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miology investigation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8초

최근 국내발병 개 파보바이러스성 장염에 대한 역학적 조사 (Epidemiological Observation on Recent Outbreaks of Canine Parvoviral Enteritis in Korea)

  • 정석영;김두;안소저;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3-229
    • /
    • 2006
  • 세계적으로 canine parvovirus(CPV) 고역가 백신이 사용된 후 CPV 감염이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도 CPV 장염의 발생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6월부터 2005년 5월까지 CPV 장염으로 확진된 140두를 대상으로 CPV 장염의 역학적 조사와 CPV 장염에 이환된 환축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역학적 요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CPV 장염은 6-18주령의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았거나 불완전하게 실시한 개체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CPV 장염에 이환된 개 중 암컷의 생존율이 숫컷보다 높았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생존율이 높았다(p<0.05). 그리고 HI 항체가가 낮을수록 폐사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 주요 임상증상으로 설사, 구토, 기면과 탈수증상이 대부분의 환축에서 나타났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하는 CPV 장염은 CPV에 대한 예방접종의 실패와 CPV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이 부적당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면역이 완전히 형성되기 전의 어린 개들은 CPV에 오염된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예방관리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기도 지역 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증상에 관한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 박혜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91-104
    • /
    • 2007
  • 측두하악장애증상과 이와 관련될 수 있는 기여요인들의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측두하악장애증상의 증상별 빈도, 성별, 연령별 양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 중 한 가지 이상의 측두하악장애 주관적 증상을 가진 자는 80.6%였다. 2.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증상은 두통(45.7%)이고 그 다음이 관절음(43.5%)이었는데 두 가지 모두 남녀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20대 남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급성 부정교합 증상 비율이 낮았으며, 20대 여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증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4.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증상으로는 개구시 악관절부 동통,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턱 피곤함, 급성 부정교합 증상이 있고,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기여요인으로는 턱 괴기, 스트레스, 껌씹기, 불면증, 이악물기가 있다. 5. 기여요인과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이악물기, 불면증, 편측저작, 턱 괴기, 스트레스에서 유의성이 높았다. 6.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보통 성격과 관련성이 높았다.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Training Health Volunteers in Promoting Pap Smear Test Use among Iranian Women Based on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 Ghahremani, Leila;Harami, Zahra Khiyali;Kaveh, Mohammad Hossein;Keshavarzi, Sare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157-1162
    • /
    • 2016
  • Background: Cervical cancer is known as one of the most prevalent types of cancers and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can be detected by Pap test, prevented, and treated. Despite the effective role of Pap test in decreasing the incidence and mortality due to cervical cancer, it is still one the most common causes of cancer-related deaths among women,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implemented by health volunteers based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PMT) on promoting Pap test use among women. Materials and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60 health volunteers and 420 wome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intervention and a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using a valid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and PMT constructs which was completed by both groups before and 2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Then, the data were entered into the SPSS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19 and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P<0.05 was conside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ean scores of PMT constructs (i.e. perceived vulnerability, perceived severity, fear, response-costs, self-efficacy, and intention) increased in the intervention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00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response efficacy after the intervention (P=0.06). The rate of Pap test use also increased by about 62.9% among the study women.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MT-based training and Pap test use. The results also revealed the successful contribution of health volunteers to training cervical cancer screening. Thus, training interventions based on PMT are suggested to be designed and implemented and health volunteers are recommended to be employed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promoting the community's, especially women's, health.

