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table mathematics teach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Enhancing Geometry and Measurement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Rigorous Problem Solving and Equitable Instruction

  • Seshaiyer, Padmanabhan;Suh, Jennifer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201-225
    • /
    • 2022
  • This paper details case study vignettes that focus on enhanc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in the elementary grades with attention to pedagogical practices for teaching through problem solving with rigor and centering equitable teaching practices. Rigor is a matter of equity and opportunity (Dana Center, 2019). Rigor matters for each and every student and yet research indicates historically disadvantaged and underserved groups have more of an opportunity gap when it comes to rigorous mathematics instruction (NCTM, 2020). Along with providing a conceptual framework that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equitable instruction, our study unpacks ways teachers can leverage their deep understand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learning trajectories to amplify the mathematics through rigorous problems using multiple approaches including learning by doing, challenged-based and mathematical modeling instruction. Through these vignettes, we provide examples of tasks taught through rigorous problem solving approaches that support conceptual teaching and learn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Specifically, each of the three vignettes presented includes a task that was implemented in an elementary classroom and a vertically articulated task that engaged teachers in a professional learning workshop. By beginning with elementary tasks to more sophisticated concepts in higher grades, we demonstrate how vertically articulat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trajectory in geometric thinking can add to the rigor of the mathematics.

수학수업에서 공평성에 관한 한국과 미국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A Cross-National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Equitable Mathematics Teaching)

  • 이지은;김진호;임웅;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4호
    • /
    • pp.349-360
    • /
    • 2016
  • 이 연구는 공평한 수학 수업에 대하여 한국과 미국 예비초등교사들이 보는 관점을 밝히고자, 공평한 수학 수업, 교사의 역할, 공평성 관련한 주장 등에 대한 입장들을 비교하였다. 공동연구자 중 2명이 2015학년도 2학기에 담당한 강좌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 참여에 동의했던 한국 예비교사 51명과 미국 예비교사 33명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설정하였다. 설문 문항은 공평성의 관점에서 수학적 능력, 수업 상황, 학습 기회와 학습성취, 집단 구성, 도전적인 과제, 학생의 문화 등의 측면을 묻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학적 능력을 타고 난다는 생각, 동일한 기회 제공이 중요하다는 생각, 학습성취에 따라 동질 집단 구성을 해야한다는 생각 등과 같은 공평성의 추구에서 지양하고 있는 입장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한국 예비교사교육과 교육정책과 관련된 것으로서, 예비교사교육에서 공평한 수학수업 실천을 위한 쟁점에 대하여 논의가 요구되며 교육정책 설정에서 공평성 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Choosing to See: A Framework for Equity in the Math Classroom by Pamela Seda and Kyndall Brown (2021)

  • Valerie N. L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39-43
    • /
    • 2023
  • Choosing to See: A Framework for Equity in the Math Classroom is a book intended to be a practical tool for teachers to build empowering mathematics classrooms for their students from marginalized groups. Pamela Seda and Kyndall Brown provide concrete guidance using seven key principles, the ICUCARE (pronounced "I See You Care") Equity Framework, to provide a pathway for teachers for how to meaningfully make their classrooms a more equitable space for all students.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Investiga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in Mathematics Classroom with Immigrant Students)

  • 송륜진;노선숙;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37-63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수학수업의 실태를 파악을 위해 다문화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준의 수학수업을 관찰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삶과 맥락화', '수학적 대화' 범주에서 양적 질적 분석결과 다문화수학교육의 준거에 부합하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긍정적인 기대'범주에서는 양적 분석 결과가 긍정적이었던 반면 질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사의 불평등한 신념과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모든 범주에서 다문화수학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검사 결과는 수학교사가 다문화수학수업의 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교수법 등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학교의 연대 책임: 다수준 분석 방법의 적용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Responsibility: Its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 김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33-351
    • /
    • 2017
  • Schools are expected to ultimately moderate the difference of inequality issues among social groups and reduce the achievement gaps. This study investigates this expectation, in particular, how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s a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educ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nd by collectiv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at the school level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the two. Using a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this study indicates that a school collective responsibility has a larger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when their parents' education level is high. This means that school's collective responsibility accelerates inequity i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Knowing that collective responsibility has less of an effect on students whose parents' education is not high, researchers, schools, and school districts should continue to search for school effects that have more of a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chievement for students whose parents' education is not high in order to have more equitable results for all students.

Working with Diverse Learners in Mathematics Classrooms: An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Reflected in Lesson Planning

  • Lee, Ji-Eun;Jongekrijg, Terr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9-33
    • /
    • 2019
  • While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strives to promote equitable mathematics learning and identifies it as a core instructional practice, less is known about its effective enactment. As teachers' teaching practices are dependent on their views and beliefs, this study investigated 133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STs') interpretations of diverse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and proposed accommodations for them as reflected in their lesson planning process. Findings showed that PSTs came up with some strategies that are often suggested in teacher education literature, such as using multiple modes of representation and various grouping strategies. However, their responses were generic in nature rather than specific to diverse learners. Also, it was noted that many PSTs' interchangeably referred to the English Language Learners (ELLs), struggling learners, and culturally diverse learners, inferring that they thought that culturally diverse students must have been ELLs and that ELLs or culturally diverse students must have been weaker students in math. We found that the PSTs used their own frames while filtering and discarding information about diverse student populations to develop instructional plans, rather than bas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s of learning. We suggest that it is the critical first step to unwrap PSTs' unproven assumptions to better equip them for working with all of their future students.

교육평등을 위한 수학 교수법: 저소득층 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대한 다양성 수용 수업의 효과와 교사-학생 관계의 매개효과 분석 (Teaching mathematics for equity: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diversity-inclusive instru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with a low economic status)

  • 조승아;주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71-86
    • /
    • 2023
  • 팬데믹 이후 '평등'이 사회적 화두로 다시금 제기되면서 교육평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육평등 실행 방안의 탐색을 위해 PISA2012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성 수용수업이 저소득층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양성 수용 수업은 저소득층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다양성 수용 수업이 교사-학생 관계를 매개로 하여 저소득층 학생의 수학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학생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교사가 학생과 지속적 돌봄의 관계를 형성하며 학생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교수법이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적 취약성을 보완하여 수학성취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성 수용 수업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다양한 취약 집단 학생의 수학성취도 분석으로 확장함으로써 다양성 수용 수업이 교육 평등 실행 방안으로서 갖는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교육평등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미국 수학교사의 교수 질 평가도구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수학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의 일반화가능도 이론 활용성 탐색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to Mathematics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Quality Assess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n the U.S.)

  • 김성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31-455
    • /
    • 2014
  • 이 연구는 미국 수학교사의 교수 질 평가도구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수업관찰 평가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자료는 2007년부터 미국국립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고 있는 중등수학 교수와 제도적 구성 프로젝트에서 수집한 수학 수업관찰 평가 종단 자료 중 3차년도와 4차년도의 96명의 수학교사 수업관찰 평가점수를 활용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대규모로 야심차고 공평한 교수 실제를 위한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탐구하고 있다(MIST, 2007). 이 연구에서는 GENOV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그리고 mGENOV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수 질 평가도구를 사용한 수학 수업관찰 평가에서 발생하는 오차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적정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최적의 측정 조건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적 틀은 평가의 측정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을 평가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최적의 측정 조건을 탐구하는데 적용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