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ercise participation typ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의 운동참여유형에 따른 감성조명의 인식: 운동과 감성조명의 융합적 접근 (Recognition of Emotional ligh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exercise participation of Fitness center users: Convergence approach of exercise and emotional lighting)

  • 조건상;이은석;진상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81-39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의 운동참여유형에 따른 감성조명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경인지역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 색채유형은 오세민과 곽영신(2015)의 연구에서 사용한 색채계열을 사용하였으며, 색채 인식은 이복신(1997)의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형용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23.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과 독립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피트니스 이용자의 감성조명 색채선호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둘째, 피트니스 이용자의 감성조명 색채별 인식의 차이는 성별, 연령에서 색채별 부분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트니스 이용자의 운동참여유형에 따른 감성조명 색채 인식의 차이에서도 각 색채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 차단, 과제 유형, 및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정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sual Block, Task Type, and Participation in an Exercise Program on Static Balance in the Elderly)

  • 우영근;이충휘;조상현;권혁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visual block (eyes open or closed), mental task type, and participation in an exercise program on static balance in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34 elderly (>65 years old) residents of a social welfare institute in Gyeonggi-do. We measured the following variables. Berg balance scal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balance performance monitor (sway area, path, and maximal sway velocity), age, weight, height and whether the subject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Scores for the Berg balance scale and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were evaluated to assess static balance ability either alone (single task paradigm) or while performing a mental task (dual task paradigm). Static balance variables that were measured included sway area, path, and maximal sway velocity. Each test was repeated three times.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static balance ability. For the dual task paradigm, static balance was affected by whether the subject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The Berg balance scale score for subjects with their eyes open was affected by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while this variable in addition to the height and weight of subjects were determining variables in subjects with their eyes closed. As a result, whether subjects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affected their static balance irrespective of whether their eyes open or closed. Therefore, regular exercise is recommended for elderly people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ic and dynamic balance while performing mental tasks such as cognition and attention.

  • PDF

폐경 후 여성의 참여 동기 및 성공적 노화, 건강행위, 우울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Motives, Successful Aging, Health Behavior and Depression in Women after Menopause)

  • 양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99-508
    • /
    • 2020
  •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이후 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돕고 우울감을 낮추는 자가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대상자의 참여 동기, 성공적 노화 수준, 건강행위 정도와 우울감 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폐경기 이후 여성 252명을 대상으로 빈도, 백분율 및 일원분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수준 차이는 건강수준, 운동 종류, 운동 도움 여부, 거주지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행위 수준과 우울감의 수준은 연령, 건강수준, 운동 종류, 운동 수행 기간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울감의 수준은 동거가족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운동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 건강행동 간은 상관계수 .001 수준에서, 우울감과 건강행동 간은 상관계수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폐경기 이후 여성의 자가 관리 운동 프로그램 개발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성공적 노화를 돕고 우울감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on Body Balance and Record of Archers

  • Kim, Dong-Kuk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the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affected body balance and record of archers. This study aim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upright body type exercise, on this basis, in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archery players. Method: A total of 14 archers (7 men and 7 women) in B Metropolitan City who had ${\geq}4years$ of career in archery and were given explanation of its contents and purpose before giving spontaneous consent to the experiment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was implemented thrice a week for 12 weeks, with higher exercise intensity with time. A resistive pressure sensor, Gaitview AFA-50, was used to measure the foot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and analyze quantitative information concerning variation in posture stability and weight shift in dynamic balance of foot plantar pressure in shooting and static balance of plantar pressure with the eyes open and closed and the change in archery record accompanying the change in body balance. Results: As for the differences in foot plantar pressure betwe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c balance of foot plantar pressure with the eyes open,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alpha}=.05$ significance level in static balance of foot plantar pressure with the eyes closed or in dynamic balance of foot plantar pressure in shooting.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alpha}=.05$ significance level in archery record. Conclusion: The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foot plantar pressure by allowing archers to experience less body sway and physical imbalance in shooting with closed eyes and positive effects on archery record. Thus, the program is expected to help archers correct their posture and perform better.

성별과 운동참여 형태에 따른 노인의 우울증과 인지기능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types in the elderly)

  • 신정택;권상현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107-12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과 운동참여 형태에 따라 노인의 우울증과 인지기능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7년에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만65세 이상의 노인 10,059명이다. 연구대상의 우울증은 SGDS를 활용하여 측정하였고 인지기능은 MMSE-DS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이원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우울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주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별과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우울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우울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과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인지기능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과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인지기능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별과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인지기능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남성과 여성 모두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우울증 감소 및 인지기능 향상을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운동 참여시 여성의 인지기능의 향상 폭이 남성에 비해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신체활동유형에 따른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Type of the Elderly)

  • 최재원;천명업;강성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31-444
    • /
    • 2017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148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인구학적요인과 운동참여 유무에 따른 인지기능과 우울, 삶의 질의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 선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를 측정하였고, 심리학적 변인으로는 우울과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연령, 학력, 건강인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에 따라서는 운동에 참여한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운동경력, 운동빈도, 운동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삶의 질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들의 풍요로운 노후를 영위하기 위해 노인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규칙적이고 다양한 운동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의 필요성이 있다.

