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mental test

검색결과 18,569건 처리시간 0.061초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한 정보 필터링이 사용자의 불확실성과 정보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BS Information Filtering on Users' Perceived Uncertainty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 적효림;임일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4권4호
    • /
    • pp.493-513
    • /
    • 2014
  • With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Location-Based Services (LBS) are growing fast and being used in many ways. Past LBS studies have focused on adoption of LBS because of the fact that LBS users have privacy concerns regarding revealing their location information. Meanwhile, the number of LBS users and revenues from LBS are growing rapidly because users can get some benefits by revealing their location information.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how LBS affects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product purcha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xamining the effect of LBS information filtering on buyers' uncertainty and thei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When consumers purchase a product, they try to reduce uncertainty by searching information. Generally, there are two types of uncertainties - knowledge uncertainty and choice uncertainty. Knowledge uncertainty refers to the lack of information on what kinds of alternatives are available in the market and/or their important attributes. Therefore, consumers having knowledge uncertainty will hav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what alternatives exist in the market to fulfil their needs. Choice uncertainty refers to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consumers' own preferences and which alternative will fit in their needs. Therefore, consumers with choice uncertainty have difficulties selecting best product among available alternatives.. According to economics of information theory, consumers narrow the scope of information search when knowledge uncertainty is high. It is because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cost is high when their knowledge uncertainty is high. If people do not know available alternatives and their attributes, it takes time and cognitive efforts for them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available alternatives. Therefore, they will reduce search breadth. For people with high knowledge uncertainty, the information about products and their attributes is new and of high value for them. Therefore, they will conduct searches more in-depth because they have incentive to acquire more information. When people have high choice uncertainty, people tend to search information about more alternatives. It is because increased search breadth will improve their chances to find better alternative for them. On the other hand, since human's cognitive capacity is limited, the increased search breadth (more alternatives) will reduce the depth of information search for each alternative. Consumers with high choice uncertainty will spend less time and effort for each alternative because considering more alternatives will increase their utility. LBS provides users with the capability to screen alternatives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m, which reduces information search cos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LBS will help users consider more alternatives even when they have high knowledge uncertainty. LBS provides distance information, which helps users choose alternatives appropriate for them. Therefore, users will perceive lower choice uncertainty when they use LB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we selected 80 students and assigned them to one of the two experiment groups. One group was asked to use LBS to search surrounding restaurants and the other group was asked to not use LBS to search nearby restaurants. The experimental tasks and measures items were validated in a pilot experiment. The final measurement items are shown in Appendix A. Each subject was asked to read one of the two scenarios - with or without LBS - and use a smartphone application to pick a restaurant. All behaviors on smartphone were recorded using a recording application. Search breadth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restaurants clicked by each subject. Search depths was measured by two metrics - the average number of sub-level pages each subject visited and the average time spent on each restaurant.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PSS and PLS. The results show that knowledge uncertainty reduces search breadth (H1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uncertainty and search depth (H1b). Choice uncertainty significantly reduces search depth (H2b),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hoice uncertainty and search breadth (H2a). LBS information filtering significantly reduces the buyers' choice uncertainty (H4) and reduce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uncertainty and search breadth (H3). This research provide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ervice providers. Service providers should use different strategies based on their service properties. For those service providers who are not well-known to consumers (high knowledge uncertainty) should encourage their customers to use LBS. This is because LBS would increase buyers' consideration sets when the knowledge uncertainty is high. Therefore, less known services have chances to be included in consumers' consideration sets with LBS. On the other hand, LBS information filtering decrease choice uncertainty and the near service providers are more likely to be selected than without LBS. Hence, service providers should analyze geographically approximate competitors' strength and try to reduce the gap so that they can have chances to be included in the consideration set.

