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xperimental proof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8초

접촉폭발에 의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방폭성능 (Explosion Proof of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Panel subjected to Contact Explosion)

  • 김윤환;김규용;김홍섭;이보경;이상규;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8-129
    • /
    • 2016
  • This paper evaluates experimentally the explosion proof of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FRCC) panels with various fibers of 2 % volume fraction subjected to contact explosions using an emulsion explosive. As a results, the proportion of the total damage in FRCC panels is not biased scabbing on the rear side with contrast to plain panels, which means that the local damage of FRCC panels was significantly controlled. The experimental results presented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ion of limited thickness on the local damage subjected to contact explosions through comparison with existing damage evaluation prediction equations.

  • PDF

망목 구조 변화에 따른 에폭시 수지의 유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in Epoxy Resins due to Variation of Network Structures)

  • 김재환;손인환;심종탁;김경환;김명호;최병옥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10권7호
    • /
    • pp.651-658
    • /
    • 1997
  • In this paper, effect of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 introduction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heat proof properties, internal structure and defects of the Epoxy/SiO$_2$composit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we reported a relation between network structures and electrical properties, especially dielectric characteristics with variation of network structures for epoxy composite materials.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the specimens which have single network structures have lower dielectric constant tha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 specimens, but have relatively larger dependency to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frequency. It was confirmed that change of structures is attained by introducing of IPN to insulating materials. Therefore it is counted that introduction of multiple structure including IPN is necessary to improve heat proof and electrical properties.

  • PDF

내압방폭을 위한 Safe Gap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 Gap for Explosion-proof)

  • 오규형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6
    • /
    • 1997
  •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위험 분위기에서 전기기기를 사용할 경우 전기 스파크에 의한 폭발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점화원을 격리시키거나 고립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점화원의 고립이 불가능하므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내압 방폭형전기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내압방폭기기의 내부에 침투한 가연성 가스가 폭발하여도 화염이나 열이 틈새를 통과하여 외부의 가연성 분위기를 점화시킬 수 없는 최대 틈새크기를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소-공기 혼합기와 메탄-공기 혼합기에 대하여 실험적 최대틈새크기(MESG)를 찾아내어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고, MES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실험장치는 내용적 8${\iota}$의 구형용기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변수들로는 전화위치, 혼합기의 농도, 초기압력 등이었다. 실험결과 각각의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농도와 초기압력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당량 농도 가까이에서 최소값을 나타내었으며 초기압력의 상승과 함께 MESG는 감소하였다.

  • PDF

주사 전자현미경의 이미지 해상도 향상을 위한 방안 및 실험적 검증 (Methodologies and Verifications for Enhancing Resolution o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김동환;김영대;박만진;장동영;박근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22-128
    • /
    • 2007
  • The electric part of thermal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onsists of high voltage generation, lens control, and image processing. Several methodologies for enhancing SEM image are addressed and those results are verified through analyses and experiments. The controller employes a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making the system more flexible and convenient than the classical analogue based controller. In some parts based the analog circuit, there are inevitable sources of noise and image distortion.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is provided along with analytical proof to enhance the SEM image.

증명학습에서 생성-수렴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Proof Learning-Teaching Methods: the Generative-Convergent Model)

  • 이종희;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1호
    • /
    • pp.59-9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증명학습을 할 때 범하는 수학적 오류를 교수학적으로 처방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증명의 역할과 본질을 이해하여 증명과정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도록,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이라는 증명 학습-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수업모형을 8학년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40시간에 걸쳐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과 관계를 학습할 때 적용하여 학생들의 증명능력 향상과 오류 교정에 미치는 효과 및 학생들의 정당화 유형 양상으로 세분화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첫째,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증명능력 검사에서 평균점수는 높았다. 그러나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 검정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의 증명능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생들은 논증기하 영역에서 증명을 할 때 범하는 오류 교정율에 있어서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을 한 학생들의 오류 교정율이 통제집단보다 더 큰폭으로 감소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정당화 유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경험적 정당화에서 분석적 정당화로의 이행을 보였으나,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을 한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분석적 정당화를 구성하는 학생들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 PDF

목조문화재 개판 상부에 설치하는 방염천의 화재전파 차단기능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apability of Arresting the Spread of a Fire of Fireproof Fabric Equipped over Ceiling Board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 김현주;노삼규;김동철;함은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97-303
    • /
    • 2012
  • 본 연구는 목조문화재 지붕 적심부의 화재전파 차단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개판 상부에 설치하는 방염천의 차열성능을 알아보기 위한 실물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방염천의 차열성능을 검증하고, 그 밖에 방염천의 설치방식에 따른(평형식과 접이식) 방화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방염천을 개판 상부에 평형식으로 설치한 경우 개판 하부온도가 $750^{\circ}C$일때 개판 상부온도가 $50^{\circ}C$$700^{\circ}C$ 정도의 온도차를 나타냈고 이는 방염천 미설치 시와 비교했을 때 개판 상부온도가 $580^{\circ}C{\sim}600^{\circ}C$ 정도 낮은 것으로, 방염천 설치로 인한 차열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방염천을 개판 상부에 접이식으로 설치한 경우 개판 하부온도가 $600^{\circ}C$일 때 개판 상부온도는 $65^{\circ}C$로 약 $530^{\circ}C$ 정도의 온도차를 보여 평형식으로 설치한 경우보다는 차열성능이 약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t Dissipation of Sealed LED Light Fixtures Using Pulsating Heat Pipe Technology

  • Kim, Hyung-Tak;Park, Hae-Kyun;Bang, Kwang-Hy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64-71
    • /
    • 2012
  • An efficient cooling system is an essential part of the electronic packaging such as a high-luminance LED lighting. A special technology, Pulsating Heat Pipe (PHP), can be applied to improve cooling of a sealed, explosion-proof LED light fixture.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lsating heat pipes in the imposed thermal boundary conditions of LED lighting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nd a PHP device that works free of alignment angle was investigated for cooling of explosion-proof LED lights. Five working fluids of ethanol, FC-72, R-123, water, and acetone were chosen for comparison. The experimental pulsating heat pipe was made of copper tubes of internal diameter of 2.1 mm, 26 turns. A variable heat source of electric heater and an array of cooling fins were attached to the pulsating heat pipe. For the alignment of the heating part at bottom, an optimum charging ratio (liquid fluid volume to total volume) was about 50% for most of the fluids and water showed the highest heat transfer performance. For the alignment of the heating part on top, however, only R-123 worked in an un-looped construction. This unique advantage of R-123 is attributed to its high vapor pressure gradient. Applying these findings, a cooling device for an explosion-proof type of LED light rated 30 W was constructed and tested successfully.

유증기 방폭 장치를 적용한 해상 오일 유출 회수장치(Oil skimmer)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Marine oil Skimmer Applying the Vapor Explosion-proof Equipment)

  • 함성훈;정찬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5-109
    • /
    • 2015
  • 본 연구는 해상 유류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 효율적인 방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개발된 오일 회수장치로서, 오일 회수장치를 통하여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높은 회수율로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일 회수장치는 기존의 흡착포 및 유류처리제를 이용한 정화 방식에서 발생하는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일 회수율 또한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유증기에 의한 폭발 방지 기구를 채택하여 오일 회수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제거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