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ress highwa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금호강유역 지하수자원 (Ground Water Resources of Kum-Ho River Basin)

  • 한정상
    • 기술사
    • /
    • 제10권2호
    • /
    • pp.13-26
    • /
    • 1977
  • The Kum-Ho river basin is one of the densely populated area having more than 35% of the total population and it was also well irrigated since ealier days in the Nackdong River Basin Most of the easily developed source of surface water are fully utilized, and at this moment the basin is at the stage that no more surface water can be made available under the present rapid development of economic condition. Since surface water supplies from the basin have become more difficult to obtain, the ground water resources must b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utilized greatly hereafter. In economic ground of the basin what part could ground water play\ulcorner In what quantities and, for what uses could it be put\ulcorner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can be relatively simple; the ground water resources in the basin can be put at almost any desired use and almost anywhere in the basin. The area of the basin is at about 2088km$^2$ in the middle part of Nackdong River Basin and it is located along the Seoul-Pusan Express Highway. The mean annual rainfall is about 974.7m/m, most of which falls from June to September during the monsoon. Accumulated wet period is appeared approximately after every 8 year's accumulated dry-period with the duration of 5 years. The water bearing formations in the basin include unconsolidated alluvial deposits in Age of Quatenary, saprolite derived from weathered crystalline rocks, Kyongsang sedimentary formations of the period from late Jurassic to Cretaceouse, and igneouse rocks ranging of the Age from Mesozoic to Cenozoic. The most productive ground water reservoir in the basin is calcareouse shale and sandstones of Kyongsan system, which occupies about 66% of the total area.

  • PDF

로드킬 예방을 위한 야생동물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ad Kill about the wild animals protective system for a prevent)

  • 정양권;최재호;최석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575-580
    • /
    • 2010
  • 본 연구는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방지를 위한 시스템으로, 제안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적외선 센서와 야생동물이 접근할 때 방지를 위한 발성부와 빛을 발생하는 발광부와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외부의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공급부와 도로 가장자리에 경계를 알리는 나선에 미세 전류를 통하게 하여 경고 발성이나 발광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여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제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제안 시스템은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와 같은 야생동물이 자주 출몰하는 도로 주변에 설치하여 주야간을 막론하고 출몰하는 야생동물의 진입을 방지하여 동물이 차량과 충돌하는 피해를 예방하며, 더불어 운전자를 보호하며 자연환경의 생태계를 보존하는데 있다.

도로교통 소음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king of the Noise Map for Traffic Noise Level)

  • 박상일;최형일;정경훈;염동익;진창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2호
    • /
    • pp.1393-1399
    • /
    • 2007
  • This research helps you understand the road traffic noise levels by using a noise map. We have observed the change of the road traffic noise levels around $07:00{\sim}08:30\;and\;22:00{\sim}23:00$ using the noise map in the city. The road traffic noise level is very high both at noon and at night around a beltway and an interchange that is linked with a highway. It seems that the main route of so many vehicles, which are at neighboring cities such as N city and D and H districts and which avoid traffic jams in the city, is the beltway and interchange. The road traffic noise level of a nearby express bus terminal, railroad station, and airport is more than 75 dB at noon and 65 dB at night. The road traffic noise level of G city at night is observed to be more than 55 dB. The noise levels of a residence area and a university are higher than a road with high noise levels when the commuters drive to work. The end of the day exceeds 11 o'clock because of a culture level of development that arouses spare time, eating out, adults' drinking culture, nightlife of the youth, etc. Therefore, the road traffic noise level is high during late night hours, and it exceeds regulatory guidelines(55 dB(A)). It also damages the residence area that is located near the road.

강우시 습윤전선 및 지하수위를 고려한 사면의 안정성 해석 (Analysis of Slope Stability with Consideration of the Wetting Front and Groundwater Level During Rainfall)

  • 송영석;홍원표
    • 지질공학
    • /
    • 제21권1호
    • /
    • pp.25-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로시공을 위한 사면절개시 발생된 산사태 현장을 대상으로 강우시 침투를 고려한 사면안정해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강우시 침투를 고려한 사면안정해석법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지반내 습윤전선이 하강을 고려하여 해석하는 방법, 두 번째는 지반내 지하수위의 상승을 고려하여 해석하는 방법, 그리고 세 번째는 지반내 습윤전선 하강 및 지하수위 상승을 고려하여 해석하는 방법이다. Bishop의 간편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강우시 습윤전선 하강으로 인한 사면안전율 감소가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한 사면안전율 감소보다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습윤전선 하강 및 지하수위 상승이 동시에 일어날 경우 사면안전율은 매우 급속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강우시 사면안정해석법은 지반내 지하수위 상승과 습윤전선 하강을 동시에 고려하여 해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호강유역(琴湖江流域) 지하수대(地下水帶)에 관한 연구(硏究) (Groundwater Resources of Gum-Ho River Basin)

