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dium bromid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산 Agrobacterium plasmid의 유전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Genetic Characterization of Plasmids of Agrobacterium Species Isolated in Korea)

  • 김정희;구용범;이기영;정재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41-48
    • /
    • 1984
  • 한국형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분리 및 tumor inducing ($T_1$) plasmid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grobacterium군은 사과나무($A_1-A_3$), 미류나무($W_1{\sim}W_6$), 은사씨나무($P_1-P_3$) 및 장미($R_1$)의 crown gall tumor에서 도합 13종을 분리하였으며 각 군의 plasmid를 관찰한 결과 ATCC 15955보다 $P_1$$A_2$가 크기가 컸으며 $W_2$, $W_3$, $W_6$$P_3$는 작았으며 각균의 tumor 유도는 해바라기에 ATCC 15955와 Korean type $W_2$ ($KW_2$)을 접종한 것에서만 각각 접종 4주 및 6주만에 crown gall을 관찰하였다. 아울러 두균종의 $T_1$ plasmid($pT_1$)를 정제하여 몇종의 게한효소를 처리 하였으며 $pT_i$ ATCC 15955와 $pT_1KW_2$는 EcoR I 처리로 25개 및 27개의 band를, Hind III로 23개와 21개, BamH I으로 각각 20개 및 Hpa I으로 12개 및 27개의 band를 관찰하였으며 크기는 $pT_i$ ATCC 15955가 200 kbases(kb)로 $pT_1KW_2$가 87 kb로 관찰 되었다. 아울러 cctopine은 $W_1-W_6$$P_1-P_3$균에 의한 tumor조직에서 관찰 되었고 이들균을 octopine type균으로 사료 되었다.

  • PDF

팔물탕합화적환(八珍湯合化積丸)의 항종양(抗腫瘍)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Antitumor Effects of Paljin-tang hab Hwajuck-hwan)

  • 송봉길;이건업;원진희;문구;문석재;소홍섭;박래길;김성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5-73
    • /
    • 2000
  • Objectives : The effects of cotreatment of adriamycin and ethanol extract of herb (Palgin-tang hab Hwajuck-hwan a traditional medicine for cancer treatment in oriental medicine) on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were investigated in human liver origin cell lines, Chang. Methods : Chang(ATCC) liver cells were cultured in RPMI-1640(Gibco SRL Co, Gaithersburg, MD) badge including 10% fetal bovine serum. Chang liver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from 10 to $0.16{\mu}l$) of adriamycin and herb extract(from 500 to $31.25{\mu}l$) After 48h later, the cells were tested for viability by Crystal violet staining assay. Adriamycin and Herb extract induced ladder pattern of DNA fragmentation in Chang cells. Genomic DNA was isolated and separated on 1.5% agarose gels. The DNA was stained with ethidium bromide and visualized under UV light. Results : The death of Chang cells was synergistically induced by the cotreatment of adriamycin and ethanol extract of herb. In addition, the cotreatment-induced cell death of Chang cells was mediated by apoptotic death signal processes. The phosphotransferase activity of JNK1 remained in a basal level in Chang cells which was treated individually with the adriamycin and ethanol extract of herb. However, it was markedly increased in Chang cells which was cotreated with adriamycin and ethanol extract of herb.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Fas and FasL was markedly induced by the cotreatment of adriamycin and herb extract. For a while, the expression of Sax was a eminently increased by the ethanol extract of herb. However, Scl2 expression was not affected by the individual or cotreatment of adriamycin and herb extract.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otreatment of adriamycin aM ethanol extract of herb induces synergistic apoptotis of human liver origin Chang cells via the upregulation of JNK, Fas, FasL and Bax.