한국의 잔디병해 연구사 (Research Review on Turfgrass Disease in Korea)

  • 심규열;이정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2호
    • /
    • pp.87-97
    • /
    • 2018
  • 잔디는 공익적 기능, 오락 및 휴양 그리고 미적인 측면에서 인간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잔디병해는 골프장, 운동장, 공원, 잔디재배지 등에 피해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며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한국의 잔디병해 연구는 아직 다른 분야에 비하여 관심이 낮은 편이지만 잔디병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잔디병 관련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고, 국내 잔디병 연구사를 정리하여 앞으로의 잔디병리 분야의 발전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논문은 국내학술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논문탐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잔디병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 분석하였다. 국내 잔디병과 관련된 논문은 약 80여 편이 한국잔디학회지에 게재되어 전체 논문의 50%를 차지하였다. 이 중 잔디병 방제에 대한 논문이 전체논문 대비 50%를 차지하였다. 잔디병해 별로는 라이족토니아마름병(large patch)에 대한 연구가 3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동전마름병(dollar spot) 18%, 피티움마름병(Pythium blight) 10%, 설부병(Typhular blight) 8%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잔디병은 15종류이다. 잔디병 방제를 위하여 국내에 등록된 약제의 수는 542개로 갈색잎마름병, 녹병, 누른잎마름병, 동전마름병, 라이족토니아마름병, 설부소립균핵병, 여름잎마름병, 탄저병, 피티움마름병, 흰가루병과 조류에 등록되어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미보고된 잔디병해의 학문적 탐색과 병명의 정립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병방제를 위하여 잔디병에 대한 생리, 생태학적인 연구와 더불어 친환경적 방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개 코로나바이러스성 장염의 발생 역학 (Prevalence of Canine Coronaviral Enteritis in Korea)

  • 정석영;안소저;박선일;김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9-215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생하는 CCV 장염의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3년 6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전국의 10개 지역 동물병원에서 설사증상을 보이는 381두의 분변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이중 358두는 혈청학적 검사를 위하여 혈청 시료를 채취하였다. 또한 CCV 장염의 발생에 대한 역학적 조사와 CCV 장염에 이환된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역학적 요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사증상을 보이는 총 381두중 131두(34.4%)가 CCV 장염으로 확진되었으며, 그 중 30.5%의 변에서는 genotype I이 검출되었고 29.0%에서는 genotype II가 검출되었으며 40.5%에서는 genotype I과 II가 혼합 감염되어 있었다. CCV 장염은 6-18주령의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았거나 불완전하게 실시한 개체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주요 임상증상으로 설사, 구토와 식욕 결핍 증상이 대부분의 환축에서 나타났다. CCV에 이환된 환자 중 나이가 많거나 예방접종을 완료했을 경우 생존율이 높았으며(P < 0.05) 식욕 결핍이 없는 개체일수록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P < 0.01). CCV 장염에 이환된 환자의 대부분은 개 파보바이러스(CPV-2)와 혼합감염되었으나 이로 인한 생존율에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국내에서 CCV의 감염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CCV 장염은 어린 개체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확인되었으므로 CCV 감염된 집단으로부터 감수성 있는 개체를 분리하고 CCV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집단식중독 환자에서 검출된 노로바이러스 및 아스트로바이러스의 분자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al Study of Outbreak of Gastroenteritis Associated with Norovirus and Astrovirus in Busan, Korea)

  • 구희수;조현철;백형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999-1006
    • /
    • 2016
  • 2016년 3월, 부산 D대학 인근 음식점에서 모임을 한 후, 설사, 구토를 호소하는 환자들이 발생하였다. 역학조사팀은 설사 환자 및 해당 음식점 조리종사자에 대한 분변 검체를 수집하였고 해당 음식점 주방에서 식품용수에 대한 채수도 진행하였다. 인체 검체 42건에서 노로바이러스 16건, 아스트로바이러스 8건이 검출되었으며, 노로바이러스의 경우는 GI, GII genogoup 모두 검출되었으며, GI.3, GI.4, GII.4, GII.13, GII.17, GII.21로 6가지 다양한 유전자형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아스트로바이러스의 경우 Type 5과 Type 2의 유전자형 분포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노로바이러스와 아스트로바이러스가 복합 감염된 3 케이스도 포함되어 있었다. 노로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GII.4형이 유행하고 있고, 최근에는 GII.17형이 출현하고 급증하는 동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GII.17형이 가장 우세하였으며, 아스트로바이러스 경우는 국내에서 우세한 유전자형인 Type 1인 것과는 차이가 있는 사례였다. 특히, 부산지역에서 아스트로바이러스가 식중독 발생의 원인이 된 경우는 이번이 첫 사례여서 본 연구를 통하여 부산지역의 식중독 발생에 새로운 발생 양상을 파악하는 매우 특징적 결과를 얻었다.

