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emic genus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1초

Diversity and Ecological Importance of Foliicolous Lichens in Korea

  • Oh, Soon-Ok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9-49
    • /
    • 2014
  • South Korea is covered primarily by temperate vegetation; therefore, foliicolous lichens may not b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ts lichen flora. Indeed, more than 100 years after the first lichen record from South Korea reported by Hue, the paper "Pyrenocarpous lichens in Korea" published by Moon and Aptroot, reported on the presence of two foliicolous lichens, Strigula nemathora Mont, and S. smaragdula Fr.,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No detailed reports on foliicolous lichens have since been published in South Korea. In Japan, the neighboring country, approximately 83 foliicolous lichen species are distributed at the southernmost part under temperate to subtropical climatic conditions. However, a large number of foliicolous lichens, with many recent records, have been reported in neighboring countries like China and Taiwan. According to Thor et al., studies on foliicolous lichen flora of Asia are comparatively poor compared to those reported from America. There are six lichenogeographical regions: the Neotropics, Valdivia, Tethyan, African Paleotropics, eastern Paleotropics, and Neozelandic-Tasmanian, which are demarcated based on the known worldwide distribution pattern of foliicolous lichen flora. South Korea belongs to the eastern paleotropic region, where a higher number of local endemic foliicolous lichens have been reported. So far, there are a total of six known foliicolous lichen taxa from South Korea; S. concreta, S. macrocarpa, S. melanobapha, S. nemathora, S. smaragdula, and S. subelegans from Jeju Island. So far, the genus Strigula is the only known representative of the foliicolous lichen flora in South Korea. Among the recorded species, S. concreta, S. smaragdula, and S. subelegans are abundant and widespread. Japan, the closest area to Jeju Island, has the same distribution pattern of foliicolous lichens, with S. smaragdula, S. melanobapha, and S. subtilissima. Pollen studies conducted by Chung reported that changes in vegetation on Jeju Island, due mainly to deglacial warming and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change, resulted from sea-level rises. In general, all of the foliicolous lichens observed so far were restricted to the southernmost part of South Korea, particularly Jeju Island. Island might be influenced by its geographical setting. One reason could be the close dispersal distances of spores and vegetative propagules from areas such as the southern part of Japan and eastern part of China, where more foliicolous lichens can be found. Thor et al. also showed that the southern part of Japan harbors more foliicolous lichens than the northern part. Considering that China is close to Jeju Island, many foliicolous lichens, including S. concreta, S. macrocarpa, S. nemanthora, and S. smaragdula, have been reported from Yunnan province, the southernmost part of China. Geographically, this province is far away from Jeju Island. In other provinces, such as Shandong, Jiangsu, Shanghai, and Zhejiang, which are closer to Jeju Island, no foliicolous lichens have been recorded so far. Therefore, the chance of spores and propagules coming from such closer areas is questionable. Thus, the location of origin of ancestors of foliicolous lichens of South Korea and the time and means of their invasion of this island is controverisial. The current study would lead the way to finding answers to the above mentioned questions.

  • PDF

In vitro Callus and Somatic Embryo Induction of Six Hosta Species Native to Korea

  • Choi, Han;Lee, Seung Youn;Ryu, Sun Hee;Yoon, Sae Mi;Kim, Sang Yong;Lee, Jong Suk;Yang, Jong Cheol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0-80
    • /
    • 2018
  • Hosta is a genus of the family Asparagaceae and distributed in East Asia. There are six Hosta species (Hosta capitata (Koidz.) Nakai, H. clausa Nakai, H. jonesii M.G.Chung, H. minor (Baker) Nakai, H. venusta F.Maek., and H. yingeri S.B.Jones) native to Korea and among them, four species (H. minor, H. jonesii, H. venusta and H. yingeri) are endemic to the Korea peninsula. Hosta is generally propagated by seed, crown division or tissue culture. However, tissue culture is a more efficient method to mass proliferation, a new cultivar development and disease-free plantlet production in a limit time. Hence, we conduct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treatments on the induction of callus and somatic embryo of the six Hosta species. Leaf, petiole and root were used to select optimum tissue culture explants. Petiole explants thus only were used for callus induc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with TDZ (0.1, 0.5 or 1.0mg/L) and NAA (0.1 or 0.5 mg/L) combinations. After 12 weeks of culture, the highest rate of somatic embryogenesis was achieved on modificated MS medium containing 1.0 mg/L TDZ and 0.1 mg/L NAA in H. capitata and H. minor (15.5%, respectively), 0.1 or 0.5 mg/L TDZ and 0.1 mg/L NAA in H. jonesii (22.2%), 1.0 mg/L TDZ and 0.5 mg/L NAA in H. yingeri (26.7%), and 0.1 mg/L TDZ and 0.5 mg/L NAA in H. venusta (53.3%). H. clausa showed very low effect on somatic embryogenesis by PGRs; 2.2%. There was interspecies difference to PGRs respond for callus and somatic embryo induction. Regenerated multiple shoots and plantlet of H. minor, H. jonesii, H. venusta and H. yingeri were obtained via somatic embryogenesis.

