로 수분감소를 다소 줄일 수 있었다. 경도(hardness) 및 씹힘성(chewiness) 등의 텍스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증가 되었으나, 경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의 증가 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미강추출물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2배 이상의 낮은 경도를 보였다. 탄력성(springiness)은 대조구와 첨가구에서 거의 차이가 없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 후에도 차이가 거의 없었다. 빵의 GABA 함량은 GABA 미강 및 미강추출물 첨가로 대조구 대비 40배 가량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GABA 일부가 열에 의해 손실되었으나 상당량 잔유함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GABA 미강을 직접 첨가하는 것보다 미강추출물을 첨가하여 제빵하는 것이 적절하며, 미강추출물을 5-20% 첨가하여 빵의 저장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GABA 첨가 효과로 건강기능성이 우수한 빵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쑥 추출물 함유 음료와 미세캡슐의 제조 및 저장 중 휘발성분 변화 (Volatile Changes in Beverages and Encapsulated Powders Containing an Artemisia Extract during Production and Storage)

  • 박민희;김미자;조완일;장판식;이재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1-276
    • /
    • 2011
  •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참쑥(Artemisia princeps Pampan)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 및 미세캡슐의 휘발성 성분변화를 SPMEGC/MS로 분석하였다. 쑥 추출물을 0.32, 0.64% 함유한 음료 S1, S2는 상온에서 8주간, $60^{\circ}C$에서 8일간 저장하고 쑥 추출물 함유미세캡슐은 상온과 $60^{\circ}C$에서 각각 8일간 저장하였으며 휘발성성분을 측정하였다.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쑥 추출물 함유 음료의 총 휘발성 성분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ymene, thujone, ${\beta}$-myrcene 등을 포함한 terpenoid류는 쑥 추출 물 함유 음료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동정되었으며, $60^{\circ}C$에서 저장한 쑥 추출물 함유 음료에서는 추가적으로 ethylfuran, vinylfuran, 2-fufural의 furan류 성분이 증가하였다. 쑥 추출물 함유 미세캡슐을 8일간 저장한 후, 총 휘발성 성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상온에서 저장한 경우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60^{\circ}C$에서 저장한 경우는 유의적으로 16.5배 증가하였다(p<0.05). 쑥 추출물 함유 미세캡슐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limonene이 가장 높았으며, $60^{\circ}C$에서 저장한 쑥 추출물 함유 미세캡슐에서만 유지산화에 의한 hexanal, pentanal, octanal, heptanal, nonanal 등의 aldehyde류와 2-butylfuran, 2-pentylfuran과 같은 furan류가 추가로 검출되었다. 이는 미세캡슐제조 시 사용된 피복물질의 산화에서 유래한 된 것으로 예측된다.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Paprika Powder)

  • 박은영;강선경;정창호;최상도;심기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37-43
    • /
    • 2009
  • Special과 Fiesta 품종의 파프리카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양갱의 일반생분, 수분활성도, 색도, 물성, 관능 검사를 조사하였다. 양갱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Special과 Fiesta 품종 모두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양갱의 수분활성도는 Special과 Fiesta 품종 모두 0.9부근으로 나라났으며 특히 파프리카 분말 4% 첨가하였을 때, Special 품종의 경우 0.946, Fiesta 품종의 경우 0.944로 높게 나타났다.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Special 및 Fiesta 품종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Special 품종은 증가 하였으나 Fiesta 품종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Special 및 Fiesta 품종 모두 파프리카 분말 첨가량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양갱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Special 및 Fiesta 품종 모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점착성이 증가하였으며, 양갱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파프리카 분말 1% 첨가구에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석잠과 인삼의 항산화 활성 및 분말로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Antioxidative Capacities of Stachys sieboldii MIQ and Ginseng Powder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 나보람;이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8-76
    • /
    • 2017
  • 초석잠과 인삼 분말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total phenol content, TPC)과 항산화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초석잠이 인삼보다 3.12배 많은 TPC를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6.83배, FRAP는 3.39배, TEAC는 3.18배 높게 나타났다. 초석잠과 인삼 추출물의 $H_2O$(Fr. I), 30% 에탄올(II), 50% 에탄올(III), 70% 에탄올(IV), 100% 에탄올(V) 분획물의 TPC와 항산화 활성도는 각 분획물에서 초석잠이 인삼보다 2.2~6.1배 많은 TPC를 함유하며 유의적으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value, TEAC value를 나타내었다. 또한, 초석잠 추출물의 TPC는 Fr. III>II> I> IV> V의 순으로, 인삼 추출물은 Fr. I~III> IV~V순의 경향을 나타내어 초석잠 추출물의 분획물은 극성이 높을수록 항산화능을 가진 페놀물질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인삼의 페놀물질은 초석잠보다 극성이 낮을 것으로 생각한다. 초석잠과 인삼 분말 5%와 10%를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퍼짐성, 경도, 색도 및 관능적인 특성을 대조군(밀가루 박력분)과 비교하여 평가한 결과, 초석잠과 인삼 분말 첨가시 쿠키의 퍼짐성은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초석잠 쿠키에서는 증가하고 인삼 쿠키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첨가량이 5%에서 10%로 증가할 경우 퍼짐성과 경도는 증가함을 보였다. 첨가군 쿠키는 낮은 명도와 강한 적색을 보였으며, 그중 초석잠 10% 첨가 쿠키는 유의적으로 가장 어둡고 진한 적색를 띠었으며 이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초석잠 쿠키는 색상면에서 기호도는 낮았지만 향은 대조군과는 유사하고 인삼 쿠키보다는 높은 기호도 점수를 받았으며,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군과 인삼 쿠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초석잠은 인삼보다 항산화력이 우수하고, 인삼 특유의 진한 향과 쓴맛과는 달리 구수한 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베이커리 제품을 비롯한 가공식품의 제조 시 맛과 향이 우수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가공식품에서의 초석잠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말형태뿐만 아니라 농축액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여 가공식품 개발에 적용하고 조리에 응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생마늘 및 흑마늘 열수추출 분말이 고콜레스테롤 혈증 흰쥐의 체내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sh and Black Garlic Hot Water Extract Powder on the Lipid Composition of Hypercholesterolemia Rats)

