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al judgment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4초

윤리적판단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thical Judgment For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 이용선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2호
    • /
    • pp.65-78
    • /
    • 2019
  • 윤리적 경영을 하는 기업은 구성원의 윤리적 판단력에 따라서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판단력(ethical judgement)을 주체로, 윤리판단력을 기업, 조직구성원인 상사와 동료를 윤리적 판단력의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에서는 윤리적 판단력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윤리판단력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윤리적 판단력과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9년 10월 7일 부터 11월 2일 까지 서울, 경기, 충남지역 근로자 450명을 설문조사하여 실증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윤리적 판단력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조직신뢰와 같은 매개변수는 개인이 조직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따라서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윤리적인 판단력은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윤리적인 판단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윤리경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조직과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영역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국가문화의 영향 : 탐색적 분석 (The Effects of National Culture on Ethical Decision-Making in the Internet Context : An Exploratory Analysis)

  • 윤철호;최광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23-36
    • /
    • 2014
  • 본 연구는 인터넷 영역에서 개인의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국가문화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섯 개의 도덕철학 변수들인 정의주의, 상대주의, 이기주의, 공리주의, 그리고 의무론이 개인의 윤리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며, 이 윤리적 판단은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이 제시되었고, 이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에 대하여 홉스테드의 다섯 가지의 국가문화 차원들인 권력격차, 개인주의, 남성성, 불확실성 회피, 그리고 장기 지향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영역에서 권력격차, 개인주의, 그리고 남성성은 의무론과 윤리적 판단 간의 관계에 영향이 있었으며, 개인주의, 남성성, 그리고 불확실성 회피는 정의주의와 윤리적 판단 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주의와 장기 지향성은 윤리적 판단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을 보여 주었다.

간호윤리 수업에서의 CEDA 토론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도덕 판단력과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based upon CEDA Debates on Moral Judgment and Ethical Values)

  • 정현정;박현주;장인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8-25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EDA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debate with those of traditional lecture education on moral judgment and ethical value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DIT and the ethical values. Method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9 weeks, from September 2 to November 12, 2010. Participants were 71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a nursing colleg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36 students) or a control group (35 student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4 stage scores of moral judgment (t=-2.19, p=.036) and ethical values (t=3.04, p=.004)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 score of moral judgm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e benefits of providing a CEDA debate course for nursing ethics education. Therefore, in furth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strategies or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ursing ethical values and moral judgment.

인지전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정의전쟁론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gnitive Warfare and Ethical Issues: Focusing on Just War Theory )

  • 김상수;윤영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451-459
    • /
    • 2023
  • 이 글의 목적은 새로운 전쟁의 영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인지전(Cognitive Warfare)에서 제기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정의전쟁론(Just War Theory)의 한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는 인지전이 등장하게 되는 배경을 설명하고 인지전에 대한 개념적 분석을 통해 인지전의 특성을 도출하여 인지전이 전통적 전쟁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제시할 것이다. 이후 논의를 전환하여 전쟁에 관한 포괄적 윤리적 문제를 평가하는 이론으로서 정의전쟁론의 배경과 주요 논의 영역을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우리는 이이론을 구성하는 3가지 영역인 전쟁 자체의 도덕(jus ad bellum), 전쟁 수행의 도덕(jus in bello), 전쟁 후의 도덕(jus post bellum)에서 제시하는 윤리적 판단 기준을 구체화하고 각 영역에서 제시되는 기준을 인지전의 양상에 적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각 영역별로 인지전에서 윤리적 판단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정의전쟁론의 윤리적 판단 기준이 적용될 수 없는 영역을 제시함으로써 인지전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적 평가 기준의 필요성을 제기할 것이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불법복제에 대한 소비자의 도덕적 판단과 불법복제의도 -전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사례분석 (Moral Judgment and Intention to Make Illegal Copies of Smart Phone Applications)

  • 유소이;손영화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55-668
    • /
    • 2011
  • Although consumer ethical behavior related with illegal copies of digital software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issue, not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examine the issue. Firstly, this study attemped to explain the moral judgment and intention to make illegal copies of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college students. Secondly,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moral intensity and perceived risk related to making illegal copies were test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experience of ethical education and past experience of making illegal copies of software, sex, age and household income. Thirdly, the effect of related factors such as psychological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estimated to significantly influence moral judgment and intention to make illegal copies. Two step method(using LIMDEP program) was applied to estimate the model a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agnitude of consequences, financial risk and performance risk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come groups(less than middle class vs more than middle class). Prosecution risk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groups(female vs male). In addition, social consensus, financial risk, performance risk and prosecution risk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thical education groups(experience vs no experience). Furthermore, moral judgment for making illegal copies of smart phone application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ncome, ethical education, magnitude of consequences, temporal immediacy and social consensus. And intention to make illegal copies of smart phone application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oral judgment, age, financial risk, performance risk and prosecution risk.

정보윤리판단력 측정을 위한 이슈 중심의 딜레마 개발 (The Development of Issue-Oriented Dilemmas for Measuring Information Ethical Judgments)

  • 김민선;김한성;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3-24
    • /
    • 2012
  •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률이 높아지면서 정보윤리에 관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정보윤리판단력 측정도구 개발에 앞서 이에 적합한 딜레마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Mason이 제시한 PAPA의 네 가지 이슈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청소년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슈를 추가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연구진 협의회를 거쳐 각 이슈에 적합한 딜레마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딜레마는 30명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파일럿 테스트 후 전문가 검토를 거쳐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청소년의 정보윤리판단력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12가지의 딜레마가 완성되었다.