  • PDF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염 표지 분석 (Identification of Chromosomal Band Markers of the Korean Native Chicken)

  • 백규흠;이철영;상병돈;최철환;김학규;손시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1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유 재래 가축들의 유전정보와 유전학적 개량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고분염 분석(high-resolution banding) 방법에 의한 한국재래계의 염색체 분염 표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공시된 한국재래계로서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계통화 시킨 황갈색 및 적갈색 계통으로 이들이 생산한 수정란의 초기 배자를 이용하여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닭의 초기배자에 EtBr 및 colchicine을 처리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고정도 염색체를 획득하였다. 한국재래계의 GTG-banding 결과 모든 상동염색체간에 뚜렷하고 특징적인 band 양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Leghorn 및 국제표준핵형(ISSAK)과 비교시 염색체의 형태적 양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대표적 landmark간에도 거의 일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재래계의 대형염색체에서 더 많은 G-band의 분리 양상을 보이고 특히 1번 및 Z 염색체에서 특징적 분리 양상의 차이를 보였다. 한국재래계의 C-banding 분석에서는 세포별 heterochromatin의 다형성을 보이기는 하나 대부분의 염색체의 동원체와 말단부위에서 C- band가 나타났으며, Z 염색체 장완 말단부와 W 염색체 전체에서는 거의 모든 세포에서 C-band가 출현하였다. 또한 3번 염색체 동원체와 Z 염색체 장완 말단부에서 특징적 다형성을 나타내어 이들 염색체들에서는 상동염색체간 heterochromatin의 이형적 양상(heteromorphic)이 존재함을 밝혔다.

Expression of angiogenin, TGF-${\beta}$, VEGF, APEX and TNF-${\alpha}$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Lee, Ho-Sun;Kim, Kyoung-Won;Kim, Wun-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1호
    • /
    • pp.8-18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the expressions of angiogenin,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human apurinic/apyrimidinic endonuclease(APEX)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were associated with the tumorigenesis of th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OSCC).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samples of OSCC and fifteen normal oral mucosae were obtained to analyze the expression levels of above five factors. mRNA expressions were quantified by the quantitative competitive PCR(QC-PCR) method. After 2% agarose gel electrophoresis stained with ethidium bromide, the concentration of mRNA was calculated by a digital image analysis system. The expression levels of angiogenin, TGF-${\beta}$, VEGF, APEX and TNF-${\alpha}$ were compared by unpaired Student's t-tests between cancer and normal tissues. We analyzed statistically to find the cut-off values that would be useful as diagnostic markers,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very two factors of these five factors by SAS system. Results: All of these five factors (angiogenin: P<0.0037, TGF-${\beta}$: P<0.0001, VEGF: P<0.0102, APEX: P<0.0023, TNF-${\alpha}$: P<0.0074)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SCC. In the analysis to find the cut-off values for the diagnosis, we could not find any value that had a reasonabl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angiogenin and TNF-${\alpha}$, TGF-${\beta}$ and VEGF, TGF-${\beta}$ and APEX, TGF-${\beta}$ and TNF-${\alpha}$, VEGF and APEX, VEGF and TNF-${\alpha}$, APEX and TNF-${\alpha}$.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angiogenin, TGF-${\beta}$, VEGF, APEX and TNF-${\alpha}$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tumorigenesis, but als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might enhance the tumorigenesis of OSCC. We can not find clinical availability for diagnosis.

변형된 DVC법을 이용한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검출 및 정량적 평가 (The Detec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Soil Bacteria Using a Modified Direct Viable Count Method)