  • 강민정;신정연;이수정;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7-46
    • /
    • 2021
  • 생마늘 및 흑마늘 열수 추출물 각각을 동결건조하여 SD계 수컷 흰쥐를 정상식이 섭취군(NG), 고지방 콜레스테롤 섭취 대조군(CG), 고지방 콜레스테롤 식이에 1% 생마늘 열수추출 분말 혼합 급이군(FGEG), 고지방 콜레스테롤 식이에 1% 흑마늘 열수추출 분말 혼합 급이군(BGEG)으로 나누어 4주간 실험급이한 후 지질개선 효능을 조사하였다. 식이에 혼합한 생마늘 열수추출 분말(FGE) 및 흑마늘 열수추출 분말(BGE)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1319.99±10.46 mg/100 g이었고 S-allyl-cysteine (SAC) 함량은 FGE에 비해 16.3% 더 높았다. 혈청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FGEG 및 BGEG에서 CG 보다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CG 보다 FGEG 및 BGEG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LDL 및 VLDL-콜레스테롤 함량은 FGEG 및 BGEG가 더 낮았다. 혈청 ALT 및 AST 활성은 CG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BGEG에서 더 낮았다. 간 조직의 총 지질 및 중성지질 함량은 BGEG에서 152.26 mg/g 및 64.59 mg/g으로 CG 보다 각각 36% 및 14.3% 더 낮았다. 혈청 및 간 조직에서의 TBARS 농도는 CG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FGEG와 BGEG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마늘 추출분말의 지속적인 급이는 생체 내에서 지질농도의 감소, 과산화물질 생성억제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은 증가하였으며 생마늘 보다는 흑마늘 열수추출 분말 급이군에서 더 효과적이었는데, 이러한 효과는 생마늘 보다 흑마늘에 총 페놀화합물이나 갈별물질 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물질의 함량이 더 높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오령산(五笭散) 및 가미오령산(加味五笭散)이 가토이뇨작용(家兎利尿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iuretic Action of Oryeongsan and Kami-Oryeongsan)

  • 이상인
    • 생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43
    • /
    • 1981
  •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Oryeongsan reputed to have diuretic action since Han Dynasty and possible synergetic action of Dianthi Semen, Polygonum avicularis Herba, Kochiae Fructus and Akebiae Lignum, herbs with similar reputation, when added to the above prescription, their decoction powders were solved into distilled water and injected into rabbits through the ear vein. Upon the treatment, the excretion of sodium, potassium and chloride ion together with urine volume was kinetically determined. At the same time the clearance of plasma creatinine and sodium ion was determin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Every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diuretic action, though feable, of relatively long duration. The diuretic mechanism in the case of Oryeongsan made up by mixing the seperate extracts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Oryeongsan(A) plus Dianthi Semen was found to be inhibitory effect of renal tubular reabsorption in contrast to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Polygonum avicularis Herba, Kochiae Fructus or Akebiae Lignum in which case the diuretic mechanism was found to be glomerular vascular dilatation. The urinary excretion of potassium ion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Dianthi Semen, Kochiae Fructus of Akebiae Lignum whereas in the other cases no similar change was registered. The diuretic action was most remarkable in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Polygonum avicularis Herba followed by Oryeongsan(A) plus Kochiae Fructus, Oryeongsan(A) plus Dianthi Semen, extract mixture of individual component of Oryeongsan, Oryeongsan(A) and Oryeongsan(A) plus Akebiae Lignum decreasing order. The duration of diuretic action was found to be 90 minutes in the case of Oryeongsan and mixture of individual component of Oryeongsan, and 60 minutes in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Dianthi Semen, Kochiae Fructus or Akebiae Lignum in contrast to the case of Oryeongsan(A) plus Polygonum avicularis Herba which lasted up to 120 minu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