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radiol

검색결과 1,112건 처리시간 0.032초

Detection of estrogenic hormone 17β-estradiol in soil samples by a recombinant yeast bioassay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Shim, Jae-Han;Kim, Mi-Ra;Topp, Edward;Choi, Jeong-Heui;Mamun, Iqbal Rouf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7-455
    • /
    • 2008
  • Recombinant yeast estrogenicity (YES) assay was used as a bioanalytical tool in order to screen $17{\beta}$-estradiol in th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different sites of South Korea. Solvent extraction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methods were compared for the extraction of the estradiol from the soils. Most high detection of the estradiol based on YES assay was observed in the soils extracted with methanol. Different types of estrogenic hormones including $17{\beta}$-estradiol were suggested to be possibly exiting in the soils, since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soils showed an estrogenic activity that was not observed in the hexane extracts of the soil. SFE extracts showed estrogenic activity in some of the samples but methanol extract showed best activity.

국산홍화자(國産紅花子) 및 국산홍화자(國産紅花子)와 estradiol 병용투여가 난소적출로 유발된 흰쥐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Carthami Semen and Estradiol-Carthami Semen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 김종헌;김미려;변부형;박지하;김종대;이은숙;서부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9-334
    • /
    • 2001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Carthami Semen and Estradiol-Carthami Semen co-treatment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Method: In this experiment, the rats were ovariectomized. Rats were administered 3 kinds of medicine, Korean Carthami Semen, Estradiol, and Estradiol-Carthami Semen, which were taken orally. The levels of bone mineral density, osteocalcin, estradiol, ALP, phosphorus, calcium in serum, deoxypyridinoline in urine, calcium, phosphorus, ash weight of bone, body weight and uterus weight were measured. Results: These experimetal results, it appears that the only Carthami Semen have more less efficacy on osteoporosis but $E_2$-Carthami Semen co-treated group showed more effective on osteoporosis. Conclusions: Further west-east medicine combination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illustrate in depth the curing osteoporosis.

  • PDF

Correlation of Developmental Deformity with Calcium, Phosphorus, or Estradiol-17β Levels in Reared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Juveniles

  • Kim, Ji Eun;Kim, Hyung Bae;Lee, Young Don;Baek, Hea 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4호
    • /
    • pp.391-397
    • /
    • 2017
  • Skeletal deformities are significant problems that affect the growth and commercial value of fish reared in hatcheries. However, studies of bone metabolic process related to skeletal deformities are limited.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bone deformities and plasma calcium, phosphorus, and estradiol-$17{\beta}$ levels in reared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juveniles. We collected E. akaara frys from private farms at 110, 140, 180 and 300 days after hatching (DAH), and classified the normal and deformed fish by observing their external shape and inner frame by soft X-ray. We also analyzed the calcium, phosphorous, and estradiol-$17{\beta}$ levels in their plasma. A comparison between normal and deformed fish, indicated that calcium and estradiol-$17{\beta}$ levels were higher in deformed fish than in the normal at 180 and 300 DAH. The level of phosphorus was also higher in deformed individuals than in normal fish, but only at 300 DAH. These results suggest that skeletal deformiti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plasma calcium, phosphorus, and estradiol-$17{\beta}$ levels.

Effect of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l7$\beta$ on the Biochemical Changes in the Fat Body and Haemolymph of the Bivoltine Silkworm Bombyx mori L.

  • Hugar, I.I.;Kaliwal, B.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2호
    • /
    • pp.149-152
    • /
    • 2001
  •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with 10, 20 and 30 ${\mu}g$/ml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on the fourth and fifth instar bivoltine NB18 silkworm larvae Bombyx mori, on the glycogen and protein contents of the Fat body and trehalose and protein contents of the haemolymph has been studied. Glycogen content of the fat bod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treatment groups except in the group treated with 30 ${\mu}g$ testosterone propionate where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arrier controls. The increase/decrease in haemolymph trehalose cont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treated groups. Protein content of the fat body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 and 20 mg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l7${\beta}$ treated groups but in 30 mg treated groups the increase wa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arrier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haemolymph protein content in all the testosterone propionate and estradiol -17${\beta}$ treated groups except in group treated with 10 ${\mu}g$ estradiol -17${\beta}$ where i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when compared with that of carrier control.

  • PDF

치주인대세포 배양에서 estrogen이 growth hormone receptor의 발현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trogen on growth hormone receptor express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line)

