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living facility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19초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보건지소 이용 양상과 관련요인 (Rural Health subcenter Utilization Pattern and Its Related Factors)

  • 손석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9권2호
    • /
    • pp.97-106
    • /
    • 1994
  • In order to estimate the utilization pattern of a rural health subcenter, and to identify the recognition for it among the inhabitants in Kogsung distric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objects of 708 population. The results observed were as follows; 1. The annual utilization rate of a rural health subcenter for a basic health service unit was 27.5 per 100 persons, and annual mean visiting times was 1.43 times. 2. The most frequent disease by, annual health subcenter utilization illness was respiratory disease(26.5%), and the next was musculoskeletal disease(23.9%), gastrointestinal disease(15.9%) by order. 3. Favorite reasons for community health subcenter utilization were lower medical cost(23.4%), near distance from living place(20.7%) and lower disease severity(19.5%) by order. But disfavorite reasons for it were non effective treatment(26.2%), insufficient equipment(25.4%) and absence of specialist(17.4%) by order. 4. Insufficient items about community health subcenter utilization were restriction of treatment limit(47.1%), lower reliance(22.4%) and not punctral(21.8%) by order. 5.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health subcenter utilization were age, educational level and the nearest medical facility class. 6.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recognition for a community health subcenter's work and actual utilizing service, and desirable works for it were disease preventing service, disease control of elderly and sanitation control by ord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rural health subcenter and to promote the accessibility of rural residents to primary health care, there must be considered public relation about health subcenter, expansion of health equipment and recognition about access time.

  • PDF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요양원 입소 노인 약물검토 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전향적 선행연구 (Pilot Prospective Study for Validation of Korean Medication Review Tool for Nursing Home Residents in Older Adults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채현우;정종현;전광희;이주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1-327
    • /
    • 2022
  • Background: To implement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in Korean nursing home (NH), medication review tool for residents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was developed. This prospective pilot study aim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is newly developed tool and to evaluate the drug related problems (DRPs) identified by pharmacists' medication review in NH setting.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wo NHs in Korea. The elderly residents (65 or older) using 5 or more medications were eligible. Pharmacists conducted medication review and identified the DRPs and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PIMs) based on the newly developed tool. Results: Among 43 NH residents, 27 residents agreed to participate. The median age was 87 and about 55.6% of them were taking 10 or more medications. Pharmacists identified a total of 37 PIMs in 18 NH residents (66.7%) and 54 DRPs in 22 residents (81.5%). The most frequent PIM was general-PIM (26 cases) followed by PIM under specific diseases or conditions (7 cases). Out of 77 items contained in the tool, 15 items were detected in study participants. 'Continued use or regular daily use of hypnotics' was the most highly detected item (9 cases) followed by 'multiple prescriptions within each class of hypnotics/sedatives' (5 cases). Among 54 DRPs identified, pharmacist intervened 39 cases (72.2%) and interventions were accepted in 18 cases (46.1%). Conclusion: This pilot study demonstrated that newly developed tool is feasible for the nursing home residents. However, further studies with larger population are warranted.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으로서 공공생활 체육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생활체육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for Public Sports Facilities to Promote Daily Life Spor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 하춘;배융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27-37
    • /
    • 2023
  • Purpose: Sports activities for life are an opportunity to fulfill the basic desire to be healthy and participate in society of the individual level, and it is also the realization of the trend of living together with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at the level of social inclusion. I try to propose to improve sports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Universal Design.' Methods: Firstly, analysing of previous studies which to classify the barrier free certification standards to universal design's 7 principles and which to investigate public sports facilities. Secondly, reanalyzing, based on UD 7 principles, the raw data of the research result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Thirdly. then, I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to promote public sports facilities for all the people includ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although the facilities have the basic accessibility, there were some inconveniences in using the facility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So I suggest a few method to improve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 1) Needs to expand 'Bandabi Sports Center' as a sports facilities for sports activities for life of all of people, 2) Needs to improve accessibility of existing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to raise awarenes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universal design, 3) Needs to produce 'UD guidelines' for the sports facilities.

서울시 도시열섬현상 지역의 물리적 환경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 탐색 (Exploring Physical Environment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Areas in Seoul, Korea)

  • 조혜민;하재현;이수기
    • 지역연구
    • /
    • 제35권4호
    • /
    • pp.61-73
    • /
    • 2019
  • 도시의 개발과 고밀화는 도시공간의 기온이 주변지역보다 높아지는 도시열섬(Urban Heat Island)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도시열섬현상은 기후변화와 함께 그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여름철 도시의 대기온도가 상승할 때 소득이 낮은 계층, 고령인구,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회적 취약계층은 높아진 열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열섬지역을 공간통계 기법인 Hotspot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열섬지역의 물리적 환경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시 423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동별 평균 대기온도를 이용하여 도시열섬 Hotspot 분석을 실행한 결과, 서울시 중구, 종로구, 용산구, 영등포구에서 도시열섬 지역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열섬지역의 물리적 환경 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거시설 연면적 비율, 상업시설 연면적 비율, 용적률, 불투수면 비율, 정규화식생지수(NDVI)가 열섬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열섬지역의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열환경 취약지역을 분석한 결과,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독거노인 비율, 기초생활수급을 받는 독거노인 비율 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열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변수를 도출하고 사회적 취약계층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열섬지역이 중첩되어 있는 지역을 판별함으로써 향후 취약계층을 고려한 도시 열환경 설계와 정책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의 우울 대처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시 거주 도시 노인의 우울 대처 경험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Coping strategies of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Coping with Depression in Older Adults Living in Seoul)