  • 황경숙;양희찬;염곡효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1-186
    • /
    • 2003
  •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기존의 직접생균수측정(DVC)법을 변형하여 산림토양의 각 층위에 분포하는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정량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기존의 방법에서 사용된 DNA합성저해제(nalidixic acid; 100${\mu}g$/ml, pipemidic acid; 50 ${\mu}g$/ml, piromidic acid; 50 ${\mu}g$/ml)보다 5배 높은 농도를 사용한 결과 토양세균 군집의 세포분열이 배양24시간까지 분히 억제되어 기존의 DVC법보다 1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얻었다. 토양시료를 제균수로 원심 세척한 경우 DVC는 전균수(TDC)의 약 I% 미만을 나타내어 첨가된 기질의 이용능을 정확히 판정할 수 있었다.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DVC법에 의해 검출된 생균수는 전균수의 18-44%를 나타내었고, 평판법(PC)에 의해 계수된 생균수는 전균수의 1% 미만을 나타내어 DVC법이 평판법에 비해 100-200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평판법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난배양성(VBNC)세균이 토양 내에 다수 존재해 있음으로 판단되었고, DVC법에 의해 난배양성 토양세균을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영양기질로써 통상농도의 NB배지와 NB를 $10^{-2}$로 희석한 DNB배지를 사용하여 DVC법과 평판법에 의한 계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DNB배지에서의 생균수는 NB배지보다 5~10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어 산림토양의 각 층위에 저영양세균(oligotrophic bacteria)이 다수 분포해 있음으로 추정되었다.

천연 DNA와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III)과 의 상호작용 연구 (Study of Interaction of Native DNA with Iron(III)-(2,4-Dihydroxysalophen)chloride)

  • Azani, Mohammad-Reza;Hassanpour, Azin;Bordbar, Abdol-Khalegh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573-5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염화제1철을 2,4-디히드록시살로펜과 조합하여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을 합성하였다. 이 복합체를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IR 분광법으로 분석하였고, 천연의 송아지 흉선 DNA (ct-DNA)와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의 상호작용을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형광분광법, 열변성 분석법, 점성측정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분광학적 적정실험으로 밝힌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과 ct-DNA 사이의 결합상수는 $(1.6{\pm}0.2){\times}10^3\;M^{-1}$이었다. 형광분광분석을으로 브롬화 에티디움의 DNA 결합이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에 의하여 저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저해효과는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의 농도에 따라 선형의 Stern-Volmer 방정식을 따른다. 열변성 실험으로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이 DNA의 녹는점을 약 $4.3^{\circ}C$ 증가시킨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들은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이 대부분 ct-DNA의 큰고랑과 상호작용한다는 모델을 잘 설명하여 준다.

생쥐 초기배아의 Glucose Transporter유전자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Differential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Gene in Mouse Early Embryos)

  • 염혜원;변혜경;송견지;김해권;이호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77-86
    • /
    • 1998
  • The uptake of glucose for metabolism and growth is essential to most animal cells and is mediated by glucose-transporter (GLUT) protei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class of glucose transporter molecules was responsible for uptake of glucose in the mouse early embryo and at which stage the corresponding genes were expressed. In addition, co-culture system with vero cel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ystem on GLUT expression. Two-cell stage embryos were collected from the superovulated ICR female and divided into 3 groups. As a control, embryos were cultured in 0.4% BSA-T6 medium which includes glucose. For the experimental groups, embryos were cultured in either co-culture system with vero cells or glucose-free T6 medium supplemented with 0.4% BSA and pyruvate as an energy substrate. 2-cell to blastocyst stage embryos in those groups were respectively collected into microtubes (50 embryos/tube). Total RNA was extracted and RT-PCR was performed. The products were analysed after staining ethidium bromide by 2% agarose gel electrophoresis. Blastocysts were collected from each group at l20hr after hCG injection. They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 stained with hoechst, and mounted for observation. In control, GLUT1 was expressed from 4-cell to blastocyst. GLUT2 and GLUT3 were expressed in morula and blastocyst. GLUT4 was expressed in all stages. When embryos were cultured in glucose-free medium,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expression of GLUT1, 2 and 3, compared to control. However GLUT4 was not expressed until morular stage. When embryos were co-cultured with vero ce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GLUT1, 2, 3 and 4 compared to control. To determine cell growth of embryos, the average cell number of blastocyst was counted. The cell number of co-culture ($93.8{\pm}3.1$, n=35)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nd glucose-free group ($76.6{\pm}3.8$, n=35 and $68.2{\pm}4.3$, n=30). This study shows that the GLUT genes ar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embryo stage. GLUTs were detectable throughout mouse preimplantation development in control and co-culture groups. However, GLUT4 was not detected from 2- to 8-cell stage but detected from morula stage in glucose-free medium, suggested that GLUT genes are expressed autocrinally in the embryo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glucose as an energy substrate. In addition, co-culture system can increase the cell count of blastocyst but not improve the expression of GLUT. In conclusion, expression of GLUT is dependent on embryo stage in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 PDF

