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is

검색결과 796건 처리시간 0.029초

加味托里消毒飮이 瘡傷 治癒에 미치는 影響 (The Effects of GamiTakliSodocyum on Wound Healing)

  • 서형식;노석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9-111
    • /
    • 2001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iTakliSodocyum(GTS) on wound healing, migration of epidermis, formation of granulation tissue and number of capillary within the granulation tissue were measured in diabetic mice by local application and NZW rabbits by local application and prescription of medicine in vivo, and proliferation of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composition of extracellular matrix were measured in vitro.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2\%,\;10\%$ GTS remarkably increased migration of epidermis in diabetic mice by local application. 2. $2\%,\;10\%$ GTS remarkably increased formation of granulation tissue, number of neovascularization within the granulation tissue in diabetic mice by local application. 3. 5\%,\;10\%$ GTS remarkably increased migration of epidermis in NZW rabbits by local application. 4. $5\%,\;10\%$ GTS remarkably increased fonnation of granulation tissue, number of neovascularization within the granulation tissue in NZW rabbits by local application. 5. $5\%,\;10\%$ GTS increased migration of epidennis in NZW rabbits by prescription of medicine. 6. $5\%,\;10\%$ GTS increased formation of granulation tissue, number of neovascularization within the granulation tissue in NZW rabbits by prescription of medicine. 7. GTS didn't show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8. GTS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9. GT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rocoliagen ${\alpha}1(I) mRNA in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10. GT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fibronectin mRNA in cultured human dennal fibroblasts according to dosage of GTS using northern blot hybridization but didn't increase, using RT-PCR.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 that GTS might use on wound healing.

  • PDF

애기장대의 shoot 생장과 내부조직에 미치는 인공산성비의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Shoot Growth and Internal Tissue of Arabidopsis thaliana)

  • 박종범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89-894
    • /
    • 2005
  • 인공산성비를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에 처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줄기와 잎의 생장 변화와 내부구조의 형태변화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pH 3.0의 인공산성비를 애기장대에 15일 동안 직접 처리한 식물의 줄기 생장은 산성비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식물의 줄기 생장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외형적인 형태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식물 줄기의 내부구조는 정상식물 줄기에 비하여 표피조직과 피층 조직이 일부분 파괴되어 산성비에 의한 피해가 있었음이 관찰되었다.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식물의 잎 생장은 정상식물 및 생장과 비교하여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외형적인 형태에서는 변화가 관찰되었다.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식물의 잎 표면에서는 상표피의 많은 부위에서 흰 괴사반점이 뚜렸하게 관찰되었다. 인공산성비에 의하여 괴사반점이 나타난 잎의 내부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잎 표피세포는 큐티클층이 파괴되어 압착되었고 엽육 조직의 세포들도 역시 심하게 파괴되어 수축된 반면에 유관속 조직의 구조적 변화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산성우(酸性雨), 건조(乾燥) 및 식염수(食塩水) 처리(處理)에 따른 잣나무와 은행나무 잎의 조직변화(組織變化) (Histological Changes in Pinus koraiensis Needles and Ginkgo biloba Leaves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Drought and Salt Solution)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3권1호
    • /
    • pp.55-62
    • /
    • 1986
  • 본(本) 연구(硏究)는 잣나무와 은행나무에 대하여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 건조(乾燥) 및 식염수(食鹽水)를 처리(處理)하여 가시적(可視的) 엽피해(葉被害)를 유발(誘發)시켰을 때 수종간(樹種間) 및 처리간(處理間)의 엽피해(葉被害)에 대한 조직변화(組織變化)를 알아보고자 시도(試圖)되었다. 잣나무의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관찰(觀察)된 것은 엽육조직(葉肉組織)의 파괴(破壞)였으며, 산성우(酸性雨)에 의한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는 표피(表皮)가 파괴(破壞)되었으며, 건조(乾操)에 의한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는 표피(表皮), 엽육조직(葉肉組織) 및 내피(內皮)가 수축되거나 변형(變形)되었으며, 식염수(食鹽水)에 의한 피해(被害)는 사부(篩部)와 이입조직(移入組織)(transfusion tissue)의 파괴(破壞) 등이 각각 특이(特異)한 점으로 나타났다. 한편, 은행나무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관찰(觀察)된 것은 해면조직(海綿組織)의 파괴(破壞)였으며 산성우(酸性雨)에 의한 피해(被害)로는 표피(表皮)와 책상조직(柵狀組織)의 파괴(破壞), 건조(乾操)에 의 한 피해(被害)로는 해면조직(海綿組織)의 수축 변형(變形), 식염수(食鹽水)에 의한 피해(被害)로는 내피(內皮)와 이입조직(移入組織)의 가벼운 비대현상(肥大現象)과 파괴(破壞) 등이 각각 특이(特異)한 점이었다.

