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well-being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2초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성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Peer Relationships)

  • 김영희;고태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42-6149
    • /
    • 2014
  • 본 연구는 심리적 안녕감, 정서표현성, 교우관계가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와 함께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2학년 학생 391명으로, 수집된 자료를 t 검증과 Pearson의 상관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성 및 교우관계에서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는데 모든 변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성 및 교우관계는 서로 상관이 있었으며,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표현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교우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Daily Dynamics of Grateful Mood, Emotional Support from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ross Seven Days among Korean Adolescents

  • Chung, Grace H.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43-51
    • /
    • 2016
  • Even though gratitud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virtue to possess for successful adulthood, little is known about what cultivates gratitude and its benefit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By examining gratitude as a daily mood, this study asked (1) whether adolescents' daily grateful mood varied as a function of daily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2) whether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varied as a function of daily grateful mood within person across seven days. The sample consisted of 70 adolescents in 8th grade recruited from a public middle school. Participants completed daily diary checklists online each evening for seven days. On days when adolescents perceived greater parental emotional support from mother or father than they typically did during the week, they rated their grateful mood to be higher than other days. With more emotional support from father, adolescents reported more grateful mood not only on that day, but also the following day. While this result highlights the important role that parents play in adolescents' experience of grateful mood, emotionally supportive behaviors of fathers appear particularly promising for cultivating gratitude. Further, daily grateful mood on a given day accounted for the significant variance i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not only on the same day, but also the following day.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한 부모 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 -가족적,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Single Mothers - Focusing on Family and Social Variables-)

  • 김오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9-144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and differences factors influencing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nalyze the effects of family, and social variable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the 284 single mother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 F, and Pearson's r test, and by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ingle mothers' family variables were lower than the median, but instrumental support was higher than emotional support.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be around that of the median value. 2.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income,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3. Life satisfact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institutional support,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and emotional support. Depression among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and institutional and emotional support.

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 최정명;김선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83-38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로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도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회수된 최종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한 후 수집된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정서인식명확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정서인식명확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정서인식명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정서인식명확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인식명확성의 영향력이 2단계에 비해 줄었으므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inical dental hygienist psychological well-be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an area)

  • 김영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04-509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로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임상치과위생사 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활용하여 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감성지능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직무관련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감성지능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é test,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감성지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96, p<.001)로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감성지능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은 적합된 회귀모형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16.575, p<.05), 설명력은 53.6%였다. 독립변수 중 긍정적 대인관계(β=.569)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 자아수용, 개인의 성장,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임상경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심리적 안녕감이 감성지능과 연관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임상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감성지능을 강화하는 효율적인 전략을 구축하고자 한다.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심리적 안녕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 이영은;김은영;박선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385-39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and a university in P city and K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to 20, 2017, and analyzed with SPSS PASW 22.0. Results: In the hierarchical analysis,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were emotional intelligence (${\beta}=.39$, p<.001), psychological well-being (${\beta}=.31$, p<.001), and self-esteem (${\beta}=.16$, p=.010). The variable that had the highest impact wa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65%(F=34.40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motion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are essential for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Thus,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감성적 소비가치가 만족과 주관적 웰빙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디저트카페를 중심으로 (Effects of Emotional Consumption Value on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Loyalty for Dessert Cafe)

  • 김성수;한지수;양동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
    • /
    • 2018
  •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what emotional consumption value of dessert cafe i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 - being concept.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test hypothes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by establishing research hypotheses on how affective consumption value affects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 - being, and how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 - being influence loyal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10, 2017, and 2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200 valid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the questionnaires that did not meet the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only the hedonic consumption value of the dessert ca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hereas the aesthetic consumption value and symbolic consumption valu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the hedonic consumption value and symbolic consumption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 - being. On the other hand, aesthetic consumption value did no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 - being. Third, th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dessert ca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stablishing a strategy of differentiating dessert cafe to grasp the satisfaction of dessert cafe and emotional consumption value which increase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reby maintain loyal customers.

창업자의 희망이 감정적 소모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Hope on Emotional Exhaus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이종건;나병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4호
    • /
    • pp.1-8
    • /
    • 2013
  • 창업자의 희망은 창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창업자의 희망의 본질과 그 역할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이해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의 희망이 감정적 소모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웰빙은 자아수용, 개인적 성장, 긍정적 관계로 구분하였다. 연구자료는 창업기업의 156명의 CEO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창업자의 희망이 클수록 그들의 감정적 소모가 낮아지는 반면, 심리적 웰빙이 높아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분석결과는 창업자의 감정적 소모가 클수록 그들의 심리적 웰빙이 낮아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PDF

중소병원 간호사의 심리적복지감 예측요인: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Predictor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es in small-and Medium-sized Hospital: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 신소홍;김유정;김창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62-174
    • /
    • 2017
  • 이 연구는 중소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우울, 감성지능, 심리적복지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 상관성 파악과 심리적복지감 영향요인 예측, 그리고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정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한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6년 12월 17일부터 2017년 1월 8일까지 336명의 자료가 편의 표집 되었다. 연구결과, 우울의 평균은 1.55점으로 보통수준을 보였으며, 감성지능은 3.05점, 심리적 복지감은 3.51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감성지능과 심리적복지감에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감성지능은 심리적복지감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심리적복지감 예측요인으로는 수면시간(${\beta}=.111$), 근무부서(${\beta}=.236$), 우울(${\beta}=-.245$)이 유의미하게 예측되었다. 그리고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검정에서 우울${\times}$감성조절(${\beta}=.527$)과 우울${\times}$감성활용${\beta}=.167$)이 유의미하게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심리적복지감에는 근무부서와 우울이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예측되었으며, 감성지능은 부분적인 조절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우울완화와 감성지능 향상은 간호사 개인의 행복한 삶뿐만 아니라 병원조직 활성화에 매우 긍정적인 대처요인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리적복지감 향상을 위한 근무여건 개선과 우울완화를 위한 중재방안이 요구된다.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for Adolescent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곽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27-237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100명으로서 이 중 50명은 실험집단이며, 나머지 5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서관리 프로그램은 총 8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행복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검사를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로 활용 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해보면, 행복 척도의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복 척도의 하위영역인 자신감, 긍정정서, 자아통제 모두에서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 검사의 경우 일부 하위 영역을 제외한 5개의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서관리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유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