  • PDF

미세구조학적 형질 및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긴병꽃풀속(꿀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Glechoma L. (Lamiaceae) based on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and n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 장태수;이중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32
    • /
    • 2014
  • 꿀풀과에 속하는 긴병꽃풀속(Glechoma)내 5종에 대한 화판과 악편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여 기재하고 그 분류학적 유용성을 판단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공복합체는 조사된 모든 분류군의 악편에서 분포하였으며, 공변세포의 길이는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다. 긴병꽃풀속 분류군들의 화판과 악에 분포하는 모용은 5 종류(단세포 비선모, 다세포 비선모, 짧은 자루 두상 선모, 긴 자루 두상 선모, 방패형 선모)로 나타났으며, 모용의 종류, 분포, 밀도가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긴병꽃풀속은 분포지역에 따라 3개의 분계조(유럽-미국, 중국-한국, 일본)로 분리되었다.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G. longituba는 단계통군을 이루었고, 이탈리아의 특산종인 G. sardoa와 미국 및 유럽에 분포하는 G. hederacea는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G. hirsuta는 유럽의 분계조와 자매군 관계를 이루었으나, 일본에 분포하는 G. grandis는 나머지 분류군들의 상호 유연관계에서 통계적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긴병꽃풀속내의 종간 한계 설정에 있어 화판 및 악의 미세형태형질의 연구보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인 연구가 유용한 방법임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본 속내 계통 분류학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외부 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계통학적 유용성이 보다 높은 DNA 구간을 추가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요코가와흡충 및 미야타흡충 감염 마우스 소장의 PCNA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s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in the small intestine of mice infected with Metagonimus yokogawai and Metagonimus Miyata type)

  • 유재란;명나혜;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4호
    • /
    • pp.239-244
    • /
    • 1997
  • Metwonim속 흡충의 형태학적인 차이점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으나 이들에 의해 유발되는 소장병변에 대한 차이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장선와의 상피세포가 두 Metasonimw속 흡충 감염시 반응하는 정도를 5시기에 분열하는 세포의 핵 내 polymerase것elta accessoryprotein을 염색하여 비교 관찰한 것이다. 요코가와흡충 (M. yokogawai)의 피낭유충은 삼척산 은어에 서 분리하였고. 미야타흡충 (Metugonimus Miyata type)은 충주산 피라미에서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 한 마리당 300개의 피낭유충을 감염시퀴고 감염 후 3일. 6일. 10일. 16일 및 23일째 에 희생시켜 관찰하였다. 상부 소장에서는 요코가와흡충 감염군의 6일 23일째에서 염색된 선와 상피세포수의 유의한 (P<0.05) 감소를 보였다 중부 소장에서도 상부 소장에서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하부소장에서는 요코가와흡충 감염군에서 3일. 6일 및 23일째에 유의한 (P<0.05) 감소를 보였다. 미야타흡충 감염군에서는 세 부위의 소잘에서 모두 감염을 시키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 요코가와흡충 감염이 미야타흡충 감염시 보다 마우스 소장 선와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이의 결과로 융모의 위축을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Human Infections with Spirometra decipiens Plerocercoids Identified by Morphologic and Genetic Analyses in Korea

