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 gun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9초

PLS 선형가속기 진공계의 운전특성 (Operatonal characteristics of the PLS linac vacuum system)

  • 김임경;박용정;김경렬;남궁원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69-277
    • /
    • 1996
  • PLS 선형가속기 진공계는 클라이스트론 첨두출력 54MW, 펄스폭 4.1$\mu \textrm s$, 반복율 10Hz의 마이크로파 전력 공급상태에서 $2.6\times 10^{-6}$Pa의 진공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45^{\circ}C$ 운전조건에서 마이크로파 전력이 공급되지 않았을 때 진공도는 $2.4\times 10^{-6}$Pa이다. 설치 초기에 $3.0\times 10^{-11}Torr-l/sec-\textrm{cm}^2$이었던 가스방출율은 각 가속단위마다 약 140 GJ의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전파된 현재 $1\times 10^{-12}Torr-l/sec-\textrm{cm}^2$이다. 주 장비로 사용중인 이온펌프는 모두 포화된 상태이며 60 l/s, 120 l/s, 230 l/s 이온펌프의 유효배기속도는 운전 영역에서 각각 45 l/s, 65 l/s, 140 l/s이다. 진공계 운전중 야기된 문제점들로는 이온펌프 및 진공 게이지 전원제어기의 오동작, 에너지 배가장치의 출력창, 전자총 및 가속관 종단부하의 진공누출 등이었다. 최근 일년간 총 41회에 140.8시간 운전 중지를 경험하여 98%의 가용도(availability)를 나타내었다. 추후 시험중인 도파관 밸브와 개발중인 가속관 종단부하가 설치된다면 가용도를 99.5%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PVC-g-PSSA 가지형 공중합체를 이용한 다공성 $TiO_2$ 박막의 합성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 응용 (Synthesis of Porous $TiO_2$ Thin Films Using PVC-g-PSSA Graft Copolymer and Their Us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 변수진;서진아;지원석;설용건;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1권2호
    • /
    • pp.193-200
    • /
    • 2011
  • 원자전달 라디칼 중합(ATRP)에 의해 poly(vinyl chloride) (PVC) 주사슬과 poly(styrene sulfonic acid) (PSSA) 곁사슬로 되어있는 양쪽성 PVC-g-PSSA 가지형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PVC-g-PSSA 가지형 공중합체 고분자를 템플레이트로 사용하고 졸겔법을 적용하여, 결정성 아타네제상의 미세기공 이산화티타튬 필름을 제조하였다. $TiO_2$ 전구체인 TTIP를 친수성인 PSSA 영역과 선택적으로 작용시켜 $TiO_2$ 메조기공 필름을 성장하였으며, 이를 주사전자 현미경 (SEM)과 엑스레이회절 (XRD)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스핀코팅 횟수와 P25 도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성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준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였을 때, 100 mW/$cm^2$ 조건에서 에너지 변환 효율이 2.7%에 이르렀다.

계명산층내 알칼리 화강암 기원의 Nb-Y 광화작용에 수반되는 퍼구소나이트의 지구화학 및 산출특성 연구 (Geochemical and Petrographical Studies on the Fergusonite Associated with the Nb-Y Mineralization Related to the Alkaline Granite, Kyemyeongsan Formation, Korea)