The Effects of the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on Foot Plantar Pressure of Archers

  • Kim, Dong-Kuk;Lee, Joong-Sook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5-292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muscle fatigue and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walking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ment of custom-fitted outdoor walking shoes. The study analyzed an upright body exercise program using spine stabilization technique to determine the effect on foot plantar pressure in archer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upright body exercise, and develop a new, effective, and efficient training program. Method: A 12-week upright body exercise program was evaluated for the effect on plantar pressure in archers. Ten prize-winning archers (3 men, 7 women) in B metropolitan city, each with ${\geq}10years$ of experience, were given an explanation of the content and purpose of the program, and provided informed consent. Upright body exercise was performed 3 times a week for 12 weeks. A resistive pressure sensor was used to measure foot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and analyz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variation in postural stability and weight shifting in dynamic balance during shooting, as well as plantar pressure in static balance with the eyes open and clos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t plantar pressur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exercise progra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t plantar pressure in static balance with the eyes open or closed, or in foot plantar pressure in dynamic balance during shooting. Conclusion: An upright body exercis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foot plantar pressure i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archers by reducing body sway and physical imbalance during shooting and with eyes closed. This program is expected to help archers improve their posture and psychological state, and thereby improve performance.

Factors Associated with Organized and Opportunistic Cancer Screening: Result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7-2011

  • Kang, Minsun;Yoo, Ki-Bong;Park, Eun-Cheol;Kwon, Kisung;Kim, Gaeun;Kim, Doo Ree;Kwon, Jeoung 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279-3286
    • /
    • 2014
  • Background: Cancer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Korea. To reduce cancer incidence, the Korean National Cancer Center (KNCC) has been expanding its organized cancer screening program. In addition, there are opportunistic screening programs that can be chosen by individuals or their healthcare provi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organized and opportunistic cancer screening programs, with a particular focus on socioeconomic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cross-sectional nationwide study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rom 2007 to 2011. The study included information from 9,708 men and 12,739 women aged 19 years or over.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djusting for age, year of data collection, residential region, current smoking status, current alcohol consumption status, exercise, marriage status, job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stress level, BMI, limitation of activities, cancer history, health insurance type, and private insurance statu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and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Results: In terms of education level, disparities in attendance were observed only for the opportunistic screening program. In contrast,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level and participation in organized screening. In terms of economic status, disparities in opportunistic screening participation were observed at all income levels, but disparities in organized screening participation were observed only at the highest income level. Conclusions: Our findings reveal that socioeconomic factors, including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statu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organized cancer screening, except at the highest level of income.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 Adolescent)

  • 목형균;조규희;이승철;이준협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1-112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PA) and subjective well-being.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from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3 containing 36,655 and 35,780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Study variables included PA,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team sports and subjective well-being. Control variables were school type, socio-economic status, level of parent education, living with parent, academic performance, delinquent behaviors,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For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Among boys, after adjusting for control variables, PA (past 7 days 0 time reference group vs. over 4 times: OR 1.306), physical education class (past 7 days 0 time reference group vs. over 3 times: OR 1.140), and team sports (no team reference group vs. 2 team: OR 1.206) were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mong girls, control variables were adjusted. PA (past 7 days 0 time reference group vs over 4 times: OR 1.244), physical education class (past 7 days 0 time reference group vs. over 3 times: OR 1.161), and team sports (no team reference group vs. 2 team: OR 1.181) were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may help adolescent promote their life satisfaction. Thus, education experts should develop various exercise curriculums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의 신체구성 및 신체활동 참여 실태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Body Composition in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Survivor)

  • 이미경;민지희;전용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465-472
    • /
    • 2016
  • 본 연구는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암 경험자를 대상으로 신체구성과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고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활동 참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4년 6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서울 시내 소재 Y대학병원 암예방센터에 방문한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지 4년이 지난 암경험자 354명(위암: 169명, 대장암: 1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활동량은 국제신체활동설문지(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의 한글판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추가로 주당 걷기운동량과 근력운동 횟수를 설문하였다. 연구 결과 대장암 경험자가 위암 경험자보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혈압 및 당뇨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강도 신체활동 150분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 75분 이상 참여하는 위암 경험자는 41.4%, 대장암 경험자는 26.5%로 위암 경험자의 신체활동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주일에 2회 이상 근력운동에 참여한 환자는 전체 평균 13.6%로 나타났다.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 중 남자가 여자보다 신체활동참여율이 높았고, 65세 미만이 65세 이상 그룹보다 신체활동량이 높게 나타나고 좌식생활은 낮게 나타났다. 대장암과 위암 경험자들의 신체활동 참여율을 증진시키지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특히 여성과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율의 증진에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