  • PDF

아토피 피부염 외치치료제 처방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prescription on atopic dermatitis)

  • 김건우;박지원;심부용;김동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3-20
    • /
    • 2014
  • Objectives : Atotang was composed of 10 kinds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xamine biological effects of Atotang for the development of prescription on atopic dermatitis. Methods : Atotang was extracted with 80% EtO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has tested for anti-oxidative activity as well as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We observed the production of ROS, nitric oxide(NO) and the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1beta(IL-${\beta}$),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Prostaglandin E2($PGE_2$) in Raw 264.7 cells stimulated by LPS. We used Disc diffusion method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y on Candida albicans,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s. Result :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 of Atotang was 36.3 mg/g ext.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ies were 77% and 46% at 200 ug/ml respectively, showing dose-dependent increase. The amounts of ROS and NO in RAW 264.7 cells were decreased by 30% and 19% at 200 ug/ml, respectively, showing dose-dependent decrease. The prodcution of IL-1beta, IL-6 and TNF-alpha in RAW 264.7 cells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 by 81%, 67%, and 20% at 200 ug/ml, respectively. Atotang was reduced LPS-stimulated production of $PGE_2$ by 33%. Atotang on C. albicans, S. aureus and S. epidermis was selected by a disc diffusion method and inhibition effect of the Atotang on the growth of S. epidermis was the greatest.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d that Atotang showed biological activities show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Atotang can be applied to the prescription on atopic dermatitis.

Diagnosis of Subclinical Mastitis-Causing Pathogens Using MALDI-TOF Mass Spectrometry in a Certified Organic Dairy Farm in Korea

  • Sung Jae Kim;Hyun-Tae Kim;Yo-Han Ki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93-398
    • /
    • 2023
  • We identified mastitis-causing pathogens us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LDI-TOF) in an organic dairy farm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antimicrobial restriction 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 total of 43 Holstein cows without any clinical sign of mastiti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172 quarter milk samples were cultured on blood agar plates for 24 hours at 37℃. Subsequently, bacterial species were identified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were performed. The subclinical mastitis infection rates in the cows and quarters were 58.1% (25/43) and 25.6% (44/172), respectively. In the species identification, Staphylococcus aureus (40.9%) was the most prominent isolate, followed by S. chromogenes (22.7%), S. epidermis (18.2%), S. simulans (11.4%), S. haemolyticus (2.3%), S. muscae (2.3%), and S. xylosus (2.3%). In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ll isolates were 100% susceptible to 24 of 28 antibiotics, except for benzylpenicillin, cefalotin, cefpodoxime,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he resistance rates of S. aureus, S. chromogenes, and S. muscae isolates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were 27.8%, 10%, and 100%, respectively, and the resistance rates of S. epidermis and S. xylosus to benzylpenicillin were 50% and 100%, respectively. S. chromogenes, S. epidermis, S. simulans, S. haemolyticus, and S. xylosus were resistant to cefalotin and cefpodoxime. In conclusion, restrictions on antimicrobial use for organic dairy farm certification have resulted in a high Staphylococcus spp. infection rate. Therefore, our stud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mastitis management strategies implemented by farmers together with veterinary practitioners, even if mastitis does not appear clinically in organic dairy farms.