초음파 서모그라피를 이용한 실시간 결함 검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al-Time Defect Detection Using Ultrasound Excited Thermography)

  • 조재완;서용칠;정승호;정현규;김승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11-219
    • /
    • 2006
  • 초음파 서모그라피는 초음파 진동 에너지 여기에 의한 물체의 표면 및 표면 아래에 존재하는 결함부위의 선택적 발열 특성을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로 관측하는 것이다. 결함(균열, 박리, 공극 등) 이 존재하는 구조물에 초음파 진동 에너지를 입사시킬 경우 결함 부근에서의 국부적인 발열로 인해 건전 부위와의 급격한 온도차를 드러내는 핫 스폿이 관측된다. 초음파 진동 에너지 여기에 의한 핫 스폿 관측 및 분석을 통해 결함을 진단하는 것이 초음파 서모그라피를 이용한 비파괴 결함 진단 방법이다. 이를 이용한 결함 검출을 위해서는 초음파의 진동에너지를 검사 구조물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서모그라피를 이용한 실시간 결함검출에 대해 기술한다. 초음파 진동에너지의 입사 방향에 따른 결함 검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동에너지의 전달 방향을 시편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각 입사시켰다. 각각의 입사 방향에 따른 초음파 트랜스듀서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디지털 오실로스코우프로 계측 비교하였다. 결함 검출에 사용한 시편은 14 mm 두께의 SUS 균열(crack) 시편, PCB 기판(1.8 mm), 인코넬 600 판(1.0 mm) 및 CFRP 판(3.0 mm)의 4종류이다. 4종류의 시편에 대해 280ms 펄스폭의 초음파에너지를 수직 수평으로 각각 입사시켰다. 4종류 모두 수직방향으로 초음파 진동에너지를 입사시켰을 때 수평방향에 비해 전달 손실이 적었다. 복합재료인 PCB, CFRP 판은 수직방향으로 초음파 진동에너지를 입사시켰을 때 수평방향에 비해 결함 위치에서 열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선택적 발열 현상도 3배 이상 지속되었다. 금속재료인 인코넬 600판과 SUS 시편은 수평방향이 수직방향보다 핫 스폿이 빨리 관측되었다.

LEDs 광조성 및 광도가 베이비채소의 생육 및 기능성물질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Growth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Baby Vegetable as Affected by LEDs Source and Luminous Intensity)

  • 윤성탁;정인호;김영중;한태규;유제빈;제은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49-565
    • /
    • 2015
  • LEDs 광원 및 광도에 따른 베이비채소 6작물의 생육 특성과 기능성물질 함량을 구명하고자 Fluorescent lamp (100, 125, $150{\mu}mol\;m^{-2}s^{-1}$), Red+Blue 1:1 (100, 125, $150{\mu}mol\;m^{-2}s^{-1}$), Red+Blue 2:1 (100, 125, $150{\mu}mol\;m^{-2}s^{-1}$), Red+Blue 4:1 (100, 125, $150{\mu}mol\;m^{-2}s^{-1}$) 광원하에서 파종 40일 후에 수확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베이비채소의 엽수는 시금치를 제외한 비트, 치커리,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2. 초장은 비트를 제외한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3. 생체중과 건물중은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4. 엽록소 a, 엽록소 b 함량은 시금치, 적상추, 겨자가 대조구인 Fluorescent lamp $150{\mu}mol\;m^{-2}s^{-1}$에서 가장 높았다. 5. 총 안토시아닌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에서 Red+Blue(4:1) $150{\mu}mol\;m^{-2}s^{-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6. Free radical 소거능은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의 $150{\mu}mol\;m^{-2}s^{-1}$에서 높았지만 LEDs 광원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트, 치커리, 시금치, 적상추, 쑥갓, 겨자의 베이비 채소를 Red+Blue (4:1) $150{\mu}mol\;m^{-2}s^{-1}$에서 재배한다면 더욱 좋은 생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 함량도 다른 광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좋았으므로 추후 상기의 베이비채소 생산 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Polyethylene film포장(包裝)에 의(依)한 단감의 CA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A Storage of Sweet Persimmon in Polyethylene Film Pack)

