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ment and practice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2초

유아교육기관의 환경보전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연구 (The Effectiveness of a Child-Care Centers' 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 최경순;차미영
    • 아동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7-190
    • /
    • 2004
  • Training for mothers and children first included information on water, ground, and air pollution, saving energy, and reducing trash. In the second phase, the family followed steps outlined in 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guidebook. The experiment was of 16 weeks duration, conducted with 120 subjects, comprised of sixty 4-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Measures include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and the actual practic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on the part of the subjects. Mothers performed self-evaluations while teachers measured the children. SPSS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rogram increased perceptions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he actual practic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gram application also resulted in meaningful co-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s and practice and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 PDF

초등예비교사들의 실험설계활동에 나타난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Process El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pre-teachers' Designing Experiment Activities)

  • 이상균;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71-380
    • /
    • 2014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which appeared to the process of designing experiment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is study were participated 2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 the researcher figured out the process elements could constructed in 12 elements such as 'states problem or question, predicts outcome or hypothesizes, lists materials needed, arranges steps in sequential order, lists more than 3 steps, Explore variables and select one or more variables, plans to control variables, plans to measure and observation, plans data collection, plans to repeat testing and tells reason, states plan for interpreting data, states plan for making conclusion based on data, states plan for making conclusion based on data' but did not figure out 2 elements such as 'defines the terms of the experiment, practice safety'.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experiment were as follow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signed experiments unstructured process listed types and showed the superficial level of the design experi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grams of designing experiment activity should be constructed with the process elements which were concentrat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uld provide feedbacks to design experiment more accurately.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경감을 위한 발마사지의 효과 (The Effect of Foot Massage on Stress in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 원종순;김금순;김경희;김원옥;유재희;조현숙;정인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2-20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oot massage on the stress of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 student nurses from three junior colleges and one university.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 the experimental group(26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26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1999.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foot massage was performed once a day for 3 days, starting from the first day of clinical practice. Subjects' mood, fatigue,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Instrument for mood and fatigue state was a 100mm visual analogue scale. For the experimental group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just before and after every 3 foot massages and on the 7th clinical practice day. For the control group pretest was done on 1st clinical day and posttest was done on clinical practice 7th day.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t-test and paired t-test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od stat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ot massage(t=13.73, p<.001). 2. The fatigue state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ot massage(t=8.69, p<.001). 3. Th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ot massage(t=3.0073, p<.01). 4.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foot massage. 5. The pulse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foot massage. 6. The mood state scores on the 1st, 2nd, 3rd massage day was significantly improved right after the foot massage. 7. The fatigue state scores on the 1st, 2nd, 3rd massage day were significantly lower right after the foot massage. 8. Systolic blood pressure on the 1st and 2nd massage da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right after the foot massag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decreased right after massage but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foot massage can be an effective stress relieving method for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 PDF

자바를 이용한 가상 전자 회로 실험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asic Electronic Virtual Lab System Using JAVA)

  • 박준용;차정훈;김동식;허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3242-3245
    • /
    • 1999
  • The current educational software usually has limitations of accessing and mutual communication. Networking Technology can overcome these limitations. Using Internet, students can access the educational resources easily and learning process can be monitored. In this study a virtual experiment program is developed for students to practice the basic electronic experiment, which is a fundamental subject in electronic department curriculum. Students can understand the basic theory and rules easily by simulated experimental process. Almost the same result is obtained as in real experiment because this program is made to simulate the real experiment. The virtual experiment site can be accessed easily by Internet and an experiment is performed based on individual basis without restriction of location and time. This program can be used as fully the real experiment substitution or supplementary educational materials. In both case, it provides many benefits in education.

  • PDF

웹기반 체온 관리 근거중심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이 위절제술 환자의 체온, 전율, 체온 불편감, 체온 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Use of Web-Based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atients following Gastrectomy: Effects on Body Temperature, Shivering, Perceived Thermal Comfort, and Satisfaction with Temperature Management)

  • 홍성정;이은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2-122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body temperature, shivering, and perceived thermal comfort of web-based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for 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y. Methods: Eighty patients scheduled for gastrectomy were recruited and assigned to the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 by sequential order. Before collecting data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on evidence-based guidelines was provided to the nurses as well anesthesiologist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repeated measured ANOV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body temperature from the induction of anesthesia until four hours after surger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levels of thermal comfort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thermal manage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Conclusion: Use of evidence-based guidelines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body temperature, lowering sensitivity to shivering, and promoting perceived thermal comfort. Therefore, adoption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s in nursing practice is recommended.

