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alation method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초

제 1상 임상시험에서 용량 감량을 허용하는 MTD 추정법 (Maximum Tolerated Dose Estimation with Dose De-Escalation Design in a Phase I Clinical Trials)

  • 장은아;김동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7호
    • /
    • pp.1115-1123
    • /
    • 2014
  • 제 1상 임상시험의 주목적은 시험약의 독성을 평가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적정 용량인 최대허용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의 추정이다. 기존에 최대허용용량 추정 방법에는 SM방법(Storer, 1989; Korn 등, 1994), ATD방법(Simon 등, 1997) 그리고 DM방법(Dixon과 Mood, 1948)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가속 단계를 적용하여 약효가 없는 낮은 용량에 많은 피험자들이 배정되는 점을 보완하고, 이 초기 가속 단계로 빠르게 용량을 증가함으로 인해 떨어진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용량감량을 허용하는 방법을 적용시켜 MTD 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방법들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건설공사 중 물가변동에 따른 효율적인 계약금액 조정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Effective Adjustment Method for Construction Escalation/De-Escalation Price)

  • 성주용;김동진;이민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11
    • /
    • 2019
  • 시설공사는 도로, 철도 등 기간시설과 주거, 사무 공간 등의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행위로써 주문제작방식으로 시행되는 산업의 특성 상 대부분 장기간이 소요된다. 장기간에 걸쳐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공사를 구성하는 원재료 가격이 등락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사비 등락 또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공사비의 등락은 곧 시공사의 이익 및 정부의 예산지출의 효율성에 민감하게 맞물린다. 따라서 요구되는 공사품질 확보와 효율적인 예산지출 위해서는 합리적으로 공사비를 조정하여 적정한 수준의 시공비가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완충제도가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 조정제도(Escalation/De-Escalation)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계약금액 조정방법의 제안을 위하여 품목조정방식을 기반으로 지수조정방법을 접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물가변동 조정과 관련된 국가계약법령 및 계약예규에 반영되지 못한 사항들을 조사하여 법적으로 성문화하도록 제안하였다.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로크 상승 (Adaptive Lock Escalation in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장지웅;이영구;황규영;양재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4호
    • /
    • pp.742-757
    • /
    • 2001
  •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한계 이상의 로크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트랜잭션이 철회된 다 최악의 경우에는 트랜잭션들이 연속적으로 철회되어 시스템이 정지된 것과 같이 어느 트랜잭션도 완료 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크상승을 사용하지만 기존의 로크상 승 방법들은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응형 로크상승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로크상승에 대한 체 계적인 모델과 로크자원의 부족으로인한 트랜잭션 철회의 주 발생 원인인 상승불가능 로크의 개념을 제안 한다 또한 상승불가능 로크의 수를 제어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준로크상승, 로크블로킹, 선택적 강제수행의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적응형 로크상승 기법에 적용한다. 적응형 로크상승 기법은 불필요한 트랜잭션 털 회를 감소시키며 과다한 로크요청 상황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단계적으로 저하시키면서 시스템이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적용형 로크상승 기법의 성능을 검중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적응형 로크상승 기법은 기존의 로크상승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트랜잭션의 철회와 평균 응답시간을 크게 줄이고, 단위 시간당 트랜잭션 처리율을 향상시켰다. 특히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수가 15 에서 256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본 논문은 모호하게 인식되던 로크자원 관리 측면에서의 로크상승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상세 한 작동원리를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기존의 로크상승 방법들은 과다한 로크요청이 발생할 때의 문제를 사용자 또는 시스템관리자의 책임으로 처리한다. 반면에 적응형 로크상승 기법은 과다 한 로크요청이 발생할 때의 문제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므로 사용자의 부담을 크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최근 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자체조율(self-tuning)이 가능한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 개발에 공헌할 것이다

  • PDF

물가변동조정 사례분석을 통한 지수조정방법기반 계약금액조정 합리화방안 (The Rationalization of Contract Sum Adjustment through Case Study of Price Fluctuation Adjustment based on Index Adjustment Method)

  • 김성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70-78
    • /
    • 2011
  •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건설공사의 경우 공사수행기간동안 물가의 변동으로 인해 계약금액조정이 필요하며, 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일관되고 명확한 구체적 기준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물가변동이 발생되어 조정행위로 이어지기까지의 적용과정상 발생되는 핵심활동을 기반으로 실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합리적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문헌연구 및 관련제도분석을 토대로 물가변동 조정행위의 적용 프로세스를 구분하였고 프로세스별 핵심활동 20개를 정의하였다. 이를 측정변수화 하여 37개의 물가변동 사례를 통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결과 각 프로세스별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응하는 합리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주자는 불필요하게 지급될 수 있는 예산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계약상대자에게는 원활한 물가변동조정행위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리라 기대한다.