  • 박맹언;김근수;최인식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5호
    • /
    • pp.395-406
    • /
    • 1997
  • Some RE (Zr, Nb, REE) ore deposits are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Geotectonically, the RE ore deposits situated on the Kyemyeongsan Formation of northern margin of the Okcheon geosynclinal belt and in the transitional zone between Kyeonggi massif and Okcheon belt. The rare metal deposits distributed in Kyemyeongsan Formation which consists of schist and alkaline granite. The alkali granite has suffered extensive post-magmatic metasomatism and hydrothermal processes. The ore contains mainly Ce-La, Ta-Nb, Y, Y-Nb, Ti-Nb-(U), Nd-Th group minerals. Fergusonite, one of Nb-Y rich REE minerals belonging to the A-B oxides, is most common mineral in the rare metal deposits. The fergusonite bearing rocks may be devided into four types by occurrence features and mineral association, that is, zircon type, allanite vein, feldspar type, and fluorite type. Fergusonites show wide variations in optical properties, due to part of differences in their chemical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types), but also the degree of crystalinity of the individual specimens. Fergusonite metamicts enclosed in biotite are generally surrounded by well developed pleochroic haloes. Usually, fergusonite is accompanied with zircon and other REE-bearing minerals. Petrographical and chemical data are presented for fergusonites which collected different types. $Nb_2O_3$ and $Y_2O_3$ contents range from 48.51 to 53.01 wt.% and 29.18 to 42.02 wt.% respectively. Also, $ThO_2$, (1.83~6.93), $UO_2$, (0.17~2.84), ${\sum}RE_2O_3$ (except to Y) (1.11~8.73), and $TiO_2$, (0.19~1.19 wt.%) contents show variational compositions according to fergusonite types. The ${\sum}RE_2O_3$ of fergusonites are positive relation with $Y_2O_3$ and negative relaton with $ThO_2$ and $({\sum}{RE_2O_3}-{Y_2O_3})$. The $Nb_2O_3$ is sightly negative relation with $Ta_2O_3$. Back-scattered electron microscope images (BEI) of fergusonite show the mineral composition and textural feature is very complicated. The variation of Nb, Th and REE content of fergusonite and the modes of occurrence of mineral, suggests that REE may have been mobilized during the circulation of hydrothermal fluids related to contact metamorphism (metasomatism). The chemical variation of the fergusonites with occurrences and mineral association can be related to metasomatism of alkaline fluid was probably the dominant ore-forming process in Chungju district.

  • PDF

합천 못재늪의 식물성 플랑크톤군집 (Phytoplankton community of Motjae-neup at Hapchŭn gun, Korea)

  • 김은희;이호원;이상명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3-151
    • /
    • 2001
  • 1996년 1월에서 9월까지 못재늪을 대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상과 우점종 및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5강 8목 13과 24속 37종 6변종 2품종으로 전체 45분류군이 동정되었다. 녹조강이 19(42.2%)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규조류강이 12(28.9%)분류군, 유글레나강이 7(15.6%)분류군, 남조강 5(11.1%) 분류군, 와편모조강이 1(2.2%)분류군으로 각각 출현하였다. 못재늪에서 Frustulia rhomboides, Eunotia lunaris, and Stauroneis anceps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Misrosystis aeruginosa, Melosina varians, Frustulia rhomboides, Pinnularia braunii var. amphicephala, Stauroneis anceps 등은 전 계절에 걸쳐 계속적으로 출현하였다. 환경요인은 기온은 $3^{\circ}C{\sim}38^{\circ}C$도의 범위이고 수온은 $3.4^{\circ}C{\sim}26.5^{\circ}C$이고 pH는 5.7~6.38이며, BOD는 $4.3{\sim}19.6mg/{\ell}$이다. 그리고 chlorophyll a의 양은 $6.9mg/m^3{\sim}25.9mg/m^3$이고 SS는 $26mg/{\ell}{\sim}52mg/{\ell}$, COD는 $24{\sim}46mg/{\ell}$의 범위이고 total-N은 $0.9538mg/{\ell}{\sim}2.3036mg/{\ell}$, total-P는 $0.1057mg/{\ell}{\sim}0.1909mg/{\ell}$이고 전기전도도의 범위는 $25.5{\mu}s/m^3{\sim}2.3036{\mu}s/m^3$이다.