  • 민병용;오상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8-134
    • /
    • 1975
  • polyethylene필립포장(包裝)에 의(依)한 단감의 장기냉장법(長期冷藏法) 개발(開發)을 위하여 1973년도(年度)에는 30상자(箱子)의 단감을 공시(共試)하여 기초연구시험(基礎硏究試驗)을 실시(實施)하고 하여 1974년도(年度)에는 진영(進永)단감협동조합(協同組合)의 50평(平)짜리 냉장고(冷藏庫)에 2,500상자(箱子)의 경제규모(經濟規模)의 실용화(實用化)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저장기간별(貯藏期間別)로 품질변화(品質變化) 상태(狀態)를 조사(調査)하는 동시(同時) 단계적(段階的)으로 저장(貯藏)단감을 출하(出荷)하여 시판(市販)하므로서 소비자(消費者)의 반응(反應)과 단감저장(貯藏)의 기업성(企業性)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김해진영산(金海進永産) 단감 부유(富有)는 $2^{\circ}C{\pm}1^{\circ}C$에서 냉장(冷臧)하면 1개월간(個月間)을 저장(貯藏)이 가능(可能)하였고 PE필림으로 밀봉포장(密封包裝)했을때는 저장기간(貯藏期間)을 크게 연장(延長)할 수 있었으며 이때 포장(包裝) PE필림의 두께가 0.08mm와 0.1mm일때는 다음해 2월말일(月末日)까지 약(約) 4개월간(個月間)을 안전(安全)하게 저장(貯藏)할 수 있었다. (2) PE필림 밀봉포장(密封包裝)으로 단감의 저장중(貯藏中) 증산(蒸散)에 의(依)한 중량감소(重量減少)를 크게 억제(抑制)할 수 있었으며 필림두께가 0.04mm이상(以上)일때 그 효과(效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3) 과실(果實)을 필림대(袋)속에 $3{\sim}5$개씩 넣어 소포장(小包裝)는 것이 한상자분(箱子分)(15kg)을 큰 필림포대(包袋)에 넣어 밀봉포장(密封包裝)한 것에 비(比)하여 저장성(貯藏性)이 다소(多少)좋았다. (4) 필림포장내(包裝內)의 $CO_2$축적량(畜積量)은 필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증가(增加)하나 저장(貯藏) 1개월후(個月後)부터는 극(極)히 완만(緩慢)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0.06mm와 0.08mm포장구(包裝區)에서는 대체(大體)로 $5{\sim}6%$선(線)을 유지(維持)하였다. (5) 단감은 저장중(貯藏中) 전당(全糖), 총산(總酸) 및 Vitamin C는 다같이 감소(減少)하였으며 그중(中) 특(特)히 무포장구(無包裝區)의 과실(果實)에서 현저(顯著)하였다. (6) PE필림 밀봉포장(密封包裝) 냉장(冷藏)단감은 출고후(出庫後) 필림포장(包裝)한 그대로 유통(流通)시키는 것이 포장(包裝)을 제거(除去)한 것보다 품위유지(品位維持)에 유리(有利)하였으며 외기상온(外氣常溫)에서 10일간(日間)은 무난(無難)하게 상품적(商品的) 가치(價値)를 보지(保持)할 수 있었다. (7) 단감의 필림포장냉장(包裝冷藏)은 시장성(市場性)이 좋고 경제적규모(經濟的規模)로 냉장(冷藏)했을때 제반경비(諸般經費)를 공제(控除)하고도 기업성(企業性)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레토르트 계란찜의 살균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sterilization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retorted steamed egg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최찬익;문지혜;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31-338
    • /
    • 2018
  • 본 연구는 계란찜에 대한 다양한 살균조건을 적용 및 검토함으로써 그에 따른 품질적 특성을 평가하고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해 품질 저하의 최소화와 미생물적 안전성을 확보한 계란찜의 상업적 생산과 상온유통이 가능한 최적 살균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적절한 살균강도를 가지도록 3가지 구간의 살균온도($X_1$: 115, 119, $123^{\circ}C$)와 3가지 살균시간($X_2$: 25, 35, 45 min), 2가지 구간의 살균방법($X_3$: 1단과 2단 살균)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실험조건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종속변수로서 $F_0$값, 최대응력(식감), pH, 색도(L, a, b값) 및 관능적 특성(외관선호도, 전반기호도, 식감선호도, 계란향미 선호도)에 대해 측정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대부분의 종속변수는 수치상으로 살균방법보다 살균온도와 살균시간에 훨씬 유의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동일 살균온도와 살균시간에서는 2단 살균 시 유의적인 품질의 저하 없이 $F_0$값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2단 살균과 같은 예비살균공정의 추가가 목표 $F_0$값에 도달하기 위한 살균온도 또는 살균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최종적으로 계란찜의 살균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품질특성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된 8개의 종속 변수(Table 5)를 선정하여 최적 살균조건을 도출한 결과, 1단 살균에서는 종속변수들의 최적범위를 만족하는 살균조건이 약 $122.7-123^{\circ}C$와 25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단 살균에서는 $119.7-120^{\circ}C$와 27-30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방법까지 고려한 최적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반응최적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반 기호도와 외관 선호도를 극대화하는 최적조건을 도출하였을 때, 2단 살균에서 약 $120^{\circ}C$, 25분 살균 시 최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서울·경인지역 유통판매중인 과자류의 위생지표 세균 및 식중독균 오염도 조사 (Monitoring of Microorganism Contamination in Children-Preferred Confectioneries in Korea)