소음성 난청에서의 Mitochondrial DNA A3243G, A1555G, A7445G 돌연변이 (Mitochondrial DNA Mutation (3243A→G,1555A→4G,7445A→G) in Noise-Induced)

  • 홍영습;;이명진;곽기영;황찬호;신동훈;곽종영;이용환;김종민;김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13-919
    • /
    • 2004
  • 본 연구는 소음성 감각신경성난청 환자의 유전적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관련성이 의심되는 mitochondrial DNA의 돌연변이와 소음성 감각신경성난청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말초혈액 백혈구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mtDNA 3243, 1555, 7445부위의 $A{\rightarrow}G$ 돌연변이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mtDNA 3243, 1555, 7445부위 가 포함된 mtDNA fragment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증폭하고 유전자 제한효소로 소화하여 전기영동하고 ethidium bromide 용액으로 염색하여 UV transilluminator에서 관찰하였다. 그리고, PCR 산물을 이용하여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mtDNA 3243, 1555, 7445부 위에서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여 mtDNA 3243, 1555, 7445부위 의 $A{\rightarrow}G$ 돌연변이를 관찰하였다 MtDNA A3243G, A1555G, A7445G의 돌연변이를 관찰한 결과 돌연변이 부위가 포함된 fragment가 소음성 감각신경성난청 환자군, 감각신경성난청 환자군, 대조군 모두에서 증폭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PCR 산물을 제한효소로 처 리 한 결과에서도 mtDNA에서 3243, 1555, 7445부위의 $A{\rightarrow}G$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PCR산물을 이용하여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mtDNA 3243, 1555, 7445부위에서의 염기서열을 확인한 결과 이미 밝혀진 사람의 mtDNA 3243, 1555, 7445부 위의 염기서열과 동일한 염기서열임이 확인되었으므로 mtDNA 3243, 1555, 7445부위의 $A{\rightarrow}G$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소음성 감각신경성난청과 mtDNA 3243, 1555, 7445부위의 $A{\rightarrow}G$ 돌연변이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Gentamicin 고도내성 Enterococcus faecalis균주의 항균제감수성, R-플라스미드 및 항원의 특성연구 (Studies 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R-plasmids and Antigens of High-level Gentamicin 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 강현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5-72
    • /
    • 1995
  • 임상 검체에서 분리 동정한 E.faecalis 균주에 대하여 gentamicin및 타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했고, R-플라스미드 DNA패턴 및 제한효소에 의한 DNA단편분석,filter-mating에 의한 gentamicin 플라스미드 DNA 전이, R-플라스미드 DNA 제거, tetracycline 내성 유전자확인, 항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리된 40주 E. faecalis 모두가 gentamicin에는 내성이었고, 25주는 요 검체에서 분리되었으며, 이 40균주들 중 95%가 입원환자에서 분리되어 중요한 원내감염균임을 알 수 있었다. Gentamicin 고도내성 E. faecalis는 24주(60%)이었고, 최소억제농도의 범위는 ampicillin이 1~64$\mu$g/ml, Chroramphenicol 이 8~128$\mu$g/ml 과 erythromycin 128 $\mu$g/ml, vancomycinol 1~2 $\mu$g이었다. 분리한 Gentamicin 고도내성 E. faecalis HL-1은 4가지 항균제에 모두 내성이었고, 7종류의 플라스미드가 있었다. HL-2와 HL-3은 모두 6종류, HL-4는 7종류, HL-5는 4종류 그리고 HL-6은 5종류의 플라스미드가 있었다. E. faecalis HL-1 과 HL-6의 내성전달 빈도는 6.3$\times10^{-4}$ 과 3.7$\times10^{-5}$이 었으며, E faecalis HL-1의 내성전달 빈도가 높았다 접합에 의해 E.faecalir HL-1과 HL-6의 플라스미드 중 51.7 Kb크기의 전이된 DNA가 확인되어 gentamicin 내성이 플라스미드 전이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etracycline 유전자는 E.faecalis transconjugants R-1의 2.15 Kb 플라스미드에 있었다. 공여균주 및 transconjugants균주의 항원성을 Immunoblotting으로 분석한 결과 E. faecalis HL-1과 E. faecalis transconjugants R-1균주는 97.8, 46.8 Kd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과 공통적으로 반응하였고, E. faecalis HL-6와 E. faecalis transconjugants R-6균주는 46.8 Kd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과 공통적으로 반응하였다. 그 반응의 강도는 85.8, 97.8, 46.8, 33.7, 63.5 와 74.8 Kd 순이었다. 공여균주 E. faecalis HL-6에서는 반응하지 않았던 97.8, 95.8, 74.8와 63.5 Kd의 단백질이 E. faecalis transconjugants R-6균 주에서 반응하였다. 이들 종 특이성 단백질을 Invitro에서는 배양되지 않는 E. faecalis에 대한 혈청학적 진단의 항원으로 이용한다면 유용할 것이다.

