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2.248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based upon CEDA Debates on Moral Judgment and Ethical Values  

Jung, Hyun-Jung (Department of Nursing, Cheongju University)
Park, Hyun-Joo (Department of Nursing, Sunlin University)
Jang, In-Sun (Department of Nursing, Korea Bibl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v.18, no.2, 2012 , pp. 248-25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EDA (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debate with those of traditional lecture education on moral judgment and ethical value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DIT and the ethical values. Method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9 weeks, from September 2 to November 12, 2010. Participants were 71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a nursing colleg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36 students) or a control group (35 student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4 stage scores of moral judgment (t=-2.19, p=.036) and ethical values (t=3.04, p=.004)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 score of moral judgm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e benefits of providing a CEDA debate course for nursing ethics education. Therefore, in furth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strategies or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ursing ethical values and moral judgment.
Keywords
Nursing students; Nursing ethics; Education; Moral judg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Lützen, K., Blom, T., Ewalds-Kvist, B., & Winch, S. (2010). Moral stress, moral climate, and moral sensitivity among psychiatric professionals. Nursing Ethics, 17(2), 213-224.   DOI   ScienceOn
2 Rest, J. R. (1979). Development in judging moral issu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3 이경희 (2009). 생명윤리 수업을 위한 'CEDA 아카데미 토론' -수업설계 및 실천적 수업모형을 위한 시론-. 윤리교육연구, 19, 67-89.
4 이광자, 유소연 (2011).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유형,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임상간호연구, 17(1). 11-15.
5 이미애 (2008). 간호학생의 윤리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DIT(Defining Issues Test)를 사용하여-, 간호행정학회지, 14(1), 26-34.   과학기술학회마을
6 이영숙 (1990). 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2), 249 -270.
7 한성숙, 안성희 (1995). 간호윤리 교육이 간호학생의 도덕적 사고와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1(2), 268-284.
8 정현숙, 정순현 (2005). 아카데미식 토론수업의 교육적 효과- 성균관 대학교 토론수업 사례-, 철학윤리교육연구, 21(35), 179-193.
9 조미경 (2009). 일 지역 전문대학 간호계와 비간호계 학생의 DIT를 사용한 도덕판단력 비교조사.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2(4), 377-390.
10 조은순 (2006). 인터넷 수업에서의 CEDA(Cross 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토론 모델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6(3), 93-101.
11 Auvinen J, Suominen T, Leino-Kilpi H, & Helkama K. (2004). The development of moral judgment during nursing education in Finland. Nurse Education Today, 24(7), 538-546.   DOI   ScienceOn
12 유명숙, 박현숙 (2010). 간호윤리교육이 간호학생의 생명윤리 의식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생명윤리, 11(1), 51-60.
13 Cassells, J. M., & Redman, B. K. (1989). Preparing students to be moral agents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Report of a national study.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4(2), 463-473.
14 Lerkiatbundit S, Utaipan P, Laohawiriyanon C, & Teo A. (2006). Impact of the Konstanz method of dilemma discussion on moral judgment in allied health student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ournal of Allied Health, 35(2), 101-108.
15 권영미 (2002). 간호학생의 도덕판단과 윤리적 가치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8(1), 17-28.   과학기술학회마을
16 김모임, 이원희 (1997). 간호윤리와 실무-윤리적 결정을 위한 지침. 서울: 현문사.
17 김민희 (2010). 아카데미식 토론의 도덕과 수업 적용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충남.
18 김옥주, 류인균, 장기현 (200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의료윤리 교육 경험. 한국생명윤리학회, 5(2), 2-18.
19 김용순, 박지원, 방경숙 (2001).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간호윤리교육 효과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7(2), 253 - 263.   과학기술학회마을
20 김용순 (2000). 윤리교육이 간호사의 도덕판단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0(1), 183-193.
21 김용순, 박지원, 손연정 (2003). 간호대생과 의대생의 도덕판단력 발달에 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3(6), 820-828.   과학기술학회마을
22 김익중, 성낙진, 정기훈, 배근량, 박건욱, 김종필, 김도균, 홍성 훈 (2005). DIT검사로 평가한 의료윤리 교육의 효과-D 대학 의과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지, 8(2),95-104.
23 김정아, 정재임, 차영자 (2007) 간호대학생의 도덕 판단력과 간호윤리 가치관에 관한 연구. 경북전문대학교 논문집, 25, 283-305.
24 문용린 (1986). 생활문제 설문지(한국어판 DIT 설문지). 한국교육개발원 도덕 연구실.
25 박미화 (2000).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과 변화양상.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2). 199-217.
26 박현주 (2009).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간호행정학회지, 15(1), 128 - 135.
27 심옥주 (2002).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28 안은경, 구옥희, 김태숙 (1998).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간호행정학회지, 4(1), 19-31.
29 오갑례 (2002). 부모양육 태도와 성별에 따른 도덕성 발달의 차이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