과실생육시기별 '유명' 복숭아의 과실조직 발달과 당 변화 (Changes of Fruit Structure and Sugar Contents during the Fruit Growth and Development in 'Yumyeong'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 조명동;박희승;김용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53-359
    • /
    • 2000
  • 유명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중적인 복숭아 품종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복숭아 유명 품종의 과실 생장과 발달과정에서의 세포 및 조직의 발달과 내부물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개화기의 유명복숭아는 2열로 형성된 유관속 조직을 가지고 있었으나 과실이 발달하는 동안 내부유관속은 일정한 수와 위치를 유지하는데 반하여 과육조직에서는 유관속조직 수가 계속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하게 분포하였다. 개화기에는 건전하게 보이는 2개의 배주를 가지고 있었으나 내주피와 외주피의 구분을 할 수가 없었으며 하나의 주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주피와 내부유관속 사이의 세포들은 과실 발달 중에 다른 유조직 세포들과는 다른 발달 양상을 보여 타닌을 계속 함유하고 있는 작고 조밀한 세포들이 밀집하는 것으로 나타나 복숭아의 핵은 내표피를 포함하여 내부유관속 사이의 세포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개기에 1층의 세포들로 이루어졌던 outer epidermis는 만개후 14일에는 수평방향으로의 세포분열에 의해 1~2층으로 형성되었으며 만개후 30일에는 수직방향으로의 세포분열에 의해 5~6개 층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outer epidermis를 구성하는 세포층 수는 점차 감소하여 성숙기에는 1~2층으로 구성되었으며 epidermis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관찰한 결과 복숭아 과실의 hypodermis 층을 구성하는 세포의 일부는 outer epidermis의 세포들로부터 유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개후 35일경부터 유관속조직에서 틸로시스가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틸로시스는 성숙기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당조성은 유과기에는 포도당과 과당이 많았다가 수확기에는 자당이 증가하였다. 자당은 만개후 50일부터 만개후 120일까지 급격하게 증가한 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당은 경핵기가 끝난 직후인 만개후 80일 이후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착생에 따른 담쟁이덩굴 흡착근 표피조직의 변화 (Epidermal Changes of the Adhesive Disks During Wall Attachment in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김정하;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83-91
    • /
    • 2007
  • 식물체는 기관에 따라 조직 및 세포의 종류와 배열이 분화 초기단계에 이미 정해져 특징적인 형태를 갖게 되나 여러 요인에 의해 변형되기도 한다. 줄기에 덩굴손이 변형되어 부정근인 흡착근을 형성하는 담쟁이덩굴은 벽면 등의 피착면에 착생하는 식물로 이들의 흡착근은 특징적인 구조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착생에 따른 담쟁이덩굴의 흡착근 표피조직의 분화양상을 전자현미경적으로 추적하여 연구하였다. 흡착근은 분화 초기에 경정단 분열조직으로부터 포에 둘러싸여 발달한다. 초기의 어린 흡착근은 곤봉형으로 상 하피 구별이 되지 않으나 활발히 생장하는 흡착근은 구형으로 상 하피가 뚜렷이 분화된다. 최외층의 표피는 장방형의 세포로 구성되며 이들 표피세포는 세포벽에 얇은 각피층을 지닌다. 착생 전 흡착근은 볼록한 평철형이 되고 표피세포내 액포에는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물질이 다량 축적된다. 착생 직전 및 직후 흡착근의 상 하피조직은 빠르게 변형되어 액포에 축적된 물질이 분비되면서 피착면에 더욱 밀착되고 수분이 소실된 흡착근은 세포사멸의 과정을 거친다. 이 시기 하피조직에서의 변화는 상피조직에 비해 급격히 일어나며, 분비물질은 벽면에 강력히 흡착되어 착생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착생을 전후로 급격한 하피조직의 변화가 일어나 흡착근 하피조직의 외곽면이 먼저 피착면에 접촉하고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이 분비되어 오목한 상태를 유지하던 중앙부위도 물질이 분비되면서 흡착근 전체가 부착되게 된다. 즉,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의 분비와 수분소실에 의한 흡착근의 피착면으로의 밀착 등이 담쟁이덩굴 흡착근의 착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매년 이와 같은 방법으로 흡착근은 분화 초기단계에서부터 노화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치며 신속한 형태적, 구조적 변화를 수반하면서 강력한 착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토끼 면역항체를 선모충유충 조직항원에 반응시켰을 때 충체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 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 황금입자가 표지되었다. 따라서 1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는 반면에 3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 과립에서 유도되고, 선모충유충 감염후 1주, 4주에 실험쥐에서 형성되는 감염항체는 선모충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에서 분비되는 항원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상의 결과로 선모충의 분비배설항원과 감염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EIM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며 이들은 45 kDa 단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성하고 있는 세포들에는 세포질이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있었으며,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눈물샘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것과 비슷하였으나, 과립의 크기는 작았다. 분비관을 구성하는 세포들 사이에도 연접복합체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었다. 샘포에서 사이관으로 이행되는 곳에서도 샘포세포와 사이관세포 사이에서도 연접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분비관세포의 분비과립 가운데는 중심부분에 전자밀도가 더 높은 중심을 가진 다른 모양의 과립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의해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 론: 자궁경부암 환자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에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의 강내조사를 시행한 결과 독성이 심하지 않고 국소제어율과 단기 생존율이 양호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장기 생존율과

진피세포의 조성이 인공피부의 기저막과 표피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rmal Cell Combination on the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Epidermis in Skin Equivalents)