  • 한정상
    • 자원환경지질
    • /
    • 제11권3호
    • /
    • pp.99-108
    • /
    • 1978
  • The Gum-Ho river basin is one of the densely populated area having more than 35% of the total population and it was also well irrigated since earlier days in the Nackdong river basin. Most of the easily developed source of surface water are fully utilized, and at this moment the basin is at the stage that no more :surface water can be made available under the present rapid development of economic condition. Since surface water supplies from the basin have become more difficult to obtain, the ground water resources must b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utilized greatly hereafter. In economic ground of the basin what part could ground water play? In what quantities and, for what uses could it be put?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can be relatively simple;the ground water resources in the basin can be put at almost any desired use and almost anywhere in the basin The area of the basin is at about $2088km^2$ in the middle part of Nackdong river basin and it is located along the Seoul-Pusan express highway. The mean annual rainfall is about 974.7mm, most of which falls from June to September during the monsoon. Accumulated is appeared approximately after every 8 year's accumlated dry period with the duration of 5 years. The water bearing formation in the basin include unconsolidated alluvial deposits in Age of Quaternary, saprolite derived from weathered crystalline rocks, Gyongsang sedimentary formations of the period from late Jurassic to Cretaceouse, and igneouse rocks ranging of the Age from Mesozoic to Cenozoic. The most productive ground water reservoir in the basin is calcareous shale and sandstones of Gyongsang system, which occupies about 66% of the total area. The results of aquifer test on Gyongsang sedimentary formation show that average pumping capacity of a well drilled into the formation with drilling diameter and average depth of $8{\frac{1}{2}}$ inch and 136m is $738m^3/day$ and also average specific capacity of those well is estimated $77.8m^3/D/M$. Total amount of the ground water reserved in the basin is approximately estimated at 37 billion metric tons, being equivalent 18 years total precipitations, among which 7 billion metric tons of portable ground water can be easily utilized in depth of 200 meters.

  • PDF

항공기 비상사태에 대한 객실안전조치에 관한 연구 -객실승무원의 안전업무와 승객의 객실안전정보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n Cabin Safety Actions in Aircraft Accidents -Focused on Cabin Crew Safety Performances & Passenger Perceptions of Cabin Safety Information -)

  • 유경인;유광의;이춘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6-136
    • /
    • 2013
  • Aircraft accidents these days, following the mega sizing trend of the aircraft, result in enormous losses of human lives apart from those of property, which cannot be replaced by any means. As most recently, in April 20, 2012, a Boeing 737 passenger plane departed Karachi on an augural flight to Islamabad, Pakistan, crashed close to an express highway on final approach, all 121 passengers and 6 crew members were killed. As such a large number of fatalities have been recorded in aircraft accidents while accident investigation results show that more than 95% of aircraft accidents are now survivable. There are three basic stages in surviving the aircraft accident: surviving the crash impact, the evacuation process and the hostile post evacuation environmental elements. These stages require the cabin crew's expeditious and appropriate actions on the basis of systematic and thorough cabin safety training in order to increase occupants' survivability, along with the passengers' preparedness. In this aspect,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acting as the impediments to the passenger survival in inflight emergency situations, that are the deficiencies with cabin crew safety training, related performances and the shortcomings in passengers' knowledge on inflight safety information, leading to their inappropriate responses to emergency situations. These issues are analyzed and the root causes are identified, suggesting the resolving countermeasures.

장애인전용주차구역제도의 이용행위 분석 (An Analysis on the Users' behavior of the Parking Area for the handicapped)

  • 양숙미;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55-63
    • /
    • 2011
  • 본 연구는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이용 중 위반행위에 초점을 두고 위반행위 실태를 분석하여 운영상의 문제점을 점검하여 적법한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16개 시도의 관공서, 상업시설, 공동주택, 의료시설, 문화 및 체육시설, 고속도로 휴게소 등 총 50개소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행위자를 대상으로 현장 방문 면접조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위반행위는 장애인 주차가능표지 미 부착 행위와 보행 장애인 미 동반 위반행위로 나타났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제도의 적법한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대한 인식과 홍보를 확대해야 하고, 주차단속에 초래되는 비용 인력 민원 등의 관리운영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위반 행위 개선을 위해 위반행위 발생 후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법률 개정안을 마련해야 한다.

