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types in the elderly

성별과 운동참여 형태에 따른 노인의 우울증과 인지기능

  • Received : 2020.12.02
  • Accepted : 2021.01.1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types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The data of 10,059 elderly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survey on the welfare and living conditions of elderly individuals in 2017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SGDS and the MMES-DS were used to measure their level of depression and level of cognitive fun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two-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on depress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is not significant. Second, the main effect of gender on depress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ain effect of exercise frequency on depression a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frequency are not significant. Third,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hours on depress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hours is not significant. Fourth,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on cognitive fun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is significant. Fifth,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frequency on cognitive fun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frequency is not significant. Lastly,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hours on cognitive fun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hours is significant. In conclusion, participating in exercise has shown to be beneficial for de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and increasing level of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of both genders. An additional discovery made through this research is that women's level of cognitive function improves larger than men's when they participate in exercise.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과 운동참여 형태에 따라 노인의 우울증과 인지기능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7년에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만65세 이상의 노인 10,059명이다. 연구대상의 우울증은 SGDS를 활용하여 측정하였고 인지기능은 MMSE-DS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이원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우울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주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별과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우울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우울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과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인지기능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과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인지기능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별과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인지기능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남성과 여성 모두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우울증 감소 및 인지기능 향상을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운동 참여시 여성의 인지기능의 향상 폭이 남성에 비해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영, 지용석, 김명화, 김영표. (2009). 운동빈도에 따른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우울증의 차이.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9(2), 114-121.
  2. 권민혁. (2018). 노인의 운동과 인지기능 및 우울증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3(4), 335-345. doi.org/10.21097/ksw.2018.11.13.4.335
  3. 권석만. (200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권오정. (2020). 코로나19에 의한 노인 운동행동 변화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31(2), 123-134. doi.org/10.14385/kssp.31.2.123
  5. 고정은, 이선혜. (2012).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322-351.
  6. 김대훈, 서동녘. (2020). 우울증 예방을 위한 노인 운동프로그램 문헌고찰.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7(4), 848-859. doi.org/10.12925/jkocs.2020.37.4.848
  7. 김동배, 손의성. (2005). 한국 노인의 우울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25(4), 167-187.
  8. 김미령. (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9. 김민석, 전희주, 김호일. (2019). 대학생의 수면의 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0(4), 839-850. doi.org/10.7465/jkdi.2019.30.4.839
  10. 김범경. (2003). 운동여부에 따른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상관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1. 김아름, 최종인. (2017). 노인의 수중운동 참여가 운동성서, 심리적 행복감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3). 241-251.
  12. 김영욱, 오수학. (2017). 운동중재가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의 메타분석적 접근.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2(1), 131-147.
  13. 김찬수, 김현태. (2020).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기능적 체력 및 인지기능,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사이언스, 38(1), 169-179.
  14. 김찬회, 이중원, 한상인. (2013). 유형별 운동수행이 여성노인의 노화호르몬 및 우울증 관련 인자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8(4), 373-386.
  15. 민유선, 김병수. (2017). 운동이 기분 및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및 임상적 적용: 신경가소성의 관점에서. 생물치료정신의학, 23(3), 138-146.
  16. 박우권, 김성렬. (2019). 탄성밴드를 이용한 노인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7(4), 53-59. doi.org/10.15268/ksim.2019.7.4.053
  17. 배종진, 박현철. (2014). 운동이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3), 549-557.
  18. 변영순. (2006). 노인의 성별에 따른 우울정도와 여가활동참여도. 노인간호학회지, 8(2), 128-135.
  19. 손준호, 류호상. (2010). 장기간 복합운동 참여에 따른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4), 183-195.
  20. 신민영. (2020). 노년기 우울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육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458-469. https://doi.org/10.5392/JKCA.2020.20.10.458
  21. 신희경. (2018). 노인의 치매 및 우울증척도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체력수준관의 상관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대학원.
  22. 연분홍, 이현주. (2017). 아쿠아로빅 운동이 노인여성의 알츠하이머 치매관련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1), 983-991.
  23. 오병훈. (2006). 노인우울의 진단과 치료. 임상노인의학회지, 7(1), 83-92.
  24. 원종순, 이혜련. (2019).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수면과 우울을 중심으로. 문화기술의융합, 5(2), 287-297. doi.org/10.17703/JCCT.2019.5.2.287
  25. 유미경, 이기표. (2018). 여가활동 참여노인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7(3), 467-477. doi.org/10.35159/kjss.2018.06.27.2.467
  26. 이상욱. (2000). 스포츠생리학: 25주간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및 복합운동이 50대 남성의 노화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39(4), 576-588.
  27. 이수애, 이경미. (2002).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209-226.
  28. 이숙자. (2000).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의 적용효과. 한국간호학회, 30(3), 776-790.