  • 이해란;정효순;김잔디;윤혜영;백광진;권년수;민영실;박경찬;김동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9-224
    • /
    • 2012
  • 최근 유럽연합에서는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증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품에 대하여 판매를 금지할 것을 선언하였다. 그리하여 동물실험을 대체할 동물실험 대체모델의 개발이 필요해졌다. 인공피부는 화장품,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안전 테스트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저막과 표피를 가지고 있는 최적의 인공피부를 만들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중간엽줄기세표(MSCs, mesenchymal stem cells)와 지방전구세포를 진피세포인 섬유모세포와 혼합하여 진피대체물을 만들었다. 기저막과 표피의 형성은 면역조직화학 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s)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모델 중에서, 중간엽줄기세포를 혼합한 모델에서 표피의 두께가 제일 두꺼웠으며 또한 PCNA와 involucrin의 분포가 실제 사람피부와 비슷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진피대체물에 중간엽줄기세포를 혼합한 인공피부가 동물실험 대체모델로 개발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자연하천에 서식하는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피부 점액세포의 계절변화 (Seasonal Change of Skin Mucus Cells of Misgurnus mizolepis (Cobitidae) Dwelling in a Natural Stream in Korea)

  • 오민기;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0-237
    • /
    • 2010
  • 자연하천에 서식하는 미꾸라지의 등, 체측, 후두부 피부조직에 대한 점액세포의 계절변화를 조사하였다. 2008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계절변화에 대한 월별 조사에서 피부조직의 일반적인 형태변화는 없었으나, 상피조직 단위면적당 존재하는 점액세포의 크기와 개수는 겨울철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름철에 가장 낮게 나타나 계절변동에 따른 점액세포의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특히 후두부 부위는 점액세포의 계절변동 폭이 크고, 늦가을 환절기의 기온급감에 따른 점액세포의 급격한 변화를 보여 환경변화에 대한 반응이 가장 민감한 부위로 여겨진다. 또한 점액세포는 수온이 감소함에 따라 외부형태가 작은 구형에서 크고 긴 원주세포형으로 변화하였으며, 다량의 점액물질이 분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저온"은 겨울철 미꾸라지 피부의 점액세포를 변화시키는데 밀접한 연관이 있는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여겨진다.

반모(斑蝥), 남성(南星), 반하(半夏)(생(生))추출 혼합물의 발모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Hair Growth Activity of Trimix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risaematis Rhizoma and Pinelliae Rhizoma Ternata in C57BL/6N mice)

  • 정한솔;조한영;이창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116-1124
    • /
    • 2009
  • To determine whether topical application of trimix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risaematis Rhizoma and Pinelliae Rhizoma Ternata lead to affects on the hair growth activity in C57BL/6N mice. To examine the hair growth activity of the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risaematis Rhizoma and Pinelliae Rhizoma Ternata gross, microscopic, and immunohistochemical method were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mRNA expression of hair growth related substance, RT-PCR method was performed. Experimental group I on day 14, The most extensive hair growth activity was observed in whole skin area of all the mice whose hair had been clipped. Brdu immunoreactive cell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more heavily stained in epidermis, bulge, outer root sheath, inner root sheath, subcutaneous tissue, hair bulb and cutaneous trunci muscles than that of control group on day 12 of hair growing cycle in C57BL/6N mice. VEGF immunoreactive density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as more heavily stained in epidermis, bulge and cutaneous trunci muscles than that of control group on day 12. FGF and c-kit immunoreactive cell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heavily stained in epidermis, outer root sheath, inner root sheath and cutaneous trunci muscles on day 12. PKC-$\alpha$ immunoreactive density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as mildly stained in epidermis and cutaneous trunci muscles than that of control group on day 12. On day 12, the expression of bFGF (138%, 119%, 120%), VEGF (146%, 144%, 133%), IGF-1 (165%, 141%, 119%) and PLI (121%, 116%, 123&) in each experimental groups was more increas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On day 16, The expression of IGF-1 (126%, 149%, 151%)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ncreas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100%). The expression of bFGF (92%, 94%) and VEGF (101%, 97%), PL1 (102%, 109%)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decreased than that of experimental group I, II on day 12. But the expression of bFGF (109%) and VEGF (127%), and PL1 (105%) in each experimental group III was more increas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100%).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trimix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risaematis Rhizoma and Pinelliae Rhizoma Ternata may stimulate the topical hair growth activity and its experimental group I can be useful for treatment of alopecia are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