  • 홍성규;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1-452
    • /
    • 2000
  • 본 실험은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에서 에스트로겐과 growth hormone(GH)이 상호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정치료를 받고자 내원한 환자중에서 건강한 20대 여자환자들의 상하악 제1소구치를 발거하여 치근의 중간1/3부위에서 긁어모은 치주인대 조직을 배양하여 치주인대세포를 얻었다.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에 대한 $17{\beta}$-estradiol과 hGH의 효과를 평가하고, 치주인대세포에 $17{\beta}$-estradiol을 전처리한 후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에 미치는 hGH의 효과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치주인대세포에 $17{\beta}$-estradiol을 전처리 하였을 경우 치주인대세포에 서 hGH receptor치 발현 양상의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7{\beta}$-estradiol이나 humangrowth hormone의 단독처리는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종식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17{\beta}$-estradiol $10^{-12}M$로 전처리한 후 hGH를 투여한 경우 hGH의 농도에 관계없이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을 증가시킨다. 3.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에는 hGH receptor가 없으나, $17{\beta}$-estradiol $10^{-12}M$로 5시간 이상 처리하면 hGH receptor가 발현된다. 4. hGH이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에 미치는 효과는 hGH receptor의 발현과 관련이 있으며 $17{\beta}$-estradiol의 전처리가 치주인대세포에서의 hGH receptor의 발현에 기여함으로써 hGH이 치주인대세포에 작용할 수 있도륵 해준다.비, 상악의 대구치간 너비, 구개정 높이가 상관관계가 있었다.에서 치 아이동은 정상상태보다 촉진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따라 평균마찰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 브라켓간 거리의 변화에 대한 마찰력의 차이는 교정선의 재질에 따라 차이가 나며,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은 브라켓간 거리가 감소할 때 마찰력이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NiTi 교정선의 경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7. 브라켓내의 교정선의 이동속도에 따라 마찰력은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교정 치료동안 적정 교정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가결찰브라켓,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과 탄성모듈결찰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치료시기에 따라서 요구하는 마찰력이 다르므로 상황에 따라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군에서 $4.3\%$ 감소하였다. 7. 수술로 인한 얼굴폭의 변화는 무시할만한 것으로 판단되나 수술후 얼굴의 길이가 짧아져 상대적으로 얼굴의 폭이 넓어보일 수 있으므로 수술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 및 환자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로는 4-6세군 ($27.5\%$), 6-8세군 ($19.6\%$), 2-4세군 ($13.7\%$)이 $60\%$이상을 차지하여 초등학교 취학 전에 구순의 반흔을 제거하려 함을 알 수 있었다. 8. 비변형 교정수술시기로는 0-2세군 ($7.1\%$), 2-4세군 ($14.3\%$), 4-6세군 ($21.4\%$), 6-8세군 ($14.3\%$)으로 초등학교 취학이전이 $57.1\%$로서 최근의 조기 치료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9. 인두피판술은 평균 6세에 시행되었으며, 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고른 분포를

  • PDF

체외에서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영향 (Effects of Relaxin and Insulin on Porcine Granulosa-lutein Cell Steroidogenesis In Vitro)

  • 이명섭;;이창규;강성근;이병천;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77
    • /
    • 2005
  • Relaxin과 insulin이 돼지 난포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위하여 체외에서 황체화된 과립막세포에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생산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 과립막세포를 혈청 존재하에 배양접시에 부착 후 48시간 동안 체외배양하고 무혈청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의 용량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 (10, 100, 1,000 ng/ml)를 각각 무혈청 배지에 첨가하였다. 병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00 ng/ml relaxin과 100 ng/ml insulin을 단독 혹은 병합하여 처리하였는데 황체호르몬 (100 ng/ml)을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 모두를 조사, 분석하였다. 최종 배양이 끝난 배양액을 수집하여 RIA법으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은 용량이 증가될수록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병합실험에서는 relaxin과 insulin 단독 또는 병합시 황체호르몬 존재 하에서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relaxin과 insulin은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progesterone 분비를 증가시키지만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효과가 없었으며 병합에 의한 상승효과는 없었다. Progesterone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효과는 황체호르몬의 존재에 의해 증대되었다.

저지방식이를 섭취한 난소절제 암컷 쥐에서 지질대사에 대한 fenofibrate과 17β-estradiol의 영향 (The effect of fenofibrate and 17β-estradiol on lipid metabolism in low-fat diet-fed OVX female mice)

  • 정선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72-1180
    • /
    • 2019
  • 본 연구는 저지방식이를 섭취한 난소절제 암컷 쥐에서 피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단독처리 및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17β-estradiol)과의 동시처리가 혈청 속 지질대사를 조절하는지를 조사하였고,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의 동시처리에 의해 혈청 속 지질대사에 대한 피노피브레이트 단독처리의 효과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저지방식이만을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피노피브레이트가 단독처리된 쥐와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이 동시처리된 쥐의 8주째 몸무게는 감소되지 않았다. 피노피브레이트 단독처리와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 동시처리는 혈청 속 총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피노피브레이트는 대조군에 비해 혈청 속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감소시켰다. 피노피브레이트 단독처리에 비해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 동시처리는 혈청 속 중성지방에 대해 유익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지방식이를 섭취한 난소절제 암컷 쥐에서 fenofibtae 단독처리에 의해 감소된 혈청 속 중성지방은 피노피브레이트와 17베타-에스트라다이올의 동시처리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폐쇄성 요로병증에서 $17{\beta}$-estradiol에 의한 신섬유화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 ($17{\beta}$-estradiol Attenuates Renal Fibrosis in Mice with Obstructive Uropathy)