자동요금징수시스템(ETCS) 표준화 연구(주파수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ETCS (Focused on RF))

  • 권한준;이기현;김용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2-7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능동방식의 870 nm 적외선 및 5.8 GHz 주파수 통합방식으로 운영되는 고속도로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의 능동주파수방식에 대한 국내 표준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2007년말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다. 본 표준 개선방안은 5.8 GHz 대역의 ITS전용 단거리 무선통신 표준 중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참조모델을 기준하여 OSI 1, 2, 7 계층 중 차량단말기와 노변장치간 다중접속을 위한 상호호환성을 제공하는 물리계층을 중심으로 실제 운영중인 시스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즉, 기존 표준에서 복사전력의 경우 전송거리에 따라 Class1 (10 m이내)과 Class2 (100 m 이내)로 구분하였으나 Class1 단일규격으로 2004년 정보통신부고시에 의거하여 운영되고 있고, 통신영역내의 입사전력 한계치의 경우 실제 운영중인 자동 요금징수시스템의 운영방안을 고려하여 측정 결과치를 표준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즉,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 운영상 필요한 부분에 대해 사업자 시스템간의 호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복사전력, 통신영역에서의 입사전력, 의사응답의 표준개선을 제안하였다.

  • PDF

퇴적암 지역에서의 산사태 원인 및 특성 분석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Analysis of Cause and Characteristics of a Landslide at the Sedimentary Rock Area)

  • 송영석;홍원표
    • 지질공학
    • /
    • 제17권1호
    • /
    • pp.101-113
    • /
    • 2007
  • 본 연구는 동해고속도로 확장공사구간에서 도로시공을 위한 사면 절개시 산사태가 발생된 현장을 대상하였다. 대상현장의 산사태 규모는 평면적으로 사면 폭이 100m, 사면높이가 87m로서 전체면적은 약 $9,550m^2$ 정도이다. 대상현장의 산사태는 지반 내 점토층이 존재하는 취약한 지질구조에 의한 내적요인과 사면절개 및 지속적인 강우에 의한 외적요인에 의해 발생된 것이다. 산사태 발생 직후 현장계측결과 사면지반의 수평변위는 우기철의 지속적인 강우로 인하여 누적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산사태 발생시 측정된 사면지반의 수평변위를 통하여 사면활동면의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장계측을 통하여 사면활동면 발생 깊이에서부터 사면지반의 수평변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면활동면 발생 깊이는 점토층이 분포하고 있는 깊이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Bishop의 간편법을 이용한 사면안정해석결과 강우시 사면안전율은 0.53으로 산사태가 발생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면활동면의 발생 깊이는 현장계측을 통하여 측정된 점토층이 분포하고 있는 깊이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양산단층을 통과하는 복안터널구간의 열수변질작용과 공학적 특성 (Hydrothermal Alteration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in the Bokan Tunnel Area passing through the Yangsan Fault)

  • 이창섭;이효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09
  • 연구지역은 울산시 울주군의 양산단층대를 통과하는 터널(복안터널) 구간으로서 터널 상부에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35호선이 위치한다. 기존의 조사결과 양산단층대 통과 터널 구간은 최대 폭 100 m에 이르는 단층비지와 단층각력암이 넓게 분포한다. 연구결과 양산단층 동측부에는 셰일로 대표되는 퇴적암이 분포하는데 이들은 기계적인 파쇄작용이나 열수변질작용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양산단층 서측부에는 데사이트질응회암이 분포하며, 양산단층의 영향으로 기계적 파쇄작용과 열수변질작용이 진행되었다. 양산단층 구간은 단층운동과 관련된 기계적 파쇄작용과 녹니석화작용, 견운모화작용, 고령석화작용으로 대표되는 열수변질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폭 $50{\sim}130m$에 이르는 단층대가 발달한다. 기계적 파쇄작용과 열수변질작용의 특징에 의해 양산단층대는 지질공학적으로 비변질대, 변질대, 변질.파쇄대, 단층비지대 등 4개의 구간으로 구분된다. 이들 구간은 기계적 파쇄작용과 변질작용의 정도 및 양상을 달리하며, 공학적 특성을 달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