  • PDF

이온빔 보조 증착 Nb2O5 박막의 광학적 특성 (Optical properties of Nb2O5 thin films prepared by ion beam assisted deposition)

  • 우석훈;남성림;정부영;황보창권;문일춘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2
    • /
    • 2002
  • 전자총을 사용하여 증착한 보통(conventional) Nb$_2$O$_{5}$ 박막과 Ar 이온빔 보조 증착(ion beam assisted deposition, IBAD)한 Nb$_2$O$_{5}$ 박막의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IBAD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IBAD Nb$_2$O$_{5}$ 박막과 보통 Nb$_2$O$_{5}$ 박막의 진공-공기간 반사 스펙트럼과 박막 단면의 SEM 측정 결고, IBAD Nb$_2$O$_{5}$ 박막은 보통 박막에 비해 조밀한 박막으로 증착되었으며,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포락선 방법으로 구한 IBAD Nb$_2$O$_{5}$ 박막의 평균 굴절률은 보통 Nb$_2$O$_{5}$ 박막 보다 증가하고, 소멸계수는 감소하였다. 이는 IBAD에 의한 이온빔 충격으로 Nb$_2$O$_{5}$ 박막의 미세구조가 변화하여 조밀도가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주입 산소 양이 증가함에 따라 IBAD Nb$_2$O$_{5}$ 박막과 보통 Nb$_2$O$_{5}$ 박막의 평균 굴절률과 소멸계수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IBAD Nb$_2$O$_{5}$ 박막은 이온빔 전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굴절률이 증가하였다. 보통 Nb$_2$O$_{5}$ 박막과 IBAD Nb$_2$O$_{5}$ 박막은 모두 불균일 굴절률을 나타냈으며, IBAD Nb$_2$O$_{5}$ 박막은 이온빔 전류 밀도가 증가할수록 굴절률의 불균일도는 증가하였다. 증착된 Nb$_2$O$_{5}$ 박막은 XRD 측정 결과 모두 비정질이었으며, IBAD에 의해 박막의 결정 구조는 변하지 않았다.

팽화 가공에 따른 홍삼과 백삼의 성분변화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and White Ginseng after Puffing)

  • 김상태;장지현;권중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5-361
    • /
    • 2009
  •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홍삼절편Ⅰ(주근: 수삼-증삼-건조-습점-절편-건조) 및 홍삼절편II(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puffing gun으로 팽화시켜 그 전후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였다. 팽화 후 기화로 인해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다른 일반 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당의 경우 팽화 후 모든 시료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당의 경우 백미삼을 제외한 홍삼류 시료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시료에서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홍삼류 시료들은 일부 ginsenoside에서 2배 이상의 증가량을 보였다. 또한 팽화 후 산성 다당체가 증가하였을 뿐만아니라 총 페놀성 화합물과 전자공여능의 경우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여 팽화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전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팽화 후 아미노산 함량 및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백미삼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무기질 함량은 팽화 전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모든 시료에서 일반 성분, 무기질 등의 함량변화 없이 약리활성을 가지는 조사포닌, 총 페놀성 화합물, 산성 다당체 등의 성분들이 팽화 가공으로 인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의 인삼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하여 팽화가공법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후박추출물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치콘의 저장기간 연장 (Extension of Storage Time of Chicon using Nanoparticle of Machilus thunbergii Extracts)

  • 권민철;한재건;하지혜;김영;최근표;박욱연;이달호;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20-325
    • /
    • 2008
  • 치콘 및 엽채류의 저장기간 연장을 위해 천연보존제 및 천연항균제 선정을 위한 항균실험을 실시하고 후박 추출물이 미생물 최소 저해 농도 및 집락 형성 저해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엽채류에 도포함으로써 이들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고자 수용성 추출물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식용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전자현미경 관찰 및 image anlyzer 측정을 통해 후박 추출물 나노입자의 80% 이상이 300nm 이하 크기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을 통해서도 수십 nm $\sim$ 약 500nm 범위의 유사 구형 나노입자임을 확인하였으며, 엽채류 저장기간 연장 효과를 알아보고자 이 나노입자를 치콘 표면에 분무 도포하였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치콘 표면 촬영으로 도포된 후박 추출물 나노입자가 표면에 잔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HPLC 분석을 통해 후박 추출물을 서서히 방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입자를 도포한 치콘과 무처리 대조군의 저장기간에 따른 에틸렌 발생량을 GC로 측정한 결과, 입자를 도포한 치콘에서 초기 에틸렌 발생량이 높으나 저장기간에 따른 에틸렌 생성량의 증가를 억제해 7일 이후에는 발생량 자체도 적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후박 추출물의 나노입자가 치콘의 세포호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나노입자의 처리를 통해 저장기간의 연장효과를 나타내었다.

