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for Adolescent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곽윤정 (세종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5.09.23
  • Accepted : 2015.10.18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on adolescent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100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Half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half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an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for 8 weeks. All of the participant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or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pre-test scores of both groups indicated that they were homogeneous. However, as for the post-test, the happiness score of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lso,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on six subdimension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정서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100명으로서 이 중 50명은 실험집단이며, 나머지 5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정서관리 프로그램은 총 8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행복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검사를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로 활용 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해보면, 행복 척도의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복 척도의 하위영역인 자신감, 긍정정서, 자아통제 모두에서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 검사의 경우 일부 하위 영역을 제외한 5개의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서관리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유추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표갑수,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출판사, 2006.
  2. 김경미, 염유식, 박연민,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36-24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36
  3. 김예진, 중학생의 부모-자녀관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 김영희, 고태순,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330-33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330
  5. 곽윤정, "뇌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연구," 뇌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p.59-79, 2006.
  6. 권석만, 긍정심리학, 서울 : 학지사, 2008.
  7.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구축과 국제비교연구 조사결과 보고서, 2009-2012.
  8. 청소년폭력예방재단, 학교폭력 실태조사 보고서, 2011.
  9.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1995.
  10. M. Zeinder, R. D. Roberts, and G. Matthews, Emotional Intelligence : Science and Myth, MIT Press, 2002.
  11. K. S. McCown, J. M. Freedman, A. L. Jensen, and M. C. Rideout, Self-Scie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Curriculum, Six-seconds, 1998.
  12. M. E. P. Seligman,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ss Press, 2002.
  13. 박윤, 양진희, "협력중심 심리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의 우울,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8권, 제5호, pp.265-300, 2013.
  14. 김근향, 정신과 입원환자의 적응기능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5. 김경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6. 김은경, 다문화 가정 모-자녀의 긍정심리성향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 프로그램 개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7. 김진영, 고영건, "긍정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와 긍정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155-168, 2009.
  18. 임영진,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9. 박찬빈,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0. 이훈구, "한국인의 긍정적 정서," 한국심리학회지, 제6권, 제2호, pp.45-60, 1997.
  21. E. L. Deci and R. M. Ryan, "Hedonia, eudaimonia, and well-being: An introduction," Journal of Happiness, Vol.9, pp.1-11, 2008. https://doi.org/10.1007/s10902-006-9018-1
  22. 박현태,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576-1583, 2014.
  23. 이경미, 김영태, 박정환,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지능과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3권, 제3호, pp.1027-1034, 2012.
  24. M. E. P. Seligman, T. A. Rashid, and A. C. Parks,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Vol.61, pp.774-788, 2006. https://doi.org/10.1037/0003-066X.61.8.774
  25. N. Sin and S Lyubomirsky,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5, pp.467-487, 2006.
  26. M. Argyle, The Psychology of Happiness, New York: Routledge Press, 2001.
  27. 최요원, 정서인식이 행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8. 하태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9. M. T. Greenberg, C. A. Kusche, E. T. Cook, and J. P. Quamma, "Promoting emotional competence in school-aged children: The effect of the PATHS curriculum," Development and Psychology, Vol.7, pp.117-136, 1995.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374
  30. 박정희,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학급단위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1.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32. W. S. Grolnick, L. J. Bridges, and J. P. Connell, "Emotional Regulation in two-year-old: Strategies and Emotional Expression in Four Contexts," Child Development, Vol.67, pp.928-941, 1996. https://doi.org/10.2307/1131871
  33. 김금미, "대학생의 행복과 자아수용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3호, pp.863-883, 2010
  34. 김청송,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4권, 제3호, pp.649-665.
  35. V. Paolo, "Happiness, Freedom and Control,"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Vol.71, pp.146-161, 2009. https://doi.org/10.1016/j.jebo.2009.04.008
  36. 이은경, "청소년의 행복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정신건강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71-95. 2007.
  37. M. Zeinder, G. Matthews, and R. D. Roberts, "Slow down, you move too fast: Emotional intelligence remains an elusive intelligence," Emotion, Vol.1, pp.265-275, 2001. https://doi.org/10.1037/1528-3542.1.3.265
  38. 강민완, 김선아, 심제은, "대학 경호학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318-327,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318
  39. 권영주, 박영신, 김의철, "대학생의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와 행복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5권, 제2호, pp.153-172, 2007.
  40. 김희재, 조정래, "한국사회구성원의 행복 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1권, 제4호, pp.1967-1977, 2009.
  41. P. Amado, "Happiness, Satisfaction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Some International Evidence," Journal of Socio-Economics, Vol.35, pp.348-365, 2006.
  42. 김경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43. 고재홍, 조기영, "청소년의 긍정적 착각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제11권, 제1호, pp.166-181, 2003.
  44. 허승연,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5. 이경열, "행복증진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1259-1275, 2009.
  46. 류정희, 이명자, "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학교, 제4권, 제1호, pp.55-77, 2007.
  47. 곽윤정,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