  • 조민현;장희성;정경진;박권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2호
    • /
    • pp.125-137
    • /
    • 2011
  • 목적: 일반적으로 남자는 여자에 비해 만성 신장병의 발병이 많고 말기 신부전으로의 진행이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생쥐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성별과 성호르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일측성 완전 요관 폐쇄 7일째 암컷과 수컷 생쥐의 신장에서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의 발현을 측정한 후, 암컷 생쥐에서 난소를 제거하거나 제거 후 다시 $17{\beta}$-estradiol을 보충하여 나타나는 신섬유화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alpha}$-SMA의 발현이 수컷 신장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난소 제거와 $17{\beta}$-estradiol의 보충은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안지오텐신 II 1형 수용체의 발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의 발현은 정상 암컷과 난소 제거 후 $17{\beta}$-estradiol를 보충한 암컷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역시 유사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여성은 폐쇄성 요로병증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저항성과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성별의 차이는 $17{\beta}$-estradiol에 의한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와 iNOS의 발현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과배란 유도시 혈청 Estradiol 및 Prolactin치의 동태에 관한 연구 (Serum Estradiol and Prolactin Levels During Hyperstimulated Menstrual Cycles)

  • 신영관;이진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4권1호
    • /
    • pp.7-17
    • /
    • 1987
  • It appears that a major determinant of the success of in vitro fertilization is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follicle containing an oocyte capable of being fertilized and producing a normal pregnancy. However, the hormonal basis of oocyte maturation is not well substantiated by the as yet available informations. It has been suggested that prolactin(PRL) may stimulate the formation of an oocyte maturation inhibitor and thus inhibit the maturation of oocyte. During the hyperstimulated menstrual cycles serum estradiol($E_2$) levels are markedly elevated, and it seems justified to assume that serum prolactin levels may be elevated since estrogens are potent stimulators of prolactin secre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certain the effect of the elevated serum estradiol levels on the serum prolactin levels in women undergoing ovarian hyperstimulation with either hMG and/or clomiphene citrate. Serum estradiol and prolactin profiles were measured from third menatrual cycle day to ovulation or ovum aspiration day in 11 normal menstruating women and 30 women who underwent an in vitro fertilization procedure with ovarian hyperstimulation by hMG, clomiphene citrate/hMG, clomiphene citrate. Ovum aspiration was performed 36 hours after hCG administration. The day of ovum aspiration or ovulation was designated Day 0. Serum estradiol levels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follicular phase and this rise peaked on Day-1 at a mean concentration of 1,204${\pm}$189.0pg/ml in Group II(hMG), 1,194${\pm}$167.9pg/ml in Group III(clomiphene citrate/hMG), 1,035${\pm}$195.1pg/ml in Group IV(clomiphene citrate) respectively and on Day -2 of 336${\pm}$34.5pg/ml in Group I(normal control). The elevated estradiol levels fen rapidly after ovulation or ovum aspiration. Serum estradiol values of hyperstimulated groups(Group II, III, IV)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Group I) from Day -6 to Day +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estradiol values among the hyperstimulated groups. Serum prolactin levels increased and peaked on Day +1 at a mean concentration of 60.8${\pm}$14.4ng/ml in Group II, 34.2${\pm}$7.0ng/ml in Group III, 30.1${\pm}$5.7ng/ml in Group IV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elevation was observed in Group I. Levels of estradiol and prolactin can b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in the hyperstimulated groups. However, the increase of serum prolactin levels in hM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lomiphene citrate/hMG or clomiphene citrate group.

  • PDF

Effects of Testosterone, 17β-estradiol, and Progesterone on the Differentiation of Bovine Intramuscular Adipocytes

  • Oh, Young Sook;Cho, Sang Bum;Baek, Kyung Hoon;Choi, Chang B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589-1593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stosterone, 17$\beta$-estradiol, and progesterone on the differentiation of bovine intramuscular adipocytes (BIA). Stromal-vascular (SV) cells were obtained from M. longissimus dorsi of 20 months old Korean (Hanwoo) steers, and were cultured in DMEM containing 5% FBS. The proliferated BIA were induced to differentiate with 0.25 $\mu$M dexamethasone, 0.5 mM 1-methyl-3-isobutyl-xanthine and 10 $\mu$g/ml insulin. During differentiatio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testosterone, 17$\beta$-estradiol, and progesterone at concentrations of $10^{-10}$, $10^{-9}$, and $10^{-8}$ M, respectively, for 12 days. Regardless of its concentration, testosterone remarkably reduced lipid droplets in the cytosol of BIA. On the other hand, 17$\beta$-estradiol and progesterone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in BIA. Testosteron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GPDH activities with a dose-dependent pattern. 17$\beta$-Estradiol treatment onto BIA during differentiation, however, increased GPDH activity showing the highest activity (11.3 nmol/mg protein/min) at $10^{-10}$ M. Treatment of BIA with progesterone also increased (p<0.05) GPDH activity with the highest activity (13.8 nmol/mg protein/min) at $10^{-9}$ M. In conclusion, the results in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estosterone inhibits differentiation of BIA by suppressing GPDH activity while 17$\beta$-estradiol and progesterone have advers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