공공 건설공사에서의 실적공사비 적용에 따른 물가변동률 산정기준 개선방안 (Improved Escalation Method for the Cost Estimation System using Previous Bid Price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백승호;강태경;이유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8-11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적공사비 적용분에 대한 지수조정율 산정기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실적공사비 적용분에 대해 공종별 실적공사비 단가의 평균값을 적용하는 기존 방식은 단가 규모가 큰 6개 공종의 변동이 전체를 좌우하여 유사 물가지표와 다른 추세를 보이는 등 비판 소지가 있다. 이에 건설공사비지수 등을 활용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개선의 당위성을 검증하였다. 실적공사비 비목군에 대해 건설공사비지수 등락율을 적용하는 첫번째 대안의 경우 건설공사비지수가 생산자물가지수를 활용한 가공통계이므로 유사지표간 등락추세의 일관성을 기할 수 있고, 기존 방식에 비해 물가변동 대가가 현실화될 수 있게 된다. 노무비 부분을 분리하여 별도 기준을 적용하는 두 번째 방안도 실적공사비 적용분 노무비율 만큼 투입구조 왜곡 문제가 완화되며, 유사 물가변동지표에 근접하게 되고, 물가변동 대가가 현실화된다는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방식의 지수조정율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calation Method for Contract Adjustment Public Construction Project)

  • 배경태;최동수;황치원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7-120
    • /
    • 2005
  • The business market of architecture has got a system that controls a deposit according to the price function. This system is written on a law of contract about countries. So the main body of construction has to make a reasonable contract. This study is written about a rate of numerical index on controling a deposit. We tried to fine problems and solutions of labor expenses, instrument costs and material costs which is so big and changable on the construction market Labor expenses a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rate of construction scal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cost that applies ability of works. Instrument costs are expressed according to an output method of a unit price annually and a weight allowance of local instrument conditions and use frequence. The last material costs expressed according to a local weight allowance make a decision of the material cost index. They applies locally relative index more than absolute one on what uses the price rate of producers and importations. This solutions are not enough to apply to the real market, so it needs to exam and to be on the market after a feasibility study.

  • PDF

Statistical model for forecasting uranium prices to estimate the nuclear fuel cycle cost

  • Kim, Sungki;Ko, Wonil;Nam, Hyoon;Kim, Chulmin;Chung, Yanghon;Bang, Sungsi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1063-1070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forecasting future uranium prices that is used as input data to calculate the uranium cost, which is a rational key cost driver of the nuclear fuel cycle cost. In other words, the statistic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 model and existing engineering cost estimation method, the so-called escalation rate model, were subjected to a comparative analysis. When the uranium price was forecasted in 2015, the margin of error of the ARIMA model forecasting was calculated and found to be 5.4%, whereas the escalation rate model was found to have a margin of error of 7.32%. Thus, it was verified that the ARIMA model is more suitable than the escalation rate model at decreasing uncertainty in nuclear fuel cycle cost calculation.

물가 변동에 따른 건설공사비 조정 제도의 개선 방안 - 델파이(Delphi)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ies to improve the Escalating Regulations of Construction Price - With a Focus on Results of a Delphi Survey -)

  • 최민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6호
    • /
    • pp.203-211
    • /
    • 2004
  • 본 연구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Delphi) 설문조사를 통하여 물가 변동에 따른 건설공사 계약 금액 조정(escalation)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이다. 조사 결과, 에스컬레이션의 요건이 되는 건설공사비의 등락률은 소비자 물가 변동률 혹은 건설 공사비 지수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문가의 의견을 보면, 총 공사금액의 $3\%$ 수준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환율 및 국제 원자재 가격 등 단기적 충격 요인에 기인하는 자재 가격의 급등은 건설업체가 사전적으로 예측하여 대응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단품슬라이드 제를 도입하여 특정 자재의 가격 급등에 대하여 에스컬레이션을 허용할 필요성이 있다. 등락률의 산정 방식으로는 지수조정률보다는 개별 공사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품목조정률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수조정률이 합리적으로 기능하기 위하여는 품목별 공종별로 노임지수와 자재지수, 기계경비지수 등이 산출되어 발표될 필요성이 있다. 에스컬레이션의 기산일로서는 현행 법령에서는 계약 체결일로 규정되어 있으나, 계약 체결 이전부터 물가 변동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입찰일로 규정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물가변동에 따른 실적공사비 등락률 산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 Schemes to Historical Cost Fluctuation Ratio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Escalation)

  • 정기창;김영애;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40-54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물가변동에 따른 실적공사비 등락률 산출 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실적공사비 내역이 포함된 현장을 표본으로 실적공사비적용 방식 및 품셈적용 방식으로 물 가변동률을 산출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물가변동금액 산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공사 내역 중 실적공사비 단가로 작성된 내역에 대해선 품셈 방식을 준용하여 물가변동 부분을 산출하는 것이 더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산출방식에 혼선이 없도록 관련 법령 및 규정에서의 실적공사비 등락률 산출부분을 품셈으로 풀어 산정하도록 일부개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conomic Development, Globalization, Political Risk and CO2 Emission: The Case of Vietnam

  • VU, Thi Van;HUANG, De Chu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21-31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ynamic effects of economic development, international cooperation, electricity consumption, and political risk on the escalation of CO2 emission in Vietnam. We adopted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and Granger causality method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CO2 and various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includ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trade openness, economic growth, manufacture, electricity consumption, and political risk in Vietnam since the economic revolution in 1986. The findings reflect opposite influence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level of CO2 in the intermediate and long-term durations. Accordingly,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CO2 emission have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in which foreign direct investment accelerates short-term CO2 emission, but reduces it in the long run through an interactive mechanism. Moreover, economic development increases the volume of CO2 emission in both short and long run. There was also evidence that political risk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 Overall, the findings confirm lasting negative environmental effects of economic growth, trade liberalization, and increased electricity consumption. These factors, with Granger causality, mutually affect the escalation of CO2 in Vietnam. In order to control the level of CO2, more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attract high-quality foreign investment, and decouple the environment from economic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