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consequence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3초

Illness Representations of Cancer among Healthy Residents of Kolkata, India

  • Das, Lala Tanmoy;Wagner, Christina D.;Bigatti, Silvia 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845-852
    • /
    • 2015
  • Cancer illness representations and screening history among residents of Kolkata, India,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n effort to understand possible motivations for health behavior. A total of 106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locations in Kolkata, India and completed surveys including demographics, the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revised (IPQ-R), and previous experience with cancer and screening practices. Participants were 51.5% college educated, 57% female, 51.5% full-time employed with average age of 32.7 years (R: 18-60 year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generated for the subscales of the IPQ-R, cancer-screening practices and cancer experience.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cancer representations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Univariate ANOVA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gender differences in IPQ-R subscales and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who knew someone diagnosed with cancer versus those who did not. While 76% of participants knew someone with cancer, only 5% of the sample engaged in cancer screening. Participants perceived cancer as a serious illness with negative emotional valence. Younger age (r(100)=-.36, p<0.001) and male gender (F(1, 98)=5.22, p=0.01, ${\eta}_2$=0.05) were associated with better illness coherence. Males also reported greater personal control (F(1, 98)=5.34, p=0.02, ${\eta}_2$=0.05) were associated with better illness coherence. Low screening rates precluded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llness representations and cancer screening. Cancer was viewed as a threatening and uncontrollable disease among this sample of educated, middle class Kolkata residents. This view may act as a barrier to seeking cancer screening. Public awareness campaigns aimed at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causes, symptoms and consequences of cancer might reduce misunderstandings and fear, especially among women and older populations, who report less comprehension of cancer.

시험불안(試驗不安)의 개념(槪念)과 이론(理論) (CONCEPT AND THEORY OF TEST ANXIETY)

  • 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3-10
    • /
    • 1991
  • 시험불안은 여러 가지 이론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으나, 대표적인 가설로는 욕구이론적 접근, 특성-상태불안적 접근, 인지론적 접근 인지 및 감정적 ${\cdot}$ 접근, 역동적 접근등이 대표적인 가설들이라 하겠다. 시험불안은 한 개인에 있어서도 항상 일정한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니며, 연령에 따라서 변화되는 특징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시험불안이 과제수행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심한 불안으로 인한 인지적인 기능의 장애가 가장 중요한 요인인 듯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험불안의 과거의 이론들에 대한 종합을 하고 향후의 연구의 방향에 대한 제시를 하였다.

  • PDF

당혹감(embarrassment); 개념분석 (Embarrassment; a concept analysis)

  • 조은정;정복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6-286
    • /
    • 2002
  • Purpose: The concept of embarrassment as an unpleasant emotion is important in caring for those who are in the continuum of illness and health requiring body care and facing sexual problems. In spite of its nursing implication, embarrassment has not been focused in nursing resear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a conceptual analysis of embarrassment. This analysis would help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an embarrassing situation in which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nurse and patient regarding body care of the patient could develope. Futhermore, it would be a basis for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embarrassment which could lead for both patient and nurse to emotionally vulnerable situation because of their failure of self-presentation (impression management). Method: The concept analysis model suggested by Walker and Avant (1988) is used to clarify what is meant by the term 'embarrassment'. Result: This analysis defines the attributes of embarrassment such as follows. First, embarrassment is often attributed to situational factors interrupting a smooth interaction such as intimacy, confusion, vulnerability, exposure of inte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udience. Second, embarrassment is closely related with cognitive factor such as fear of losing face resulted from a behaviour being out of line. Third, embarrassment is closely associated with dispositional factor such as embarrassability. Fourth, embarrassment is an unpleasant and unwanted emotion arising reactively after an interaction had occurred. Fifth, embarrassment encloses physic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such as a variety of unique and easily noticeable reactions and a pattern of verbal and non-verbal behaviour for coping in an embarrassing situation. The antecedents were normally socialized adolescents with normal cognitive ability, concern of losing face, embarrassability, embarrassing events related with situational intimacy, confusion, vulnerability, exposure of inte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udience, physical, behavioral blunders resulting in a failure of impression management. The consequences were an emotional coping behaviour, audience's embarrassment responses, and verbal and non-verbal coping strategies of interactional participants. Conclusion: It is hoped that this analysis will stimulate further exploration of this concept and study for developing systematic assessment and nursing practice that diminishes embarrassment of interactional participants.

  • PDF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소비감정과 점포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ctional-congruity and Self-congruity on Coffee Shop User's Consumption-related Emotions and Store Attitude Formation)