  • 구은주;정소영;박지은;권유진;서동혁;정유영;조경철;이요아;민희은;김유진;김현정;김슬기;최선옥;임철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2-3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기호식품 중 하나인 과자류(과자, 캔디류, 츄잉껌, 빙과류)에 대하여 1,005건(과자 250건, 캔디류 255건, 츄잉껌 250 건, 빙과류 250건)에 대해 위생 지표 미생물인 일반세균 수, 대장균군/대장균과 더불어 식중독 원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과자류에 대한 일반세균 수의 경우 전체 시료의 26.8%에서 검출되었고, 검출된 세균 수는 1.7 log CFU/g을 나타내었다.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과자 250건 중 45.2%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빙과류 28.8%, 캔디류 20.0% 및 츄잉껌 13.2% 순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위생지표 세균인 대장균군/대장균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캔디류를 제외한 나머지 유형에서 바실러스 세레우스만 검출이 되었고, 평균 검출량은 1.4~1.6 log CFU/g로 현행 식품공전상의 미생물규격인 3 log CFU/g 이하 수준으로 모두 적합한 제품이었다. 이는 식품공전 상에서 정하고 있는 미생물 규격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로 식품의 제조 유통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식중독 민감도가 높은 어린이들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미생물 기준규격을 고려해야 한다.

시력, 폰트, 굵기, 성별에 따른 2음절 및 3음절 농약 제품 표시글자의 가독성 평가 (Legibility Evaluation of Two and Three Syllable Words Used in Pesticides According to Font, Thickness, Gender, and Visual Acuity)