  • Jeon, Hyeong-Kyu;Park, Hansol;Lee, Dongmin;Choe, Seongjun;Kim, Kyu-Heon;Huh, Sun;Sohn, Woon-Mok;Chai, Jong-Yil;Eom, Keeseon S.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299-305
    • /
    • 2015
  • Tapeworms of the genus Spirometra are pseudophyllidean cestodes endemic in Korea. At present, it is unclear which Spirometra species are responsible for causing human infections, and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epidemiological profiles of Spirometra species infecting humans in Korea. Between 1979 and 2009, a total of 50 spargana from human patients and 2 adult specimens obtained from experimentally infected carnivorous anim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etic and taxonomic criteria and classified as Spirometra erinaceieuropaei or Spirometra decipiens depending on the morphology. Morphologically, S. erinaceieuropaei and S. decipiens are different in that the spirally coiled uterus in S. erinaceieuropaei has 5-7 complete coils, while in S. decipiens it has only 4.5 coils. In addition, there is a 9.3% (146/1,566) sequence different between S. erinaceieuropaei and S. decipiens in the cox1 gene. Partial cox1 sequences (390 bp) from 35 Korean isolates showed 99.4% (388/390) similarity with the reference sequence of S. erinaceieuropaei from Korea (G1724; GenBank KJ599680) and an additional 15 Korean isolates revealed 99.2% (387/390) similarity with the reference sequences of S. decipiens from Korea (G1657; GenBank KJ599679). Based on morphologic and molecular databases, the estimated population ratio of S. erinaceieuropaei to S. decipiens was 35: 15. Our results indicate that both S. erinaceieuropaei and S. decipiens found in Korea infect humans, with S. erinaceieuropaei being 2 times more prevalent than S. decipie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report human sparganosis caused by S. decipiens in humans in Korea.

한국산 산딸기속(Rubus)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A Cytotaxonamical study of Rubus (Rosaceae) in Korea)

  • 양지영;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9-142
    • /
    • 2005
  • 한국산 산딸기속(Rubus)의 체세포 염색체 수를 밝히기 위해 19개 분류군을 조사하였다. 한반도에는 Anoplobatus(2종), Cylactis(1종), Idaeobatus(15종), Malachobatus(1종) 4개 아속의 산딸기속 분류군이 분포하며, 대부분(15종)이 2배체가 우세한 Idaeobatus아속에 속한다. 체세포 염색체 수의 기본수는 x=7이며, 본 연구에서 체세포 염색체수가 처음으로 밝혀진 분류군은 제주도의 특산종인 가시딸기(R. hongnoensis; 2n=14), 울릉도의 특산종인 섬나무딸기(R. takesiemnsis; 2n=14), 거제도에서 분포하는 맥도딸기(R. longisepalus; 2n=14)와 거제딸기(R. longisepalus var. tozawai; 2n=14), 멍석딸기(R. parvifolius; 2n=42), 사슨딸기(R. parvifolius var. taquetii; 2n=28)등 6분류군이다. 복분자(R. coreanus)를 제외한 나머지 12개 분류군의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14로 확인하였으며, 모두 일본과 타이완 등의 연구보고와 일치하였다. 또한 이배체로 알려진 멍석딸기는 4, 6배수체가 발견되어 한반도에서 배수화로 종분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겨울딸기(R. buergeri; 2n=56)으로 8배체임을 알았고, 이는 일본에 분포하는 2n=42, 6배체와 비교할 때, 타이완에 분포하는 분류군(2n=56)과 동일한 8배체임을 보여주었다.

한국산 망둑어아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family Gobiinae(Pisces, Gobiidae) from Korea)

  • 김익수;이용주;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29-542
    • /
    • 1987
  • 한국산 망둑어아과 어류를 20속 33종으로 분류하고 속${\cdot}$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채집된 망둑어 아과 어류 16속 27종에 대하여 종별 전${\cdot}$후안견갑관과 전새개관의 유무 혹은 개공 서열구상을 비교하여 4 groups으로 구분하였으며, 이것을 근거로 하여 계통 유연관계를 논의였다.전새개관개공배열구상은 속의 구분과 일치하였고, 전안견갑관개공의 소실정도는 속내의 특화된 종이나 종군을 찾아내는데 유의하였다. Pscudogobisu masago는 후안견갑관과 전새개관이 없는 점에서 Acentrogobius 속과는 구별된다고 본다. Chaenogobius annularis, Chaenogobius casteneus 및 Acanthogobius lactipes는 두부감각관계와 predorsal scales의 수에 있어서 지리적 변이를 보여 주었다. 망둑어아과 어류의 한국고유종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동해연안과 서해연안의 어류상은 잘 구분되었으며, 남해연안에서 17속 26종이 출현하고 있어 가장 다양한 분포상을 보였다. 우리나라 연안의 망둑어아과어류의 우점속은 Acanthogobius Chaenogobius 및 Chasmichthys 속이었다.