비용매 유도 상전이법을 이용한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분리막의 제조 및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Polyimide Copolymer Membranes by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Method)

  • 이정무;박정호;김득주;이명건;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5권4호
    • /
    • pp.343-35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높은 기체선택도를 가지는 폴리이미드의 제조를 위해 2,2-bis(3,4-carboxylphenyl) hexafluoropropane과 두 종류의 아민인 2,4,6-Trimethyl-1,3-phenylenediamine (DAM)과 4,4-Methylenedianiline (p-MDA)을 이용하여 합성을 진행한 후 비용매 상전이법으로 비대칭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분리막 제조에 사용된 용매에 따른 물성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분자 용액의 점도, 흐림점 측정을 통한 고분자의 상평형도, 비용매 상전이 계수 측정을 진행하였다.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분리막은 SEM을 통해 용매 휘발시간에 변화에 따른 모폴로지를 확인하였고 이의 변화에 따른 기체 투과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기체투과도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N-메틸-2-피롤리돈을 사용하였을 때 $CH_4$, $N_2$, $O_2$, $CO_2$의 투과도와 각 기체에 대한 선택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매 휘발 시간이 길수록 기체 투과도는 감소하지만 기체에 대한 선택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운모상에 인산아연이 도포된 방청안료의 제조 및 성능평가 (Prepa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Zinc Phosphate-Coated Mica Anticorrrosive Pigment)

  • 이유진;박성수;홍성수;이승호;김대성;이근대
    • 청정기술
    • /
    • 제19권3호
    • /
    • pp.257-263
    • /
    • 2013
  • 인산아연이 도포된 운모 안료(ZP/mica)를 인산, 질산아연 그리고 운모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한 후, 방청안료로 사용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X-선 회절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안료의 형상과 결정구조를 관찰하였다. 제조된 안료와 에폭시수지를 배합하여 도막을 형성시킨 다음 전기화학적 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안료의 방청성을 평가하였다. $70^{\circ}C$에서 합성된 ZP/mica 안료의 방청성이 $20^{\circ}C$에서 제조된 안료보다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0^{\circ}C$에서 합성된 ZP/mica 안료표면에는 $Zn_3(PO_4)_2{\cdot}2H_2O$ 이외에도 ZnO가 동시에 생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합성된 ZP/mica 안료의 우수한 방청성은 운모표면의 아연화합물에 의한 전기화학적 방청기구와 판상구조의 운모에 의한 장벽 방청기구의 상승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삼성광산 일대의 견운모광화작용에 대한 광물학적 및 성인적 연구 (Mineraloty and Genesis of the Sericite Ore from the Samsung Mine Area)

  • 김원사;최준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674-682
    • /
    • 2005
  • 충남 청양군 정산면에 위치한 삼성광산은 견운모를 생산하고 있는 광산으로서, 이 광산 및 주변지역에서 산출되는 견운모에 대한 지질학적 및 광물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야외지질조사 및 편광현미경 관찰, X선회절분석, 전자현미분석, X선형광분석, 시차열분석, K/Ar 동위원소분석 등의 실내연구를 실시하였다. 삼성광산 지역은 선캠브리아기의 화강편마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같은 시기의 운모편암이 발달하고 있다. 견운모는 화강편마암의 열수변질 작용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사료되며, 원암의 주요 구성광물인 정장석 $\to$사장석$\to$흑운모의 순서로 변질된다. 견운모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석영의 외곽부분에서 용해작용에 의한 만곡현상이 심화되다가 점차 사라진다. 견운모로의 변질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모암의 화학성분은 $SiO_2\;and\;Na_2O$ 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Al_2O_3\;and\;K_2O$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견운모의 생성시기는 중생대 쥬라기이며, 이 시기는 화강편마암을 관입한 흑운모화강암의 관입시기와 잘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