  • PDF

간호학생의 임상적 판단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Judgment during Nursing Practicum)

  • 서연옥;안양희;박경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5-256
    • /
    • 2009
  • Purpose: To describe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when faced with clinical judgment in a nursing practicum at the hospital.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tilized. Participants were 79 students in the clinical practicum. Participant consent was obtained for ethical prote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December 2007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ontent analysis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wo categories and 5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for 'difficult' and 'easy' clinical judgments. For the student category, the two themes were 'knowledge' and 'skill', while the three themes for th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category were, 'judgment of clinical symptoms and signs', 'difference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human relationships'. For coping, 2 categories and 5 themes were extracted for the difficult clinical judgment situation, while one category and one theme were found for the easy clinical judgment situation. Conclusion: To develop students' clinical judgment, there is need to develop the method of clinical skills using simulation in clinical teaching. For future research,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linic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in hospitals is needed.

  • PDF

기업체 회계담당자의 회계윤리수준에 관한 연구 (Study of Accounting Ethical Level of Treasurers in the Undertaking)

  • 박중호;변상해;박차규
    • 벤처창업연구
    • /
    • 제3권4호
    • /
    • pp.43-57
    • /
    • 2008
  • 본 연구는 기업의 윤리경영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회계정보가 투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회계담당자와 내부감사인력의 윤리수준을 정확히 조사 분석하고, 이들의 윤리수준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한 내용이다. 본 연구는 방위산업체의 회계담당자인 회계실무자의 회계윤리수준을 조사 분석하고, 이것이 회계투명성과 분식회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업의 윤리경영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윤리판단연구와 이문화간 윤리연구의 2가지 분야를 연구하였다. 윤리판단연구는 회계영역의 고유하고 다양한 윤리적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문화간 윤리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문화의 차이에 따라 공인회계사의 윤리적사고의 개발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도덕판단력과 윤리적 의사결정 및 실습에서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 (A Study of Moral Judgment and Ethical Decision Making and Ethical Dilemmas Experienced in Practice by Nursing Students)

  • 노윤구;정면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915-2925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대 학생들의 도덕 판단력과 윤리적 의사결정 유형을 파악하고 실습에서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를 분석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4학년 학생 189명의 구조화된 설문지와 윤리적 문제에 대한 자가 보고로 이루어졌다. 기간은 2012년 11월6일에서 20일 까지 하였다. 학생들의 P(%)점수는 2학년 47.92, 3학년 43.74, 4학년 43.75였다. 4단계 점수는 22.37, 22.98, 19.74였다. 4학년의 P(%)점수는 3학년보다 떨어지지 않았고, 4단계 점수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윤리교육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와 같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사례발표와 토론의 결과라 할 수 있다.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윤리적 의사결정은 유형3(35.45%)이었다. 학생들이 실습에서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는 7개 항목으로 환자의 권리와 존엄성 손상, 치료와 간호 표준 불이행, 임종 준비와 죽음 순이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실습에서 경험하는 윤리문제를 스스로 분석하고 개방적인 토론을 하는 윤리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윤리문화적 리더십 모형에관한탐색적연구 - 세종대왕 리더십 사례를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Ethical Culture Leadership - Focused on the Case of King Sejong' Leadership -)

  • 조현봉
    • 윤리연구
    • /
    • 제97호
    • /
    • pp.279-306
    • /
    • 2014
  • 본 연구는 리더십을 공동체적 삶의 보편적 원리에 기초한 윤리문화적현상으로파악하고, 리더십의 관계와 과정, 기술에 내포된 윤리문화적 메카니즘을식별하고해석, 검증한 것으로서 유효성과 실증적 방법에 기초한 기존의 접근방법과는구별된다. 주요 내용은, 첫째, '윤리문화'의 개념 정립과 리더십의 윤리문화적접근방법의설정이다. 윤리문화는 구성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가치에 대한 사고와행동의기준으로서,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 문화적 가치의 균형적 조화와윤리적실천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윤리문화의 사고와 행동체계를 리더십에적용하여리더십의 구조와 기능을 근본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윤리문화적리더십모형구축이다. 리더십의 관계, 과정, 기술에 있어서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실제의문화적 가치의 균형적 조화와 윤리적 실천을 통해 갈등극복, 문제해결, 동기부여의리더십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함으로써 개인목표와 함께 공동목표를 달성하는진정한영향력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셋째, 세종대왕 리더십 사례 분석이다. 세종대왕리더십은 대의와 위민과 덕화를 리더십의 윤리적 이상의 당위로 삼고, 안정과치민과 교화를 실제의 문화적 가치로 삼아 균형적 조화와 윤리적 실천이라는윤리문화적 사고와 행동체계를 리더십의 관계와 과정과 기술에 적용하였다. 이러한리더십을 통해 갈등을 극복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동기를 유발시켜 신료들로하여금국가의 일을 자기의 책임으로 생각하고 변화와 창조에 자발적이고 헌신적으로행동하는 진정한 영향력을 이끌어냄으로써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기틀을구축하였다. 세종대왕의 리더십은 윤리문화적 리더십 모형이 잘 구현된리더십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리더십은 공동체적 삶의보편적원리인도덕과 윤리를 기본바탕으로 삼아야 하며,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문화적가치를 균형적으로 조화시키고 윤리적으로 실천하는 리더의 덕을 잘 발휘하여진정한영향력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윤리문화적리더십은 현대 리더십의 적실성과 실천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이될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