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intention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8초

창업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창업성과를 매개효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Performance)

  • 조영준;이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143-15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창업성과와 창업특성 요인들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창업특성 각 차원들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업성과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실증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창업특성과 창업성과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창업성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창업성과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업성과에 대한 요인이 창업의도에 매출과 순이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업특성인 성취욕구, 위험감수성, 사업전략이 창업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K공과대학교, K대학교, 대구 Y전문대학, J(사(社))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미 창업자들의 관점에서 창업특성, 창업성과, 창업의도에 대한 영향관계 확인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 기업가 지향성과 환경적 요인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 이재석;이상명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3호
    • /
    • pp.61-74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창업교육이 잠재적 창업가인 대학(원)생들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창업교육의 효과, 특히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상반된 결과를 보이며 이들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의 조절요인에 대한 연구도 인구통계학적 특성, 자기효능감 등을 확인하는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대변하는 기업가 지향성은 주로 영향요인으로만 파악되었을 뿐 조절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조절하는 새로운 요인을 밝히고자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 질문을 제시한다. 첫째, 창업교육 수강 여부는 창업의지에서 차이를 나타내는지, 둘째, 창업교육과 창업의지는 긍정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 마지막으로 기업가 지향성 및 환경적 요인은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대, 한양대, KAIST의 이공계 대학(원)생 265명이 응답한 설문을 독립표본 T-test 및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의 창업의지가 더 높았고, 창업교육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가 지향성 중 혁신성, 위험감수성 및 진취성과 환경적 요인 중 기업가적 가정환경의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혁신성과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교육의 창업의지에 대한 영향력이 더 커지는 반면,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기업가적 가정환경이 존재할 때 창업교육의 창업의지에 대한 영향력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창업환경이 대학생의 농촌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i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rural areas)

  • 왕이가;정기영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85-195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환경에서 대학생의 농촌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정책 및 규제, 창업교육, 재정지원, 사회문화 등 4가지 주요 환경변수들을 분석하고, 창업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저장성의 대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대학 창업 환경이 창업학습과 농촌창업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 실천, 대학 리더십 및 정부 지원이 필요하고, 학생의 창업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은 학생들이 농촌창업 의도를 촉진 할 수 있는 창업학습을 준비하여 창업환경을 최적화하여야 한다.

전역예정 직업군인의 내적·외적요인이 창업의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지원프로그램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Korean Professional Soldiers Waiting for Retire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upport Programs)

  • 김용식;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078-2086
    • /
    • 2011
  • 본 연구는 창업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역예정 직업군인의 내적 외적 특성요인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창업가의 특성요인과 창업의욕간의 인과관계를 창업지원프로그램의 매개변수를 고려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 장기복무 후 전역을 5개월에서 1년을 앞두고 있는 직업 군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6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특성요인은 창업의욕에 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적 특성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사회적 인식과 창업의욕 사이에서 매개 변수로서 역할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차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Impacts of Relational Support, Educational Support, Attitude towards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Fresh graduates

  • Cuong NGUYEN;Quang TRAN;Khanh HA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4권1호
    • /
    • pp.31-37
    • /
    • 2024
  • Purpose: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recent university graduates. The original valu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support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ntrepreneurial decision-making process of Vietnamese fresh graduat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ith a sample size of 385 university graduates in Vietnam.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ree key factors, including relational support, educational support, and attitude towards business, positively impact entrepreneurial intentions. Conclusion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are provided to promote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recent university graduates.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es

  • TAUSIF, Mohammad Rumzi;HAQUE, Mohammad Imdadul;RAO, M. Madhu Sudhan;KHAN, Md. Riyazuddi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381-389
    • /
    • 2021
  • The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its antecedents across countries and cultures. This study uses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compar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two diverse countries: Saudi Arabia and India. The study uses the non-parametric Mann Whitney U 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of the two countries. The study find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of these two countries. The result indicates that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higher in Indian students than their counterparts in Saudi Arabia. The result further indicates that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explain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both the countries. However, social norms are significant in explain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only in India and not in Saudi Arabi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trepreneurship has higher social approval in India when compared to Saudi Arabia. Social norms impact entrepreneurial intentions differently for India and Saudi Arabia. The study attributes the results to the differences in per capita income and socio-cultural norms in both countries. This study is one of the few that have explored cross-country entrepreneurial attributes as it addresses the research gap in terms of compar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India and Saudi Arabia.

중장년층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ial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양경애;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45-55
    • /
    • 2020
  • 중장년층의 창업은 우리 사회가 고령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주목 받는 이슈의 대상이며, 중장년층의 창업은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및 사회적 역할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년층의 창업활성화를 위하여 창업역량과 창업동기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창업 기회탐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0~65세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250부 중 230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역량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보 역량, 경험 역량, 네트워크역량이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둘째, 창업동기는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독립성을 유지하고, 부를 창출하는 것은 창업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생계유지를 위한 창업동기는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 기회탐색의 매개관계를 검증한 결과, 창업 기회탐색은 경험역량, 네트워크역량, 독립유지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창업자의 역량에 기초하여 기회탐색이 창업으로 연계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요구된다.

창업역량과 사회적 영향력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Social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한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261-270
    • /
    • 2022
  • 직업 특성의 변화로 인하여 성인들은 고용, 비노동 또는 창업을 포함한 새로운 경력 선택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2의 진로 선택을 목적으로 성인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창업역량, 사회적지지, 성공 창업 롤모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창업멘토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역량 중 직무역량과 자금조달능력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창업 롤모델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업역량과 사회적지지, 창업 역할모델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는 창업 멘토링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직무역량→창업멘토링→창업의지, 자금조달역량→창업멘토링→창업의지, 창업성공 롤모델→창업 멘토링→ 창업의지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창업·취업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취업의도 영향요인에 미치는 효과 (Entrepreneurial·Job Search Education's Effects on the Antecedents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Job Search Intention)

  • 김성우;강민형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47-59
    • /
    • 2016
  • This paper explores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and job search int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job search education on thes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and job search intentions. The research model has been validated by analyzing 1,432 responses from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provide several findings: First, entrepreneurship attitude, entrepreneurship subjective norm, and entrepreneurship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their effects on job search intention were insignificant. Second, while job search attitu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intentions, job search subjective nor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job search intention, and job search self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creased all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reduced job search attitude. These results imply that entrepreneurship and job search education should be manage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ir cross-effects on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and job search intentions.

창업에 대한 기대가 창업 창출 및 성장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 중 기업가의 특성 비교 중심으로- (Study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Expectancy on Entrepreneurial Outcome and Expect Growth intentions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a Entrepreneur-)

  • 정대용;첨희;한관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079-2086
    • /
    • 2012
  • 창업에 대한 기대가 성장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필 본 연구목적은, 현재 중국 및 한국에서 기업경영하고 있는 기업가들을 대상으로 창업 초기에 가졌던 기대감과 창업 이후 성장의도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자 양국 간의 차이를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기업가의 기대는 창업에 대한 기대로, 창업창출 및 성장의도는 기업가의 주도적 생각으로 정의되었다. 총 489 개 표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제시된 상위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즉 양국 기업가의 창업에 대한 기대는 창업 창출, 그리고 성장의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국 기업가의 특성 간에 서로 차이가 비교했으므로, 창업에 대한 기대는 창업창출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 기업가들이 중국 기업가들보다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면서 창업창출은 성장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국 기업가들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