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fraction

검색결과 870건 처리시간 0.025초

오미자(Schizandra Chinesis Baillon)추출물의 분획별 항상화활성 효과

  • 김지은;황현익;이인순;문혜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17-320
    • /
    • 2002
  • 10 가지 식물추출물에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효과가 높았던 오미자를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층분리 후, 각 유기용매층에 따라 분리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Ethyl acetate층 추출물 (DPPH 51.6%. SOD 66.2%)과 Butanol층추추물 (DPPH 60.7%, SOD 67.4%) 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총 polyphenol 함량 또한 Ethyl acetate층 (30000 mg/kg) 과 Butanol층 (30000 mg/kg)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이한 점은 항산화 활성이 낮았던 water층 (39400 mg/kg) 에서 총polyphenol함량이 높았다.

  • PDF

신갈나무 잎의 용매분획별 항균 및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Quercus mongolica Leaf)

  • 오덕환;공영준;강태수;이명기;박부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38-343
    • /
    • 2001
  •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was fractionated by various organic solvents, and their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gainst several microorganisms.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at two thousand $\mu\textrm{g}$ per disc showed 17~21mm inhibition zone against Gram pos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the hexan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hexane fraction was 250$\mu\textrm{g}$/mL against Bacillus cereus, 250~500$\mu\textrm{g}$/mL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500$\mu\textrm{g}$/mL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O157, and Pseudomonas aeruginosa. Also,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had the similar antioxidative activity compared to that of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 PDF

Eisenia bicyclis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Dieckol의 Lipase 저해 Mode (Lipase Inhibitory Mode of Dieckol Isolated from Eisenia bicyclis Ethanol Extract)

  • 정슬아;김꽃봉우리;김동현;조지영;김태완;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2-118
    • /
    • 2013
  • 대황 ethyl acetate 분획은 $IC_{50}$ 값이 1.31 mg/ml으로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lip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ethyl acetate 분획으로부터 얻은 sub-fraction 중 EA1 fraction이 $IC_{50}$ 값 0.54 mg/ml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더 나아가 HPLC를 이용하여 8개의 sub-fraction으로 분리하였다. HPLC fraction 중 fraction 5가 $IC_{50}$ 값 0.37 mg/ml로 높은 lip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 fraction 5는 분자량 741.1로 $C_{36}H_{22}O_{18}$ 화합물인 phlorotannin derivative dieckol로 확인되었으며 lipase에 대해 비경쟁적 저해타입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대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dieckol의 lipase 저해 활성 및 저해 타입 확인을 통해 식품 산업에 항비만 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함초(나문재 및 퉁퉁마디)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I)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xtract/Fractions of Suaeda asparagoides an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I))

  • 박수남;전소미;김소이;안정엽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5-1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함초 추출물(나문재 및 퉁퉁마디)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나문재 추출물의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100 % ethanol 추출물(329.33 ${\mu}g/mL$) < 50% ethanol 추출물(40.73) < ethylacetate 분획(13.87) <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7.80) 순으로 증가하였다. 퉁퉁마디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ethylacetate 분획 및 aglycone 분획이 각각 23.21 및 28.50 ${\mu}g/mL$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나문재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ethanol 추출물($OSC_{50}$, $0.99{\mu}g/mL$) < ethylacetate 분획(0.05) < aglycone 분획(0.03)순으로,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퉁퉁마디의 경우, ethylacetate 분획 및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의 ROS 소거활성은 각각 0.10 및 0.20 ${\mu}g/mL$이었다. 나문재 및 퉁퉁마디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00 % ethanol 나문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10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은 5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31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퉁퉁마디의 경우는 ethylacetate 분획에서 비교적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나문재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Cordyceps miiitaris에 함유된 혈당강하 성분이 간세포 Glucokin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Cordyceps militaris Increases Hepatic Glucokinase Activities)

  • 김현숙;노영주;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8-161
    • /
    • 2005
  • 본 연구에서 는 P japonica와 c. mifitaris에서 혈당강하 기능성 성분을 분리하고 간세포내 glucokinase활성을 측정하여 항당뇨 작용 기전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동충하초에서 분리 된 fraction A의 간세포내 glucokinase 활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C. militaris는 371.4%, P. japonica는 379%로 증가하였다. Fraction B의 활성은 C. miliraris 314.2%, P. japonim는 147.4% 증가하여 C. milifaris에서 추출된 fraction B는 P. japonin와 비교했을 때 2배 이상의 glucokinase의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C. militaris의 혈당 강하 작용을 in vivo에서 검증한 결과 C. militaris 첨가군의 glucokinase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1300% 이상의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C. militaris추출물은 간세포 내 glucokinase활성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포도당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Leaf)

