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indicator

검색결과 928건 처리시간 0.03초

청년층 고용증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사례연구 : 청년취업아카데미사업의 성과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for the Youth Employment Enhancement : Focused on Analysis of Performance Indicator in Youth Employment Academy)

  • 김국원;강봉준;이우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23-127
    • /
    • 2013
  • 청년취업아카데미 사업은 대학 졸업예정자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산업계 주도의 맞춤형 취업역량향상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산업현장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청년실업의 구조적 수급불일치 해소를 목적으로 한다. 이 사업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기업맞춤식 교육에 있어서 M-to-M 모델을 적용하여 여러 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업종별 공통기술을 교육한다는 점이다. 청년 취업아카데미 사업의 운영기관은 사업시작 후 1년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의 최종 취업률에 의해 평가를 받으므로 중간평가의 의미를 가지는 운영기관 성과지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영기관 성과지표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성과지표와 성과평가 결과, 성과평가 결과와 최종 취업률 그리고 성과지표와 최종 취업률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e-Navigation 서비스를 위한 충돌사고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a Collision Accident Evaluation Indicator for an e-Navigation Service)

  • 김정호;배석한;장은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2
    • /
    • 2021
  • IMO에서는 선박운항기술에 ICT기술을 융합하여 해양사고를 예방하는 e-Navigation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해양사고의 취약계층인 어선 및 연안을 항해하는 소형선박을 대상으로 한국형 e-Navigation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형 e-Navigation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현재까지 진행된 개발성과를 평가하고 개발 방향성을 재정립할 수 있도록 개발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한 해양사고인 충돌사고를 중심으로 e-Navigation 서비스의 개발목표에 맞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CA기법과 FTA 기법을 활용해 해상 충돌사고 발생 근본원인을 도출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e-Navigation 서비스를 위한 충돌사고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해당지표는 e-Navigation의 개발지표 및 충돌사고 분석을 위한 지표로 활용되어 해양사고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범죄피해경험율과 범죄로부터의 안전성(safety) 평가 지표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Experienced Crime Victimization Rate and the Evaluation Indicator for Residents' Safety of Outdoor Spaces from Crime in Multi-Family Housing)

  • 이유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73-8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experienced crime victimization rate and the evaluation indicator of residents' safety of outdoor spaces from crime in multi-family housing. Additionally this paper inte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sidents' satisfaction about safety and the evaluation indicator of residents' safety of outdoor spaces. For that purpose, 9 Multi-Family Housing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o perform a survey against 349 residents during May 26-29, 2006. The SPSS program was used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ranged from 1 to 5. Scale of 5 being most satisfied while 1 being most dissatis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Most occurred crime were auto theft and damages, poster matter theft, housebreaking. 2) The crime rate is higher in outdoor than in indoor. 3) This study prov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ents' satisfaction about housing safety and most indicators except the number of households etc. 4) By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t makes clear that the number of apartment building, the visibility of Green Space, the location of pedestrian etc. have relation with the residents' satisfaction about housing safety.

사서직무만족도 평가요인의 변화추이 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and Trends in Evaluation Criteria for Librarians' Job Satisfaction)

  • 도혜진;김현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9-252
    • /
    • 2017
  • 국내에서 사서직무만족도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직무만족 평가지표 자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부분의 직무만족도 평가는 오래전에 개발된 국외의 지표를 사용하고 있기에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사서 직무만족도에 대한 68편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최근으로부터 10년씩 기간을 구분하고 평가요인의 시대별 흐름과 관종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대별 흐름에는 평가요인의 변화가 있었으며 도서관 유형 간의 차이는 미미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나아가 요인, 문항, 현재 모두 반영될 수 있는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12개의 평가요인과 39개의 설문문항으로 구성된 사서직무만족에 대한 표준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지방의제 21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평가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odel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Local Agenda 21)

  • 우형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2호
    • /
    • pp.1205-1220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which can analyse local agenda 21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from the making process to the designed contents. The evaluation model was devis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local agenda 21 and designing the evaluation system composed of evaluation domains, related indicators and scales. The evaluation system was carefully constructed based on planning theories and the discussion and agreement of specialists regarding local agenda 21. This model has three evaluation domains of process, content, and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with different weighting values. Each domain contains large indicators, medium indicators and small indicators. Each indicator has different weighting value according to its importance. Basically, each small indicator was scored by 3 or 5 point scale. This evaluation system can not only analyse local agenda 21 quantitatively, but also find out good points, problems, and limits of various phase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local agenda 21.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평가지표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학교시설의 사후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 Analysis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 Focused on Post Evaluation of the Education Facilities case in Seoul -)

