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ressway typ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고속도로 휴게소 시설의 평면계획에 관한 기초적 연구 - 부산~광주 간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Floor Planning of the Expressway Service Facilities - Focused on Busan-Gwangju Expressway -)

  • 양금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39-4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lan composition of expressway service fac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indoor space and outdoor space of 15 service facilities, and then analyzed attributes of users by the plan type along with their perception on the facility us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analyzing the attributes of expressway service facilities users, 36% respondents said that they used the expressway service facilities just to rest. The average distance of using the service plaza was found to be approximately 67km. 2) In terms of the indoor space of the expressway service facilities, as basic patterns, B(R+C+T)-type(53%), A(C+R+T)-type(40%), C(C+T+R)-type(7%) were found in order, all the service facilities need to expand them.

  • PDF

고속도로 공사구간에서의 차종별 승용차환산계수 (Passenger Car Equivalents of Various Vehicle Types on Expressway Work Zones)

  • 강승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1-73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PCE(Passenger Car Equivalents) of various vehicle types on expressway work zones. Headway samples of 5,359 vehicles were collected in 6 work zones in the Kyungbu Expressway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of 1995. Average headways of 8 vehicle types based on the vehicl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Department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were calculated. A statistical test of effects of the types of the preceding vehicles were performed for the average headways between a vehicle type preceded by other vehicle types.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type of preceding vehicles are significant (exceeded 5% and 10% significance levels) and the PCEs of heavy vehicles on expressway work zones are higher than that of basic expressway section. Therefore, different adjustment factors should be applied for heavy vehicles in estimating saturation flow rates of expressway work zones. The study also derives an equation to determine PCEs of these vehicle types.

  • PDF

Driving Conditions and Occupational Accident Management in Large Truck Collisions

  • Jeong, Byung Yong;Lee, Sangbok;Park, Myoung Hwa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35-142
    • /
    • 2016
  • Objectiv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haracteristics of injury frequency and severity by driving condition in large truck-related traffic collisions. Background: Traffic accidents involving large trucks draw a lot of attention in accid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policies since they bring about severe human and financial damages.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major risk factors of accidents by driving condition, 255 recognized traffic accidents by large truck driv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time of the day, road type, and shape of the road. Results: The driving conditions in the results a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 of combination, "Road Type (Non-expressway or Express) - Shape of Roads (Straight, Curved, Downhill, or Intersection) - Time of Accidents (Day or Night)". In the analysis of injury frequency, Non-expressway-Straight-Day condition was the most frequent one. Meanwhile, Expressway-Curved-Day, Non-expressway-Curved-Night and Non-expressway-Intersection-Night were evaluated as high level in view of injury severity. Also, Expressway-Straight-Night is the driving condition that is the highest in risk among the conditions that have to be managed as grade "High". Non-expressway-Straight-Night, Non-expressway-Downhill-Day, and Non-expressway-Curved-Day are also categorized as grade "High". Conclusion and Application: Safety managers in the fields require basic information on accident prevention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The research findings will serve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for traffic accidents.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관한 음식 선호도 주관성 연구 -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Subjectivity Study on Food-preference of an Expressway-resting-place-customer)

  • 김동수;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505-51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관한 지역 대학생들의 음식 선호도 주관성을 진단하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세부적인 유형적 효과요인들을 짚어봄으로써 향후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관한 음식 선호도의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제기된 사항들의 해답을 얻기 위하여 주관성연구 분석방법을 활용하며,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관한 지역 대학생들의 음식 선호도 수용인식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이들 각 유형들 간의 동질적이며 이질적인 특성과 그 함의는 무엇인가?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관한 지역 대학생들의 음식 선호도 주관적 성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분석된 결과, 총 4가지의 유형, 즉, 제 1유형(N=7) : 청결선택형 (Cleanliness-selection Type), 제 2유형(N=13) : 알뜰형(Economy Type), 제 3유형(N=9) : 매장 호감형 (Selling-area Goodwill Type), 제 4유형(N=10) : 자기 만족형(Self-satisfaction Type)등으로 분류되었다. 결과적으로, 계량적인 실증적 연구와 관련 이해당사자들간의 종합적 비교와 대안책이 추가되어 진다면,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관한 음식 선호도 연구방향에 보다 심도 있는 연구결과가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지기를 기대한다.

고속도로 터널 내 LED Digital 경관조명 디자인의 유형별 특징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LED Digital Landscape Lighting in Expressway Tunnel)

  • 황예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457-462
    • /
    • 2021
  • 우리나라 지형의 특성상 산지가 많아 고속도로 직선화 건설 시에는 터널 설치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2019년도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조서" 통계에 따르면 터널은 2,682개소이고 2,077km로 전체 도로연장의 1.9%를 차지하고 있으며 10년 전에 비해 1,300개소로 94% 증가하고 있다.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고속도로 설치된 1Km이상 되는 장대터널들은 좁고 어두운 조명과 단조로운 벽면 디자인으로 인해 운전자로 하여금 집중력 저하 및 지루함을 느끼게 하여 피로와 졸음이 쉽게 발생한다. 이에 한국도로공사에서는 2020년까지 3Km 이상 터널 10곳을 대상으로 주의력 높이는 디자인 조명을 설치하였다. 본 연구는 터널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성을 개선하고자 한국고속도로에서 설치된 터널 내 LED 경관 조명 디자인을 유형별로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터널 내 LED 경관 조명 설치 시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 안정성 확보와 피로와 졸음사고를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설치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목적으로 한다.