증강현실을 이용한 대학 e-Learning 실습교육 (The E-Learning for Practice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n the College Education)

  • 이기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443-476
    • /
    • 2015
  • 미술 디자인계열 학과를 개설한 대학의 이러닝 강의는 실습중심의 전공 교과목조차 대부분 이론중심 강의로 운영되고 있다. 심지어 완전 사이버교육을 제공하는 사이버대학교들 조차 실습과목에 대한 사이버학습 운영에 많은 어려움과 한계점을 토로하면서 이론위주로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사이버대학교들이 이러한 실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특강형식으로 일정기간 오프라인에서의 실습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학습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갖게 되는 학생들의 중도탈락 비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이러닝 환경에서 실습이 필요한 과목의 효율적인 이러닝 실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증강현실 기반의 실습교육이 기존 강의실 기반의 실습교육에 비해 어느 정도의 학업성취도를 이루어 내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년제 일반대학교 디자인학부 1학년 84명을 선정하였으며, 3개 분반으로 나뉘어진 전공실습 수업 중 1개 분반에서 증강현실 기반 이러닝 수업을, 2개 분반에서는 강의실기반 실습수업을 각 7주간 처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이러닝 환경에서 증강현실 기반의 실습수업은 강의실 기반 실습수업보다 학업성취도 면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학습 흥미도에 있어서는 증강현실기반의 실습이 수업자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학습몰입에 있어서 증강현실기반의 실습수업 집단이 더 높은 수준의 몰입을 보였다. 본 연구가 실제 대학교육의 정규과정에서 수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연구결과는 증강현실기반의 전공 실습교육이 기존의 이론중심 이러닝 강의나 이러닝 환경이지만 별도로 강의실에서 실습을 진행했던 대학들의 수업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수업방법임을 시사한다.

수학교육연구의 이론과 현장의 실제사이의 간격 개선을 위한 방향탐색: Cobb 연구를 중심으로 (Finding the Way of Unifying the Theory and the Prac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Cobb's Research)

  • 이창연;주홍연;고상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709-726
    • /
    • 2014
  •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국외연구에서 지난 삼십 년간 활발히 인용되고 있는 P. Cobb의 연구를 주목하여 살펴봄으로써 그가 이루어낸 연구의 성과와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이론과 실제의 간격을 줄이고자 시도되었던 그의 이론적 관점과 연구 방법을 심도 있게 고찰하였고, 그가 끼친 국내 수학교육연구의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Cobb은 급진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확장과 통합을 시도하였는데, 발현이론과 상징적 상호작용을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포함하였다. 또한 사회적 규범, 사회수학적 규범, 교실 수학적 실행의 해석적 틀을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적 관점에서의 수학교실을 분석하면서 학습 기회와 정체성을 언급하였다. Cobb은 설계실험을 활용하여 실용적인 이론 개발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그의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설계실험의 정의와 특징, 원리, 과정, 실제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내 수학교육연구에는 Cobb의 이론과 연구방법이 끼친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음을 인지하면서 앞으로 현장에 실제와 이론이 잘 통합될 수 있는 방안으로 활발히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기능적 활동의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al Practice for Performing of Functional Activities to Unilateral Neglect and ADL in Person With Stroke)

  • 최유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79-3887
    • /
    • 2009
  • 본 연구는 손상된 사지의 기능적 활동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는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18회로 구성하였으며, 기초선 과정이 5회, 상상연습을 시행한 중재 과정이 10회, 기초선 회귀 과정은 중재 과정을 마친 2주 뒤에 3회를 측정하였다. 상상연습은 3개의 기능적인 활동(옷 입기, 화장품을 사용하여 화장한 뒤 정리하기, 옷을 개기)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 활동에 대해서 5분씩, 1일 총 15분을 상상하도록 하였다. 편측무시는 읽기 검사, 쓰기 검사, Baking Tray Tas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COPM(Canada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상상연습 후 편측무시 검사의 점수가 모두 감소되었고,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검사 점수도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감소시키고,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제작을 바탕으로 한 실무 중심의 교육의 환경과 그 효과에 따른 실무 중심의 효율적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Discharge Based on Practice Based on The Environment and Effect of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Video Production)

  • 진승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35-143
    • /
    • 2019
  • 본 연구는 영화 현장에 실습 중심의 대학 교육의 현황과 그에 대한 환경을 분석하고 수요자인 학생의 만족도를 상황 분석 차원에 조사 분석한 후, 새로운 또는 개선된 실무 중심 실습 교육의 효과적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최근 학령인구의 급격히 감소하는 교육 상황에서 주입식 교육의 새로운 돌파구의 일환으로 예술 교육의 도입, 현장 자율 학습, 실무 중심의 실험실습 등의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트렌드에 비해 실무 교육과 창의적인 교육의 프로그램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 논문은 영화 영상 제작에서 나타는 제작 실습을 중심으로 수요자인 학생들의 만족 패턴과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연구하여 패러다임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패러다임 구축을 통하여 교육의 효과적인 발전 방안을 분석, 연구, 돌출하고 그 방안을 토대로 영상 제작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 활용의 실천력을 향상시키는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ICT for Enhancing 'Ability to Put Information Literacy into Practice')

  • 권지영;권보섭;송희헌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01-110
    • /
    • 2004
  • 현재의 ICT 활용 교육은 소양 교육에 초점을 두고 단순히 정보통신의 기능을 습득하는 기술적인 면에 치우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형은 기존의 교수-학습 유형별 ICT 활용 모형들에 대해 정보활용의 실천력을 조사하고 분석한 다음,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질적 기준이 교수-학습 모형에 균형있게 반영되도록 하였다. 적용 결과, 정보 활용의 실천력을 질적으로 평가해 주는 6개 항목 중 5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