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253-266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수학수업의 개선을 목표로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이후 수학수업개선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학수업분석 강의를 수강하는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에 대한 생각을 조사하였다. 특히 조사대상 교사들은 수학수업분석에 관심이 있을 뿐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타교사의 수학수업 분석 및 컨설팅 경험이 있는 교사들로, 조사대상 교사들이 가진 수학수업에 대한 생각들이 다른 교사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들이 가진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강의 수강 전에 수학을 중요 교과라고 생각하는 이유, 초등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고 어려워하는 이유, 현재 초등학교 수학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이유, 바람직한 수학수업의 모습과 이를 위한 변화 등에 대해 서술형 문항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이후 수학수업의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우수 수업 동영상에 나타난 좋은 수학 수업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방정숙;권미선;김정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03-426
    • /
    • 2012
  • 본 논문은 초등학교 우수 수업 동영상 20편에 나타난 좋은 수학 수업의 특징을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전체 44개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좋은 수학 수업에서는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학습 목표에 따라 필수적인 수학과 기본 개념으로 수업을 구성하였고 교실 내 규칙을 통해 학생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수업 시간을 마무리할 때 평가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점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공학을 활용한 수업, 놀이를 활용한 수업, 계산을 능숙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은 거의 구현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선행 연구와 관련지어 우리나라 좋은 수학 수업의 특징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

TPACK과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인공지능 사용 의도 이해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ntion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Lesson Using TPACK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손태권;구종서;안도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63-180
    • /
    • 2023
  • 본 연구는 AI를 수학 수업에 사용하려는 초등학교 교사의 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 수학 수업에서 AI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선행되어야할 요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TPACK과 TAM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TPACK은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은 수학 수업에서 AI 활용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인지된 사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태도는 수학 수업에서의 AI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AI에 대한 TPACK 역량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수학 수업에서 AI를 사용하기가 더 쉽고 AI가 학생의 수학 학습 향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도구로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수학 수업에서 AI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유용하다고 인식할수록 AI 사용 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AI의 활용하려면 TPACK에 관한 지식 교육이 선행되어야하며, 수학 수업에서 AI 사용의 이점과 편리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아동들의 인지를 바탕으로 한 수학 교수: 미국의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의 소개 (Teaching Mathematics Based on Children's Cognition: Introduction to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in U.S.)

  • 백재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421-434
    • /
    • 2004
  •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CGI)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in US. This article introduces its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based framework of addition and subtraction work, and how the program has been disseminated. Carpenter and Fennema started CGI aiming to develop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focused on research knowledge of children"s thinking. Their goal was. to bring a significant change in teaching by helping teachers understand how children think mathematically. This 3-year NSF funded project grew to be 11-year long, and a number of publications have reported consistent successful learning and teaching by CGI students and teachers compared to counterparts throughout US. CGI′s success by focusing on improving teachers′ knowledge of children′s thinking offers possible opportunities for teacher educators to re-conceptualize teacher education in Korea.

  • PDF

수학과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 김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4호
    • /
    • pp.335-35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by a meta-analysis. Among the studies conducted for last twenty three years, the relevant 49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80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or the cognitive domain and 70 effect sizes for the affective domain. Effect sizes were analyzed with school levels, student level, group organization method such as homogeneous vs. heterogeneous, class transfer and adjusting class sizes for each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In the cognitive domain,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oduced a medium effect(effect size=0.68, U3=75.17%).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o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mid level students, heterogeneous group, class transfer and not adjusted class size. And in the affective domain,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oduced a low effect(effect size=0.36, U3=65.36%).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on elementary school, mid level students, and heterogeneous group. Thus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mathematics classes.

학생중심 초등수학 교실문화의 구현과 난제 (Successes and Difficulties in Transforming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to Student-Centered Instruction)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4호
    • /
    • pp.459-479
    • /
    • 2006
  •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concern of whether a real instructional change happens in a way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developmen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dealt with successes and difficultie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ent through as she moved on to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he analysis drew on classroom observations for one year to illustrate how the teacher and students established social norms, sociomathematical norms, and classroom mathematical practices that could emphasize mathematical sense-making and justification of ideas. Close analysis showed many gradual but dramatic changes in terms of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This led to consider possibly subtle but crucial issues with regard to implementing student-centered instruction.

  • PDF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CGI)의 원리를 적용한 수학 수업 연구 (A Study on Mathematics Teaching Based on CGI in Elementary Schools)

  • 최지은;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7-150
    • /
    • 2006
  • 본 연구는 CGI의 원리를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실 수학 수업에 적용해 보고, 학습자의 사고와 행동 특성, 교사가 느끼는 긍정적인 점과 어려운 점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3학년 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한 결과, 첫째, CGI의 원리를 적용한 수학 수업은 학생들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수학적 지식에 대하여 의사소통 할 기회를 제공해 주며, 둘째, 학생들이 수학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하고, 셋째, 이런 수업을 위해 교사는 알맞은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PDF

초등 교사의 수학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사례기반 교수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se-Based Pedagogy for Professional Growth in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방정숙;김상화;최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61-8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ase-based pedagogy in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investigate how they participate in the course employing case-based pedagogy. The 13 cases were developed and employe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s such, the cases covered all content areas across grades, and included detailed description of mathematics instruction, questions for discussion, theoretical review related to each case, focus analysis and additional analysis, etc. This paper describes in what ways the participant teachers discussed cases, how case-based pedagogy had an influence on the teachers' own instruction during the practicum period, and how they assessed case-based pedagogy. This paper provides issues and suggestio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on the basis of empirical background.

  • PDF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초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 김유경;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7-51
    • /
    • 2012
  • 본 논문은 세 명의 초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수학내용지식, 학생이해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상세히 분석하였다. A교사는 부진아였던 학생 시절의 영향을 받아 구체물을 통한 개념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고자 하였고, B교사는 수학자처럼 자신만의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해보는 탐구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였으며, C교사는 실생활 중심 수업을 하였다. 세 명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구현하려고 하는 수업의 형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논문은 세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초임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위한 수업자료의 몇 가지 특징 (On Som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Learn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3호
    • /
    • pp.189-199
    • /
    • 2012
  • 제7차 교육과정 이후로 학습자 중심 수업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수학교과서에 제공되어 있는 수업자료로 수업을 할 때 학습자 중심 수업의 진면목이 들어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실천에 옮기기에 적합한 수업자료가 지녀야 하는 몇 가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그에 따른 수학교과서 개발시에 본 고에서 논의한 특징들이 반영된 수업자료가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