고속도로 비탈면 녹화공법 시험시공지의 토질조건별 초기 녹화효과 사례연구 (Case Study of the Early Stage Vegetation Recovery with Soil Property in the Roadside Slopes of the Expressway)

  • 이제만;김경훈;전기성;임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7-59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vegetation on the roadside slopes at the expressway construction sites in order to evaluate the vegetation recovery regarding soil type and revegetation technique. We selected two study sites with an area of 1,000 m2 located in the construction sites of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named Hwado-Yangpyeong Expressway Section 3 and Saemangeum-Jeonju Expressway Section 7. The revegetation was monitored in three plot groups (earth, soft rock, and hard rock slopes), and scored based on the guideline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revegatation was generally lower in the Hwado-Yangpyeong site than that of the Saemangeum-Jeonju site. The field monitoring indicated that the revegetation varied with slope aspect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etween plots. the Saemangeum-Jeonju site showed a high overall evaluation score,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score for each plot. This seems to be due to the differences in geographical conditions, construction methods, and site environment between two sites.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short-term effects of revegetation techniques in the roadside slopes.

교통량 및 제설제 사용량에 따른 고속도로 포장의 공용수명 분석 (A Study to Analyze Service Life of Expressway Pavement according to Traffic Volumes and De-icing Chemicals)

  • 김찬우;안수한;박희영;이정훈;정철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35-41
    • /
    • 2015
  •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vice life of expressway pavement based on both traffic volumes and use of deicing chemicals. METHODS : A database was built using expressway rehabilitation history information from over the last decade. In order to estimate the service life of expressway pavement, various analysis methods were considered, and a decision was made to perform analysis using a method based on an accumulated rehabilitation ratio. The service life of expressway pavement was then analyzed by classifying the scale of traffic volume and extent of de-icing chemicals used. RESULTS : The service life of PMA and SMA ranged from 7.8 to 10.6 years and from 9.9 to 12.0 years, respectively. The service life of JCP ranged from 16.0 to 22.2 years, and the service life of CRCP was 33.5 years on average. Results of assessing service life according to traffic volumes and de-icing chemicals showed that the lower the traffic volumes were, the greater the service life of PMA and JCP, and the less that de-icing chemicals were applied, the greater the service life of JCP. CONCLUSIONS : The dependence of expressway pavement service life on traffic volumes and de-icing chemicals makes it possible to apply LCCA for regional maintenance plans and cost-effective selection of expressway pavement type.

고속도로 건설현장에서 드론 활용을 위한 표준공종 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 Work Type to Utilize Drone at Expressway Construction Sites)

  • 이석배;정민;어수창;김종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4호
    • /
    • pp.461-468
    • /
    • 2021
  • 모든 생애주기에서 건설현장을 3D 데이터로 관리하게 되는 스마트건설에 있어서 드론의 역할은 날로 증대하고 있다. 드론을 통하여 건설현장에 대하여 얻게 되는 수치표면모델과 정사영상이 모두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건설현장에서 드론 활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하기 위하여 드론 활용을 위한 표준공종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 고속도로 건설현장 두 곳을 테스트베드로 설정하고 드론 촬영 시범사업을 통하여 드론 적용이 가능한 공종을 도출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도로계획, 도로설계 및 유지관리부분에 각각 세 개의 공종을 개발하였고, 도로시공에 있어서는 다섯개의 공종에 21개의 세부공종을 개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속도로 건설현장 드론활용 표준공종'을 활용한다면 고속도로 건설현장뿐 아니라 다른 도로 건설현장에서도 드론을 활용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건설현장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속도로 교량의 개선된 안전성 평가방안을 위한 실측자료에 기초한 공용 내하력 검토 (The Examination of Load Carrying Capacity Based on Existing Data for Improved Safety Assessment Method of Expressway Bridges)

  • 이종호;한성호;신재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A호
    • /
    • pp.597-605
    • /
    • 2009
  • 고속도로 교량의 안전성은 주요 구조부재의 정밀육안검사, 비파괴 현장시험 및 재료시험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관 상태등급을 검토하고, 현장재하시험 결과에 의해 공용 내하력을 산정함으로써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교량의 공용 내하력이 설계기준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외관 상태등급은 비교적 양호한 교량이 상당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고 있다. 또한 비슷한 준공시기 및 구조형식을 갖는 교량이라도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공용 내하력은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교량의 현황, 외관 상태등급 및 유지관리 위한 안전진단 및 보수 보강방안 등을 고찰한 후, 기존 고속도로 교량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다양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400여 개소의 고속도로 교량 실측자료를 기초로 교량형식, 공용기간, 설계활하중, 외관 상태등급 및 교통량을 변수로 하여 공용 내하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합리적인 고속도로 교량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