  • PDF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I.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Corylopsis corona Uyeki in and ex situ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model within local community I. Study for a Characteristic of Distribution Pattern in Corylopsis coreana $U_{YEKI}$)

  • 임동옥;황인천;정흥락;유윤미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85-101
    • /
    • 2005
  •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대해 현지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히어리 분포는 전라남도 지역의 보성군, 광양시, 순천시일대, 고흥군 점암면, 구례군 간전면, 장흥군 천관산, 지리산 노고단 전라북도 남원시 천황산, 지리산 뱀사골과 반야봉,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히어리 분포역에서 식물상은 70과 159속 216종 22변종 4품종 총 242종류가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5.8\%$, 나자식물이 $3.7\%$, 단자엽식물이 $18.6\%$, 쌍자엽식물이 $71.9\%$로 분석 되었으며, 생활형별 분류에서 1년생이 $1.7\%$, 다년생이 $98.3\%$로 분석되었다. 생장형별 비교에서는 초본성이 $44.2\%$, 덩굴성이 $12.4\%$, 관목성이 $17.8\%$, 교목성이 $25.6\%$로 나타났다. 히어리 군락 분포 유형은 전형적으로 북사면, 북동사면, 또는 북서사면이었으며, 전라남도 승주읍 신전리 자생지는 교목상 숲으로 인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헙력 모델 개발 I.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Corylopsis coreana $U_{yeki}$ in and Ex Situ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Model within Local Community I. Study for a Characteristic of Distribution Pattern in Corylopsis coreana $U_{yeki}$)

  • 임동옥;황인천;정흥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2-176
    • /
    • 2005
  •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대해 현지 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히 어리 분포는 전라남도 지역의 보성군, 광양시, 순천시 일대, 고흥군 점암면, 구례군 간전면, 장흥군 천관산, 지리산 노고단 전라북도 남원시 천황산, 지리산 뱀사골과 반야봉,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히어리 분포역에서 식물상은 70과 159속 216종 22변종 4품종 총 242종류가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 물이 $5.8\%$, 나자식물이 $3.7\%$, 단자엽식물이 $18.6\%$, 쌍자엽식물이 $71.9\%$로 분석되었으며, 생활형별 분류에서 1년생이 $1.7\%$, 다년생이 $98.3\%$로 분석 되었다. 생장형 별 비교에서는 초본성이 $44.2\%$, 덩굴성이 $12.4\%$, 관목성이 $17.8\%$, 교목성이 $25.6\%$로 나타났다. 히어리 군락 분포 유형은 전형적으로 북사면, 북동사면, 또는 북서사면이었으며, 전라남도 승주읍 신전리 자생지는 교목상 숲으로 인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길도 소하천 담수어류상 및 군집구조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Small Streams in Bogil Island, Korea)

  • 한정호;박찬서;안광국;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2-80
    • /
    • 2017
  •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보길도 일대의 소하천의 12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 및 어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17속 2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망둑어과(10종, 1,157개체; 상대풍부도 (RA), 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아우점과는 잉어과 (3종, 500개체), 숭어과(2종, 168개체)순으로 나타났다. 버들치(RA 20.7%, 397개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꾹저구(19.5%, 373개체), 사백어(17.2%, 330개체), 가숭어(8.5%, 1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생활형 구분으로 일차담수어가 9종(42.9%), 주연성 어종 11종(52.4%), 양측회유성 어종 1종(4.8%)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종 및 외래어종은 보길도에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 및 종 다양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부황천 최하류 구간(S8)에서 각각 1.831, 1.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우점도 지수는 중류구간(S4) 1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하류 구간(S8)에서 0.17로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