  • 문선기;신은경;김세용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1-52
    • /
    • 2013
  • In the current condition of seeking eco-friendly development,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can reduce environment burden that is able to be arose in life cycles of buildings. Moreover, it is a great help to induce to constructing pleasant environment. The ripple effect that also improves saving of energy and resources of the whole country, and green-house gases reduction effect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of other buildings can be expected by promoting eco-friendly education facilities which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public buildings in comparison with other buildings. In this study, analysis of old and new indicators' contrast and contents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nd post evaluation of education facilities and interviews on authorities were proceeded for improving evaluation indicator of each item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s a result, it analyzed problems in terms of institu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and drew implications accordingly. In addition,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proposes improvements of substantively applicable indicators with high applicability.

요인분석기법을 활용한 공공하수처리시설 성과평가 지표의 구성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validity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 by using factor analysis)

  • 윤여천;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3-590
    • /
    • 2015
  • Evaluation and comparison for the performance on the contracting-out became possibl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PIs) in 2012 in Korea, And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companies are utilizing them as evaluation data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contracting-out. Several revisions on performance indicator were carried out by expert group on contents validity of PIs, But the review of the composition validity of PIs was not sufficient.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distinction ability and composition validity of PIs is evaluated by statistical method. From the results, Improvement of indicator is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indicators to enhance the compostion validity of indicators related with operation, sludge and water reuse.

국가상 혁신기업선정을 위한 정성지표의 개발 (Qualitative Indicator Development of National Award for Innovation Leading Company)

  • 이재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8-57
    • /
    • 2020
  • 본 연구는 정부에서 수여하는 국가 상(償)에 도전하는 혁신선도기업을 평가 및 선정하기 위한 정성지표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혁신선도기업을 지나치게 계량적으로 평가함에 따라 제품이나 기술, 서비스 등의 혁신성이나 가치 등이 평가가 절하되는 측면을 보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기도 하다. 기존의 국가상 평가지표는 장점도 있지만 평가 항목이 너무 많아 혁신선도기업의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연구의 접근방법은 선행연구와 TF토의를 바탕으로 정성지표개발을 위한 항목을 선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기본적으로 투입-과정-산출-효과로 이어지는 일련의 흐름으로 지표항목의 체계를 갖추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창의성, 시스템우수성, 고객가치, 기업성과, 파급효과 등의 5개 정성 지표항목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5개 지표항목에 대해서는 개념적 정의와 평가시 주안점 등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수준평가와 ADLI 접근방식도 제시하였다. 부록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성지표를 활용하여 실제기업을 정성적, 정량적 양식에 따라 평가한 사례도 수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혁신선도기업을 정성적인 접근방식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어, 평가자의 수준과 관점에 따라 평가결과가 변동되는 가능성을 갖는 한계점이 내포하고 있다. 향후에는 정성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후보지표들에 대한 세부연구와 혼합지표(정량, 정성)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전공교육과정 점검 지표 개발 및 타당화 - H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s and Validity of Major Course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H University)

  • 최윤희;윤린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2-4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to establishing the education system, focusing the curriculum in each department of H University for quality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The indicator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ases studies of other universities, and the validation of them was confirmed by the Delphi survey method. The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by two times, and 16 and 15 people participated for the first and second survey, respectively. We derived the following major results through developing the indicator. First, in order to conduct an education inspection of major courses, , , , , and are required. Second, the checking factors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the contents in each stage, and can be regarded as a core activity in the curriculum. Accordingly, the checking factors become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icator to establishing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indicator can be an expression method that represents the basis data for determining the factors to be evaluated.

에너지절약 홍보활동 성과 평가지수 산정 (A Study on Scores of Evaluation Indicators to Energy Saving PR Activities)

  • 임기추
    • 에너지공학
    • /
    • 제26권3호
    • /
    • pp.1-10
    • /
    • 2017
  •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에너지절약 홍보활동 성과 평가지수를 산출하였다. 4개 지수 중 홍보내용 지수가 75.8점(5점척도 기준 3.79점)으로 가장 높고, 홍보매체 지수는 74.4점(3.72), 홍보효과 지수는 69.6점(3.48)이며, 홍보기관 지수는 65.4점(3.27)으로 가장 낮게 나왔다. 그리고 이들 지수들의 가중 평균 값인 에너지절약 홍보활동성과 평가지수는 71.6점(3.58점)인 것으로 산정되었다. 향후 홍보활동의 성과 분석을 위해 전력사용량이나 자동차 연료사용량 등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의 개발과 평가가 필요하다. 그리고 평가지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풀링(pooling)된 일정 표본 집단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표본 풀을 구성하고 유지할 필요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