  • 황해영;송영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44-3451
    • /
    • 2012
  • 농약의 안전보건 정보 표시는 보통 농약병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다. 그러나 농약의 적절한 표시를 위한 가이드라인이나 기준은 대부분 애매하거나 실용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력에 따른 가독성 실험을 통하여 적절한 글자 크기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것이다. 실험은 20대의 20명을 대상으로 근거리시력(0.6, ${\geq}0.8$), 성별, 글자체(세고딕, 중고딕), 글자의 굵기(plain, bold), 음절수(2음절, 3음절)가 농약 표시 글자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가독성 평가를 위한 종속변수로는 정답률이 0%가 되는 최대글자크기, 정답률 100%가 되는 최소 글자크기, 주관적 불편도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가독성은 근거리 시력에 의해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답률이 0%가 되는 최대 글자크기는 근거리 시력 ${\geq}0.8$에서는 2pt, 0.6에서는 2~3pt로 나타났다. 정답률 100%의 최소가독 글자크기는 근거리 시력 0.6에서는 9pt, ${\geq}0.8$에서는 5.3pt로 나타났다. 근거리 시력 0.6과 ${\geq}0.8$의 시력에 따른 글자 크기별 불편도는 0.6에서는 남,녀 모두 평균 15.5 pt에서 불편도 1(읽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음)에 도달하였으나 ${\geq}0.8$에서는 남자의 경우 평균 8.5 pt, 여자는 평균 10 pt에서 불편도 1에 도달하였다. 농약 표시 글자 크기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중요성이 떨어지는 정보의 경우는 9 pt 이상, '농약' 표시나 독성 표시와 같은 안전상 중요한 내용의 경우는 16 pt 이상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와동의 형태, 접착층의 성숙도, 및 와동의 부피가 상아질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vity shape, bond quality and volume on dentin bond strength)

  • 이효진;김종순;이신재;임범순;백승호;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6호
    • /
    • pp.450-46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시 와동의 형태, 접착층의 성숙도, 및 와동의 부피가 와동저의 접착면에 발생되는 중합수축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급 와동 충전시의 응력발생을 모방하기 위해, 98개의 대구치를 $2\times2\times2$ 실험군에 무작위로 분배하고 교합면 상아질을 평탄하게 연마한 후, 복합레진 충전을 위한 몰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구멍을 가진 iris를 올려놓고 복합레진을 bulk-filling법으로 충전하였다. 각각의 변수로서 와동 형태에 관하여는 iris 재질 (접착제를 도포한 상아질 iris: 높은 C-factor, Teflon 처리된 금속 iris: 낮은 C-factor), 접착층의 성숙도에 관하여는 2종의 접착제 (Scotchbond Multi-purpose와 Xeno III), 와동의 부피에 관하여는 iris내 구멍의 직경 (직경 1 또는 $3mm{\times}높이$) 5mm)을 달리하여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와동의 C-factor가 클수록, 접착층의 성숙도가 우수할수록 그리고 부피가 클수록 접착력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복합레진이 중합될 때, 와동의 형태적 제한에 따라 레진-상아질 접착계면에 발생되는 중합수축응력은 접착이 우수할수록 복합레진의 부피가 클수록 증가되므로, C-factor를 정의할 때 와동의 형태뿐 아니라, 접착층의 성숙도와 복합레진의 부피도 함께 고려되어야 된다.

치근단 역충전용 포틀랜드 시멘트 신복합재료의 물리적 성질 고찰 (Physical properties of novel composite using Portland cement for retro-filling material)

  • 이상진;조옥인;염지완;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6호
    • /
    • pp.445-452
    • /
    • 2010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근단 역충전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MTA, MTA와 AH-plus 혼합물 (AMTA), 그리고 실험적 개발재료인 Portland cement-Epoxy resin composite (EPPC)의 미세 누출 및 물리적인 성질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거 치아 49개를 근관 성형하고 gutta-percha와 sealer로 충전하였다. 각 치아의 치근을 근단부 3 mm에서 절단하고 3 mm 깊이의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였다. 15개씩 무작위로 분류한 치근을 세 군으로 나누어 각각 MTA, AMTA, EPPC로 충전하였고 네 개의 치근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군의 재료로 역충전이 완료된 모든 실험군을 젖은거즈로 덮고 24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경화 후 72시간 동안 1% methylene blue 염색액에 담근 후, 치근단을 수직 절단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미세 누출을 평가하였다. Vicat apparatus를 사용하여 실험군 별로 경화시간을 측정하였으며, aluminum step wedge를 사용한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각 군의 방사선 불투과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과 경화시간에 대해 각 군간의 차이를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 검증으로 유의수준 95%에서 평가하였다. 결과: AMTA와 EPPC는 MTA군에 비해 적은 미세누출량을 보였다 (p < 0.05). AMTA는 가장 높은 방사선 불투과도를 보였으며 개발 재료인 EPPC군은 5 mm aluminum 두께의 방사선 불투과도를 보였다. MTA가 가장 긴 경화시간을 나타낸반면 EPPC군은 다른 군에 비해 초기경화와 최종경화 모두 가장 짧은 경화시간을 나타냈다 (p < 0.05). 결론: 이 연구 조건하에서, 신개발 재료인 EPPC는 치근단 역충전 재료로서 기존의 MTA보다 양호한 밀폐능력과 방사선 불투과성 및 짧은 경화시간 등의 역충전 재료로서 적절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산(韓國産)의 죽류(竹類)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10보(報)) - Phyllostachys reticulata의 굴곡시험(屈曲侍險)에 대(對)하여 - (Research on the Bamboo in Korea(Part 10) - On the Bending Test of Phyllostachys reticulata)