Ciprofloxacin 내성 대장균에서 Sequence Type과 Fluoroquinolone 내성의 분석 (Analysis of Sequence Type and Fluoroquinolone Resistance in Ciprofloxacin-Resistant Escherichia coli)

  • 조혜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7-224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fluoroquinolone (FQ) 내성 그람음성균이 출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에서 FQ 내성 E. coli의 증가 추세는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8년 6월부터 12월까지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iprofloxacin 내성 E. coli 56균주를 대상으로, 역학관계와 FQ 내성 결정인자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역학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을 실시하였다. PCR과 염기서열 분석은 gyrA, gyrB, parC, parE 유전자의 QRDR에서 염색체상의 돌연변이와 aac(6)-Ib-cr, qepA, qnrA, qnrB, qnrC, qnrD 및 qnrS와 같은 PMQR 유전자의 빈도를 확인하였다. MLST 분석 결과, 12개의 ST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가장 우세한 ST는 ST131 (31/56, 55.4%)이었고, 순차적으로 ST1193 (13/56, 23.2%), ST405 (3/56, 5.4%)의 결과를 보였다. ciprofloxacin 내성 E. coli 56균주 중 gyrA 유전자에서 83번째 아미노산인 serine (S)이 leucine (L)으로, 87번째 아미노산인 aspartic acid (D)가 asparagine (N)으로 치환되고, parC 유전자에서 80번째 아미노산인 serine (S)이 isoleucine (I)으로, 84번째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 (E)가 valine (V)으로 치환된 결과(29/56, 51.8%)가 가장 빈번하게 확인되었고, aac(6)-Ib-cr (19/56, 33.9%)은 가장 흔한 PMQR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FQ 내성 결정인자의 결과는 다른 클론과 비교하여 ST131에서 더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ciprofloxacin 내성 E. coli 균주에 대한 역학적 특성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FQ 내성 결정인자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eld and laboratory investigat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6 and H5N8 in Quang Ninh province, Vietnam, 2020 to 2021

  • Trong Duc Tran;Suwicha Kasemsuwan;Manakorn Sukmak;Waraphon Phimpraphai;Tippawon Prarakamawongsa;Long Thanh Pham;Tuyet Bach Hoang;Phuong Thi Nguyen;Thang Minh Nguyen;Minh Van Truong;Tuan Pham Dao;Pawin Padungtod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20.1-20.15
    • /
    • 2024
  • Background: Avian influenza (AI) is a contagious disease that causes illness and death in poultry and humans. High pathogenicity AI (HPAI) H5N6 outbreaks commonly occur in Quang Ninh province bordering China. In June 2021, the first HPAI H5N8 outbreak occurred at a Quang Ninh chicken farm.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PAI H5N6 and H5N8 outbreaks in Quang Ninh.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in Quang Ninh from Nov 2021 to Jan 2022. The cases were households with susceptible poultry with two or more clinical signs and tested positive by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controls were households in the same village as the cases but did not show clinical symptoms of the diseas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construct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PAI outbreaks at the household level. Results: There were 38 cases with H5N6 clade 2.3.4.4h viruses (n = 35) and H5N8 clade 2.3.4.4b viruses (n = 3). Compared to the 112 controls, raising poultry in uncovered or partially covered ponds (odds ratio [OR], 7.52; 95% confidence interval [CI], 1.44-39.27), poultry traders visiting the farm (OR, 8.66; 95% CI, 2.7-27.69), farms with 50-2,000 birds (OR, 3.00; 95% CI, 1.06-8-51), and farms with ≥ 2,000 birds (OR, 11.35; 95% CI, 3.07-41.94)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PAI outbreaks. Conclusions: Combining biosecurity measures, such as restricting visitor entry and vaccination in farms with more than 50 birds, can enhance the control and prevention of HPAI in Quang Ninh and its spread across borders.