  • 어유경;고정은;김순은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583-600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도시 노인들이 우울을 겪을 때 어떤 대처 전략을 사용하는지, 그 이유와 맥락은 무엇인지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한 노인복지관의 60세 이상 이용자와 미 이용자이며, 이 중 우울을 경험한 34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이 사용했던 우울 대처 전략은 크게 6가지 영역과 11가지 하위영역-건강 행동(의료적 접근/운동 및 섭식), 가족 및 사회적 접촉(사회적 교류/외출 및 여행/가족과 소통), 종교 활동(종교 활동), 평생 교육(취미 활동/교육 활동), 생산적 활동(노동), 건강 위험 행동(음주 및 도박/체념)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우울 대처 전략과 그 맥락에서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울에 대처하기 위해 노인들은 문제 중심(problem-focused)의 대처 전략들을 사용하였다. 둘째, 다양한 대처 전략을 함께 고려하고 동시에 사용했다. 셋째, 노인을 위한 시설공간은 쉼터 혹은 피난처로서 기능하였다. 넷째, 의료적 접근을 사용한 사례도 있으나 재이용 의향은 매우 낮았다. 이 연구를 통해 노인들이 우울에 보다 성공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대처 전략의 접근성을 증진해야 한다. 둘째, 노인이 편안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들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정신건강 치료에 대해 느끼는 부담감을 해소시켜야 한다.

지역사회 치매관리 모형 개발 : 광명시의 경우 (Development of Dementia Care Model in a Community)

  • 배상수;김동현;우영국;오진주;민경복;이수현;이미라;이상숙;표옥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0-71
    • /
    • 1999
  •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public awareness regarding dementia during recent years. However, dementia remains a family affair and patients do not receive adequate care in Korea. This study aims to assist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by establishing Home and Community based Long-Term Care in a city. The data collected for analysis include five main categories: dementia prevalence, limitations of daily activities of patients, burden of caregivers, the services that patient's family want to utilize, the resources that handle dementia in the community.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 prevalence rate of dementia for elderly people is 13.1 per 100 persons. Alzheimer's disease amount to 38.9% of dementia patients and vascular dementia account for 36.7% of them 2)Eight out of ten patients have mild dementia. Almost all patients have normal ADL. IADL, however, shows different picture. In every items of IADL, about 60% of patients reveals some limitations. 3)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had medical diagnosis is as low as 20%. Families of patients think dementia as normal aging process and medical doctors in the community do not give special concern to dementia patients. 4)Caregivers does not have proper social support. They suffer from long care time, experience large obstacles in respect of health, daily living, and social activity. 5)Health center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have launched some programs-consultation, home-visiting nursing, day care center, voluntary force mobilization and so on-for dementia patients. But they do not perform expected roles and functions because of lack of skilled personnels and inadequate coordination of relevant organizations for dementia care. 6)Families of dementia patients prefer home helper and home-visiting nurse to hospitalization. For the future, however, demand for institution-based long-term services will increase. We develope community dementia care model based on above findings as follows: 1)Health center execute community cardiovascular control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vascular dementia. 2)Refer to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preference of family, the most urgent task for dementia care in this city is to expand and organize Home and Community based Long-Term Care. 3)For th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care, care plan for a patient must be prepared. Case management team should be builded to prepare this plan and coordinate relevant resources. 4)Special long-term care unit for dementia will be needed in a near future. This unit should have multiple functions, such as day-care center, short stay facility, training center for relevant personnels, besides long-term nursing home considering effective care of dementia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facility. 5)Voluntary workers deserve their due efforts. Incentive mechanisms must be developed to activate voluntary activities.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arrier Free Composition of Kindergarten)

  • 송정란;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9-17
    • /
    • 2017
  • 본 연구는 단설유치원 교직원과 교육청의 시설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지도와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구축을 위해 강화 또는 완화해야 할 편의시설을 조사하였다. 또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기설 단설유치원의 개선 편의시설에 대해서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우리나라 현행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유치원의 의무 권장 설치대상 편의시설과 그에 따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설 환경적 측면에서 기설 유치원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제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형 또는 건물 구조상 개선이 어려운 항목은 배점을 낮게 조정하여 기설 유치원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 인식적 측면에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 및 인증기관을 중심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기존유치원과 신설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 환경 조성 방향의 핵심은 보호능력과 안전의식이 부족한 유아의 특성을 감안하는 것이다. 모든 출입구의 높이 차이를 제거하고 자동문을 설치하여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위생시설은 유아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적절한 높이와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최근 유아기 공동체 활동이 강화됨에 따라 강당이나 도서관의 각종 편의시설 확충과 피난안전시설도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인 유아들의 교육 생활 공간인 단설유치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 방안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기설 유치원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지표에 대한 개선 연구가 시도된다면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용자 행태 및 특성에 따른 어린이공원 시설 계획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ldren's Park Facility Planning Scheme according to User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 이동훈;이석환;백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32-241
    • /
    • 2016
  • 도시공원 중 어린이공원은 도시 내 다른 공원보다 접근성이 높아 이용자가 많으며 어린이들의 놀이공간만이 아닌 지역주민들의 휴식 및 여가생활공간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원법에 의한 공학적구분에 따른 양적증가에 치중한 결과 다양한 계층의 이용자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단독주택지역과 공동주택지역의 어린이공원 이용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공원 이용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그 중 이용빈도가 높은 시설물의 종류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함께 사례조사를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 어린이공원과 관련된 논문 및 연구보고서 등 자료를 바탕으로 이론적인 검토와 현황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대상지 어린이공원의 공원관리 담당자의 면담과 현장답사를 통해 입지, 시설, 관리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공원은 생활권 내 접근성이 높은 여가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관찰결과 이용자 대부분 체류 시간이 1시간에서 2시간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린이의 이용자들 보다 고령층의 이용자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어린이공원을 계획하고 조성함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인 다목적 근린형 어린이공원에 따른 배치방식으로 계획하여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