  • 정현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1
    • /
    • 1967
  • 죽류(竹類)는 원래(原來) 죽간(竹幹)이 곧게 자라는 식물(植物)이므로 현재(現在)까지는 이와같이 곧게 자라는 성질(性質)을 이용(利用)하여 다각도(多角度)로 사용(使用)하여 왔으나 근일(近日) 죽공예품제작(竹工藝品製作)의 추세(趨勢)는 굴곡(屈曲)된 죽간(竹幹)의 필요성(必要性)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저자(著者)는 한국(韓國) 산죽류(産竹類)의 굴곡생장(屈曲生長)에 관(關)한 시험(試驗)을 행(行)하고저 강원도(江原道) 명주군(溟州郡)부터 옥준면(玉浚面) 현내리(縣內里)의 시험림(試驗林)에서 1960년(年) 시험(試驗)을 시행(施行)하였다. 죽순(竹筍)이 40여일(餘日) 간(間)에 완전성장(完全成長)하는 비밀(秘密)이 주(主)로 지하경(地下莖)에 있다고 하나 죽순(竹筍)의 죽피(竹皮)에도 그 요인(要因)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生覺)하고 죽피(竹皮)의 탈피(脫皮)와 죽(竹)의 굴곡(屈曲)에 대(對)한 시험(試驗)을 다음과 같이 행(行)하였다. 1. 탈피(脫皮)의 시기(時期) 2. 임의순곡(任意筍曲)을 위(爲)한 죽피(竹皮)의 탈피방향(脫皮方向) 3. 죽순(竹筍)의 크기(생장(生長))에 따르는 굴곡(屈曲)의 정확성(正確性) 이상(以上)과 같은 시험(試驗)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본시험지(本試驗地)에서는 죽순(竹筍)의 발순(發筍)이 대개(大槪) 4월경(月頃)부터 시작(始作)되나 시간별(時期別)로의 굴곡(屈曲)의 난역(難易)을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이 굴곡(屈曲)의 효율(效率)이 68%로서 가장 좋은 성적(成積)을 나타 냈다. 2. 출도(出度)를 임의(任意)로 하고져 할 때에는 구부리고져 하는 방향(方向)의 죽피(竹皮)를 탈피(脫皮)하면 그 방향(方向)으로 구부러지며 90도(度)의 각도(角度)까지 굴곡(屈曲)될 수 있음을 알았다. 단(但) 돌레 전체(全體)를 베끼면 자유형(自由形)으로 구부러 진다. 3. 어느 정도(程度) 생장(生長) 죽순(竹筍)이 굴곡도(屈曲度)가 정확(正確)한가를 알기 위(爲)하여 30cm부터 10cm의 간격(間隔)을 두고 150cm까지의 길이에 대(對)하여 죽순(竹筍)을 탈피시험(脫皮試驗)해 본 결과(結果) 110cm 크기의 것이 90%로서 좋은 성적(成積)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