  • 김미향;강우원;이난희;권대준;최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27-3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차조기의 30, 50, 70, 95% 에탄올 및 물추출물과 분획물의 전자 공여능, 지질산화 억제능, SOD 유사활성 및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18{\sim}30%$ 정도로 낮았으나, 분획물에서는 95%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이 50% 수준의 활성을 보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모든 추출용매에서 75% 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특히, 70% 에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이 93.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RC_{50}$에 요구되는 농도는 200.5 ppm이었다. 저장 온도 $40^{\circ}C$에서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 추출물은 70% 에탄올 이었다. 분획물의 경우, 95% 에탄추출물은 hexane과 ethyl acetate 가용성분이 그 외 에탄올 추출과 물추출은 chloroform과 ethyl acetate 가용성분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28{\sim}32%$, 물추출물이 30.3%이었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이 32.4%로 가장 높았다. 분획물에서는 70% 에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가용분이 38.8%로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IC_{50}$에 요구되는 농도는 1549.0ppm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추출물이 $36{\sim}41.2%$이었으며, 물추출물이 46.9%로 추출물중 가장 높았다. 분획물에서는 물추출의 ethyl acetate 가용분이 1,000 ppm 농도에서 52%의 활성을 보여 가장 높았다.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 정하열;박동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4
    • /
    • 2003
  •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각 검정 균주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를 페이퍼디스크법 및 액체배양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B. subtilis ATCC 6538 혹은 S. aureus. ATCC 6538에 대하여는 농도 의존적인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P. aeruginosa IFO 3080 및 Sal. enteritidis. IFO3313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E. coli ATCC 25922 에 대해서는 뚜렷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또한 포도종실 에탄을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물만이 각각 35.7 mg/g과 20.2 mg/g의 카테킨을 함유하고 있었는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비하여 부탄을 분획물이 각 검정 균주에 대해 뚜렷한 항균활성 을 나타내었다. 부탄올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비하여 카테킨의 절대 함량은 적었지만 Cl8 카트리지로 소분획하였을 때 고분자체 중심의 폴리페놀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 의 항균 활성은 카테킨과 같은 플라반-3-올 화합물의 절대 함량과 더불어 플라반-3-올 화합물의 중합도가 관계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물/에탄올 투과증발 특성 (Per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NaA Zeolite Membrane for Water/Ethanol Mixture)

  • 안효성;이혜련;이용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43-248
    • /
    • 2005
  • 분리막 투과증발은 증류에 비하여 낮은 에너지를 요구하기 때문에 물/유기물 혼합물의 분리에 이용될 수 있으며 공비 혼합물이나 이성질체의 분리에 선호되는 방법이다. 제올라이트 분리막은 고분자 분리막에 비하여 열적, 기계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은 큰 친수성을 나타내므로 물/유기물 혼합물로부터 효율적인 물 분리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이용한 투과증발 막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물/에탄올 혼합물에서 선택적으로 물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에탄올의 공급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투과플럭스는 감소하였으며 선택도는 증가한 후 높은 에탄올 농도에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 온도의 증가에 따라 총투과플럭스는 증가하였으며 선택도 또한 증가하였지만 높은 에탄올 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160시간 이상의 장기간 실험을 통하여 총투과플럭스와 선택도가 안정적으로 일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은 증류 및 PVA 계열 고분자 분리막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율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 박찬휘;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50-15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율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in vitro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율피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39.76 ㎍/mL였고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 층의 함량이 323.92 ㎍/mL으로 가장 높았다(p < 0.0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폴리페놀 측정 결과와 유사하게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함량이 13.12 ㎍/mL으로 가장 높았다(p < 0.05).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RC50 값이 2.27 ㎍/mL으로 양성 대조군인 ascorbic acid보다 낮은 RC50 값을 나타내었다(p < 0.05).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율피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율피를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하는데 기초 자료로 쓰일 것으로 기대되며, ethyl acetate 분획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old Ethanol Fractionation and Heat Inactivation of Hepatitis A Virus During Manufacture of Albumin from Human Plasma

  • Kim, In-Seop;Park, Yong-Woon;Lee, Sung-Rae;Sung, Hark-M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1호
    • /
    • pp.65-68
    • /
    • 200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and mechanism of fraction IV cold ethanol fractionation and pasteurization (60$^{\circ}C$ heat treatment for 10 h), involved in the manufacture of albumin from human plasma, in the removal and/or inactivation of the hepatitis A virus (HAV). Samples from the relevant stages of the production process were spiked with HAV and the amount of virus in each fraction then quantified using a 50% tissue culture infectious dose (TCID$\_$50/). HAV was effectively partitioned from albumin during the fraction IV cold ethanol fractionation with a log reduction factor of 3.43. Pasteurization was also found to be a robust and effective step in inactivating HAV, where the titers were reduced from an initial titer of 7.60 log TCID$\_$50/ to undetectable levels within 5 h of treatment. The log reduction factor achieved during pasteurization was $\geq$4.76. Therefore, the curr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duction process for albumin has sufficient HAV reducing capacity to achieve a high margin of virus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