  • PDF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결핵의 진단에 있어서 각종 DNA 추출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Various DNA Extraction Methods for Diagnosis of Tuberculosi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 김주옥;한표성;홍석철;이종진;조해정;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43-51
    • /
    • 1993
  • 연구배경 : 결핵은 아직도 한국에서는 중요한 질병의 하나이지만 결핵을 진단하기 위한 보편적인 방법들이 단점인 예민도와 검사기간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분자유전학에 PCR 기법이 도입된 이래 결핵균의 DNA를 추출하여 짧은 시간내에 결핵을 진단하고자 하는 많은 보고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보고된 방법들의 다양성과 각 방법에 따른 소요시간등이 매우 다른 것이 문제가 되고 있고 임상에서 빠른 시간내에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결핵율의 DNA를 분리한다면 보다 빨리 결핵을 진단하여 치료를 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결핵균의 DNA를 분리하는 방법중 가장 좋은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결핵율의 DNA를 추출하는 방법은 총 6가지의 방법으로서 SDS-microwave oven method, NaOH lysis method, Triton X-100-proteinase K method, Lysis buffer method, SDS-proteinase K method 및 Bead beater method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사용된 균주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 $H_{37}Rv$ strain 이었고 임상가검물중 도말양성 객담 5예 및 결핵성 뇌막염이 의심되고 도말음성이었으나 항결핵제 투여로 완치판정을 받은 환자의 뇌척수액 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primer는 IS6110의 123bp를 target DNA를 하였고 PCR반응은 각각 $94^{\circ}C,\;68^{\circ}C$$72^{\circ}C$ 로 각각 2분씩 총 30주기를 시행하였다. 결과 : $H_{37}Rv$ strain에서 각 방법으로 추출된 DNA를 10배씩 serial dilution하여 PCR을 시행한 결과 SDS-microwave oven법과 NaOH lysis법은 50 fg까지 양성이었으며 나머지 4가지 방법에서는 5fg까지 양성이었다. 또한 각각의 방법으로 도말양성 환자의 객담에서 PCR을 시행한 결과 전예에서 양성이었고 결핵성 뇌막염이 의심스러운 환자의 뇌척수액에서는 SDS-microwave법과 NaOH lysis법으로는 5예중 3예에서 양성이었고 나머지 4가지 방법으로는 5예중 4예에서 양성이었다. 결론 : 이상의 실험으로 경제적이고 간편한 측면에서 볼 때 SDS-proteinase K법이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