강원 영서 북부 지역의 약물 중독 실태 (The Clinical Investigation of Drug Intoxication in the North-Youngseo District of Kangwon Province)

  • 옥택근;조준휘;박찬우;김성은;최기훈;배지훈;서정열;정재봉;안희철;안무업;유기철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9
    • /
    • 2004
  • Acute poisoning is one of the diseases which need the most fastest emergency measures at the very beginning. However, at present, The Korea doesn't manage the toxication all over the country, and in particular, there is no guide to medical cure paying due regard to the traits of each area. This paper focused on the issue that the necessary data in preparing the facilities for the treatment of the poisoned patients and materials for medical treatment including antidote would have to be collected, after finding the special features of the symptoms by 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poisoning in small towns next to farm villages in the North area of Youngseo, Kangwon provinc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from 111 patients who were carried into the emergency room by the poisoning in two university hospitals of the North area of Youngseo, Kangwon, for one year, 2002. Upon investigation, the patients(111) visiting emergency room by the acute poisoning during the research period was found to be 0.37 percent of all patients(30,085) visiting emergency room. Among them, the most high percentage was giv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t the rate of $39.6\%$, and the ratio($40.5\%$) of the poisoned patients after their fifties was much higher than a research($10\%$) of other areas. Many poisoned patients came to their rescue in an emergency room generally in spring and in winter, from 7 a.m. to 3 p.m. Agricultural chemical of the toxic materials had a majority at a ratio of $57.7\%$, and paraquat of the agricultural chemicals was found to have a lot of toxicity by $31.7\%$. As the trace of the toxication, the oral poisoning was common by $89.2\%$, and $55.9\%$ in the case of operating gastric lavage and nasogastric irrigation, but only $14.4\%$ for prescribing antidote. The mortality of the acute poisoned patients was $17.2\%$, and the toxication by paraquat held a majority. As a result, the acute poisoning of the North area in Youngseo, Kangwon had both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nd the city, and the patients over their fifties by the population aging had more attack of the disease than other regions. Also, with the high ratio of the toxication by the agricultural chemicals, especially, the lethal agricultural chemical was used frequently. Therefore, these dangerous situations need to find the ways to cope with.

  • PDF

소아에서 발생한 Clostridium difficile 관련 질환의 역학과 임상양상: 지역사회감염과 원내감염의 비교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sease in Children: Comparison between Community- and Hospital-acquired Infections)

  • 조혜정;류일;선용한;조강호;손동우;차한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2호
    • /
    • pp.146-153
    • /
    • 2010
  • 목 적: 최근 소아에서의 지역사회 획득 Clostridium difficile 관련질환(CDAD)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그러나 아직 소아에서 발생한 CDAD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소아 CDAD환자에서 지역사회감염(CA-CDAD)과 병원감염(HA-CDAD)의 역학과 임상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4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소화기계 증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C. difficile 독소 A, B 또는 C. difficile 배양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 CDAD로 진단하였다. 결 과: 총 61명(남 32, 여 29)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고, 평균연령은 3.79${\pm}$4.54세였으며, 1세 미만이 22명(36.1%)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중 23명(37.7%)의 환자만이 증상 발현 3개월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 받은 적이있었다. 총 61명의 환자 중 CA-CDAD군이 41명, HA-CDAD군이 20명이었고, 나이, 성별, 증상, 검사실소견, 회복기간, 합병증 발생 및 재발률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항생제 노출 여부는 HACDAD의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 결 론: 소화기계 증상을 가지고 외래에 내원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항생제 노출력이 없는 CA-CDAD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신속하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