  • 안세희;전병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0-83
    • /
    • 2012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러한 이차원적인 감정 구조가 커피전문점에 대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80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기능적 일치성은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아일치성은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긍정적 감정에(+)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긍정적 감정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감정은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기능적 일치성과 자아일치성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하여 점포태도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 (Experience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진주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21-429
    • /
    • 2017
  • 청소년 및 성인기 초기 연령의 스마트폰 사용자는 급증하였고, 과다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질적 연구를 통한 접근은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험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이용하여 중독자를 선별하였고, 고위험군 중에서 최종 1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일대일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면담은 녹음과 녹취 과정을 거쳐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주요 범주는 '중독의 악순환'으로, 세부 범주는 금단 증상의 자각, 다양한 부정적 결과 경험, 중독으로부터 탈출 시도, 중독된 현실에 안주함 이었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는 연구 참여를 통해 중독의 심각성을 깨달았으며,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정서적, 대인관계적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들을 이해하고, 중독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학교 기반 프로그램을 개선, 개발해야 할 것이다.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 개발과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a Scale for Measuring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오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7-122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measures of a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fter construct factors of a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and existing scales were explored, the first preliminary items were extracted. After the cont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expert opinions, the second preliminary items were composed, and the initial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principal factors and 21 items were revealed to be most suitable. The factors of the scale consist of emotion-coaching-reactions, oversensitive reactions, and emotion-minimizing-react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ation analysis of the scale was conducted, by means of surveying 413 elementary students. The internal coherence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verified as was the general internal coherence and timing stability of the scale. There were three additional verifications to validate the scale. (1)For the evidence based on internal structur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discriminant evidence; this resulted in confirm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as being reliable. (2)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to other variables, the correlation analysis came in effect to the overall scale and each of its sub-factors, showing that they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ale of the child's perception on rearing attitudes of the mother. (3)As for evidence based on the consequences of the 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produced a result showed that sub-factors of the scale have 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의 조직 내 확산에 대한 저항요인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Resistance Factors in Adoption and Diffusion of Innovation as for Introducing ERP Systems into Universities)

  • 김현정;이영희;김문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9-146
    • /
    • 2013
  • 본 논문은 ERP 효과를 조직성과로 전환하기 위해 혁신과정에서 발생하는 조직구성원들의 저항을 체계적으로 통제, 관리하는데 연구초점을 두고, 의무적 수용 상황에서 ERP 시스템의 조직 내 확산에서의 저항요인을 조사하고 검증하였다. 169개의 대학사례를 분석한 결과 ERP 시스템 이용에 대한 심리적 태도(두려움, 의심 등)가 저항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 저항의 선행변수 중 업무처리의 상대적 이점, 시스템의 상대적 이점, 서비스 지원은 저항행동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항에 대한 심리적 태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저항을 심리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되며, 혁신의 수용과 확산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측면의 저항을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How to Improve Eating Behaviour during Early Childhood

  • Green, Robin John;Samy, Gamal;Miqdady, Mohamad Saleh;Salah, Mohamed;Sleiman, Rola;Abdelrahman, Hatim Mohamed Ahmed;Al Haddad, Fatima;Reda, Mona M.;Lewis, Humphrey;Ekanem, Emmanuel E.;Vandenplas, Yv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15
  • Eating behaviour disorder during early childhood is a common pediatric problem. Many terminologies have been used interchangeably to describe this condition, hindering implementation of therapy and confusing a common problem. The definition suggests an eating behaviour which has consequences for family harmony and growth. The recent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oes not cover the entire spectrum seen by pediatricians. Publications are substantive but level of evidence is most of the time low. This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clarify terminology of eating behaviour problems during early childhood; including benign picky eating, limited diets, sensory food aversion, selective eating, food avoidance emotional disorder, pervasive refusal syndrome, tactile defensiveness, functional dysphagia, neophobia and toddler anorexia. This tool is proposed only to ease the clinical management for child care providers. Diagnostic criteria are set and management tools are suggested. The role of dietary counselling and, where necessary, behavioural therapy is clarified. It is hoped that the condition will make its way into mainstream pediatrics to allow thes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o receive the help they deserve.

국내 사회복지사 소진 관련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n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in South Korea)

  • 이현정;김영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55-464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이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996년에서 2016년 사이에 국내학술 DB에 게재된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50편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방법론의 측면에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공적 기관보다는 민간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의 주제로는 소진관련 위험 및 보호 요인, 소진의 결과, 소진의 기제, 소진의 매개효과 탐색 등이 있었고, 사회복지사의 주관적인 소진경험에 관한 연구도 있었다. 연구방법론 측면에서는 양적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의 주제나 연구방법론이 보다 다양화되어야 할 필요를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사회복지사 소진 관련 연구의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학문적 함의를 가질 것이다.

좌절된 소속감의 개념분석 (Thwarted belongingness: Concept Analysis)

  • 김수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59-367
    • /
    • 2021
  • 본 연구는 좌절된 소속감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근거로 하였다. 좌절된 소속감의 속성은 왜곡된 신념, 소속욕구 불충족, 소외감, 상호교류와 애정욕구의 불충족으로 도출되었다. 선행요인은 사회적 고립, 대인관계에서 배제 또는 갈등 경험, 완벽주의적 성향, 거부민감성이며, 결과는 자살생각, 행복 및 삶의 만족 감소와 거부에 대한 불안, 우울, 수치심, 외로움, 스트레스 또는 분노, 공격성, 적대감 같은 부정적 정서 및 자기비난, 절망감, 자포자기, 정서표현 억제, 무기력, 관계에서 스스로 배제, 정체성 혼란이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와 관련된 개인의 정신적 건강 및 자살생각과 관련된 예방 가능한 간호중재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고, 향후 좌절된 소속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 및 현장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속성을 검증해 볼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