  29. 이진경. (2020, 12월 11일). 노인인구 급증에 병원비 '눈덩이'...건강한 고령화로 줄여야[연중기획-인구절벽 뛰어넘자].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201103520911
  30. 이영희. (2011). 성별에 따른 노인의 우울 차이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6(2), 181-192.
  31. 이윤구, 윤인애. (2018). 운동중독은 인간의 삶에 유익한가?: 메타분석적 접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9(1), 57-68. doi.org/10.14385/KSSP.29.1.57
  32. 이현주, 강상경. (2011a). 노년기 인지기능과 우울증상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2), 179-203. https://doi.org/10.16999/KASWS.2011.42.2.179
  33. 이현주, 강상경. (2011b). 노년기 인지기능의 성별 및 연령차이.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37, 255-278.
  34. 장휘양, 이예진, 김은영, 장상우. (2013). 24주간 야외운동기구를 이용한 노인의 신체활동이 혈액변인,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4), 1113-1124.
  35. 정복례, 한지영. (2016). 운동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5), 1375-1387.
  36. 정은주, 최기홍. (2013). 노년기 인지기능과 우울에 관한 연구: 성별과 결혼상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1), 17-31. https://doi.org/10.18205/KPA.2013.18.1.002
  37. 조근종, 임인수, 김진항. (2000). 스포츠생리학: 과도한 운동과 수면박탈이 운동수행력과 수면 중 뇌파 및 스프레스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2), 434-444.
  38. 조맹제. (2009). 국내 치매 노인 유병률 현황과 위험요인. 보건복지부포럼, 2009(10), 43-48.
  39. 차준태, 지용석. (2004). 규칙적인 운동이 노인의 심혈관계 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4), 331-340.
  40. 천지언. (2014). 16주간의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치매관련인자, 우울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41. 최남연, 최소영, 조혜진. (1998). 폐경기 여성의 폐경 지식 정도와 폐경관리 실태조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4(3), 402-415.
  42. 통계청. (2020). 고령자통계. http://kostat.go.kr
  43. 한진희, 이재은, 박정환, 이상희, 강현식. (2014).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노인의 체력과 우울증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3(4), 375-385. https://doi.org/10.15857/KSEP.2014.23.4.375
  44. Cotman, C. W., & Berchtold, N. C. (2002). Exercise: a behavioral intervention to enhance brain health and plasticity. Trends in neurosciences, 25(6), 295-301. https://doi.org/10.1016/S0166-2236(02)02143-4
  45. Davey, D. A. (2013). Alzheimer's disease, dementia,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menopause: a 'window of opportunity'?. Women's health, 9(3), 279-290. doi.org/10.2217/WHE.13.22
  46. Gebretsadik, M., Jayaprabhu, S., & Grossberg, G. T. (2006). Mood disorders in the elderly. Medical Clinics, 90(5), 789-805. doi.org/10.1016/j.mcna.2006.05.015
  47. Kim, N. J., Kim, S. A., & Park, W. S. (2017).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mental health i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e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42(4), 244-253.
  48. Kim, S. H., Kin, H. B., Jang, M. H., Lim, B. V., Kim, Y. J., Kim, Y. P., Kim, S. S., Kim, E. H., & Kim, C. J. (2002). Treadmill exercise increases cell proliferation without altering of apoptosis in dentate gyrus of Sprague-Dawley rats. Life Science, 71(11), 1331-1340. doi.org/10.1016/S0024-3205(02)01849-0
  49. Mills, T. L., & Henretta, J. C. (2001). Racial, ethnic, and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sychosocial distress among older Americans. Research on Aging, 23(2), 131-152. doi.org/10.1177/0164027501232001
  50. Ownby, R. L., Crocco, E., Acevedo, A., John, V., & Loewenstein, D. (2006). Depression and risk for Alzheimer disease: systemetic review,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analysi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3(5), 530-538. doi.org/10.1001/archpsyc.63.5.530
  51. Rejeski, W. J., Gregg, E., Thompson, A., & Berry, M. (1991). The effects of varying doses of acute aerobic exercise on psycho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in highly trained cyclists.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3(2), 188-199. doi.org/10.1123/jsep.13.2.188
  52. Salthouse, T. A. (2009). When does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begin? Neurobiology of aging, 30(4), 507-514. doi.org/10.1016/j.neurobiolaging.2008.09.023
  53. Steiner, M. (2011). Serotonin,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sex-specific issues. Acta physiologica, 203(1), 253-258. doi.org/10.1111/j.1748-1716.2010.02236.x
  54. Weber, M. T., Maki, P. M., & MacDermott, M. P. (2014). Congnition and mood in perimenopau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142, 90-98. doi.org/10.1016/j.jsbmb.2013.06.001
  55. Wilson, R. S., De Leon, C. M., Bennett, D. A., Bienias, J. L., & Evans, D. A. (2004).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declin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75(1), 126-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